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덕철학과 도덕심리학에서 직관과 정서 - 그린(J. Greene)의 이중과정 모형과 하이트(J. Haidt)의 사회적 직관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30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랜 합리주의 전통 속에 도덕심리학에서 이성의 역할이 강조되었으며 정서와 신경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2000년대 초반까지 거의 알려진 바가 없었다. 그러나 그린과 연구진은 도덕적 딜레...

      오랜 합리주의 전통 속에 도덕심리학에서 이성의 역할이 강조되었으며 정서와 신경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2000년대 초반까지 거의 알려진 바가 없었다. 그러나 그린과 연구진은 도덕적 딜레마를 사용한 fMRI연구를 통해 도덕판단에 정서가 관여되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했다. 또한 심리학과 뇌 신경과학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도덕판단이 종종 뇌 속에서 두 가지 유형으로 매개됨을 밝혀냈다. 그린은 자동적이고 수월하며 빠른 직관 과정의 System 1과 통제되고 힘들고 느린 추론 과정의 System 2로 이들을 규정했다. 하이트는 도덕판단이 주로 직관의 산물이며 추론은 그 이후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그에게 도덕판단은 추론보다 직관적 판단으로 이루어진다. 직관은 즉각적 판단으로 빠르고 수월하며 자동적인 정서적 반응으로 도덕적 감각의 산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판단에서 직관과 정서의 지위 변화를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도덕적 직관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도덕교육에 제안하는 유의점을 논증했다. 특히, 그린과 하이트의 견해를 토대로 도덕적 추론을 면밀히 검토하고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와 공통점을 탐색하여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했다. 이를 위해 첫째, 도덕철학과 도덕심리학의 발전을 개괄했다. 둘째, 그린의 이중과정 모형과 하이트의 사회적 직관을 분석했다. 셋째, 그린과 하이트의 이론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도덕적 직관 이론의 의의와 한계를 탐구하여 도덕교육에의 유의점을 도출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long rationalist tradition of moral psychology, the role of reason was mainly emphasized, and little was known about the neural correlation of emotions until the early 2000s. In an fMRI study using a moral dilemma, Greene and colleagues found t...

      In the long rationalist tradition of moral psychology, the role of reason was mainly emphasized, and little was known about the neural correlation of emotions until the early 2000s. In an fMRI study using a moral dilemma, Greene and colleagues found that emotional involvement affects moral judgment. Their research served as an opportunity to unravel some of the puzzles of moral judgment observed by modern philosophers. A major topic of interest among social psychologists is the role of intuition, emotion, and emotion in determining rational reasoning and other moral judgments. An increase in psychological and neuroscience research has shown that moral judgments are often mediated by two types of brain processes. The first consists of processes that automatically change their pleasure state in response to certain types of socially relevant stimuli. The second type consists of processes in the more general domain that underlie abstract reasoning, simulation, and cognitive control capabilities. These intuitive and deliberative processes often work together to facilitate decisions that are aligned with goals. Greene named the automatic, easy and fast process of intuition as ‘System 1’ and the controlled, laborious and slow process of reasoning as ‘System 2’. Haidt argued that moral judgments are primarily the product of intuition, and that reasoning emerges thereafter. In his view, moral judgments are made more intuitively through reasoning. Intuition is an immediate judgment, a quick, easy, and automatic emotional response, the product of a moral sense. In this study, based on the views of Greene and Haidt, we closely examine moral reasoning and extract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between them to derive the meaning given to moral education. To this end, first, the development of moral philosophy and moral psychology was outlined. Second, Greene’s dual process model and Haidt’s social intuition were reviewed. Third,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between Greene’s theory and Hait’s theory were investigated.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moral intuition theory were examined to derive the meaning for moral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도덕교육과 도덕심리학
      • Ⅲ. 그린의 이중과정 모형
      • Ⅳ. 하이트의 사회적 직관
      • 요약
      • Ⅰ. 서론
      • Ⅱ. 도덕교육과 도덕심리학
      • Ⅲ. 그린의 이중과정 모형
      • Ⅳ. 하이트의 사회적 직관
      • Ⅴ. 경험적 도덕과 사회적 직관의 한계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렬, "하이트(J.Haidt)의 사회적직관 개념의도덕심리학과도덕교육적 적용의적절성에대한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201-227, 2020

      2 양해성, "하이트(J.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의 도덕 교육적 함의"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3) : 145-170, 2016

      3 Nussbaum, M. C, "역량의 창조: 인간다운 삶에는 무엇이 필요한가" 돌베개 2015

      4 박장호, "신경과학의 도덕적 직관 이해와 도덕교육" 한국윤리교육학회 (29) : 137-164, 2012

      5 박형빈, "복잡계와 뇌과학으로 바라본 인격 특성과 도덕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한국윤리학회 1 (1): 129-158, 2017

      6 이정렬, "도덕적 직관과 도덕 교육"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6) : 109-138, 2017

      7 박형빈, "도덕성에 대한 뇌신경과학적 접근의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3) : 141-194, 2013

      8 추병완, "도덕교육에서 직관과 추론의 관계 분석: 하이트와 나바이즈를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8) : 83-117, 2020

      9 정창우, "도덕 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도덕교육적 함의 - 헤이트(J. Haidt)의 뇌과학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7) : 95-130, 2011

      10 Baron, J., "Why does the Cognitive Reflection Test (sometimes) predict utilitarian moral judgment (and other things)?" 4 (4): 265-284, 2015

      1 이정렬, "하이트(J.Haidt)의 사회적직관 개념의도덕심리학과도덕교육적 적용의적절성에대한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201-227, 2020

      2 양해성, "하이트(J.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의 도덕 교육적 함의"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3) : 145-170, 2016

      3 Nussbaum, M. C, "역량의 창조: 인간다운 삶에는 무엇이 필요한가" 돌베개 2015

      4 박장호, "신경과학의 도덕적 직관 이해와 도덕교육" 한국윤리교육학회 (29) : 137-164, 2012

      5 박형빈, "복잡계와 뇌과학으로 바라본 인격 특성과 도덕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한국윤리학회 1 (1): 129-158, 2017

      6 이정렬, "도덕적 직관과 도덕 교육"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6) : 109-138, 2017

      7 박형빈, "도덕성에 대한 뇌신경과학적 접근의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3) : 141-194, 2013

      8 추병완, "도덕교육에서 직관과 추론의 관계 분석: 하이트와 나바이즈를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8) : 83-117, 2020

      9 정창우, "도덕 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도덕교육적 함의 - 헤이트(J. Haidt)의 뇌과학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7) : 95-130, 2011

      10 Baron, J., "Why does the Cognitive Reflection Test (sometimes) predict utilitarian moral judgment (and other things)?" 4 (4): 265-284, 2015

      11 Greene, J. D., "Why are VMPFC patients more utilitarian? A dual-process theory of moral judgment explains" 11 (11): 322-323, 2007

      12 Schönegger, P., "The social turn in moral psychology" 33 (33): 309-312, 2020

      13 Huebner, B., "The role of emotion in moral psychology" 13 (13): 1-6, 2009

      14 Haidt, J., "The righteous mind: Why good people are divided by politics and religion" Pantheon Books 2012

      15 Haidt, J., "The new synthesis in moral psychology" 316 (316): 998-1002, 2007

      16 Greene, J. D., "The neural bases of cognitive conflict and control in moral judgment" 44 (44): 389-400, 2004

      17 Sherblom, S., "The legacy of the ‘care challenge’: re-envisioning the outcome of the justice‐care debate" 37 (37): 81-98, 2008

      18 Pizarro, D. A., "The intelligence of the moral intuitions: A comment on Haidt (2001)" 110 (110): 193-196, 2003

      19 Haidt, J., "The emotional dog and its rational tail: A social intuitionist approach to moral judgment" 108 : 814-834, 2001

      20 Zollo, L., "The consumers’ emotional dog learns to persuade its rational tail:Toward a social intuitionist framework of ethical consumption" 168 : 295-313, 2021

      21 Miller, G. A., "The cognitive revolution: a historical perspective" 7 (7): 141-144, 2003

      22 Greene, J. D., "The cognitive neurosciences" MIT Press 1013-1023, 2014

      23 Perugini, M., "The Handbook of Personality Dynamics and Processes" Academic Press 551-577, 2021

      24 Musschenga, A. W., "The Contingent Nature of Life, International Library of Ethics, Law, and the New Medicine 39" Springer 131-146, 2008

      25 Murphy, P., "Teaching applied ethics to the righteous mind" 43 (43): 413-428, 2014

      26 Evans, J. S. B, "Reflections on reflection : the nature and function of Type 2processes in dual-process theories of reasoning" 25 (25): 383-415, 2019

      27 Kasachkoff, T., "Reasoning and moral decision-making: A critique of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2 (2): 287-302, 2008

      28 Gawronski, B., "Oxford library of psychology, The Oxford handbook of social cogn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82-312, 2013

      29 Waldmann, M. R., "Oxford library of psychology The Oxford handbook of thinking and reasoning" Oxford University Press 364-389, 2012

      30 Haidt, J., "Morality" 3 (3): 65-72, 2008

      31 Tiberius, V., "Moral psychology: A contemporary introduction" Routledge 2014

      32 Haidt, J., "Moral psychology vol. 2: The cognitive science of morality" MIT Press 181-217, 2008

      33 Haidt, J., "Moral psychology for the twenty-first century" 42 (42): 281-297, 2013

      34 Landeweer, E. G., "Moral margins concerning the use of coercion in psychiatry" 18 (18): 304-316, 2011

      35 Weaver, G. R., "Moral intuition: Connecting current knowledge to future organiz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40 (40): 100-129, 2014

      36 Greene, J. D., "Moral Brains: The Neuroscience of Mor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119-149, 2016

      37 Johnson, M. L., "Mind and morals: Essays on cognitive science and ethics" The MIT Press 45-68, 1996

      38 Valdesolo, P., "Manipulations of emotional context shape moral judgment" 17 (17): 476-477, 2006

      39 Wiebe, D., "Jonathan Haidt, The Righteous Mind: Why Good People Are Divided by Politics and Religion" 1 (1): 217-219, 2014

      40 Ott, J., "Jonathan Haidt, The Happiness Hypothesis; Putting Ancient Wisdom to the Test of Modern Science" 8 (8): 299-301, 2007

      41 Perry, J., "Jesus and Hume among the Neuroscientists: Haidt, Greene, and the Unwitting Return of Moral Sense Theory" 36 (36): 69-85, 2016

      42 Evans, J. S. B., "In two minds: dual-process accounts of reasoning" 7 (7): 454-459, 2003

      43 Graham, J., "Ideology and intuition in moral education" 2 (2): 269-286, 2008

      44 Hindriks, F., "How does reasoning (fail to) contribute to moral judgment? Dumbfounding and disengagement" 18 (18): 237-250, 2015

      45 Greene, J., "How (and where) does moral judgment work?" 6 (6): 517-523, 2002

      46 Andersen, M. L., "Haidt’s social intuitionist model: What are the implications for accounting ethics education?" 44 : 35-46, 2018

      47 Sauer, H., "Educated intuitions Automaticity and rationality in moral judgement" 15 (15): 255-275, 2012

      48 Amit, E., "Dual-process theories of the social mind" The Guilford Press 340-354, 2014

      49 Evans, J. S. B., "Dual-process theories of higher cognition : Advancing the debate" 8 (8): 223-241, 2013

      50 Greene, J. D., "Dual-process morality and the personal/impersonal distinction : A reply to McGuire, Langdon, Coltheart, and Mackenzie" 45 (45): 581-584, 2009

      51 Hoey, J., "Denotative and connotative management of uncertainty: A computational dual-process model" 16 (16): 505-550, 2021

      52 Dubljević, V., "Debates about neuroethics" Springer 129-140, 2017

      53 Lindauer, M., "Comparing the effect of rational and emotional appeals on donation behavior" 15 (15): 413-420, 2020

      54 Greene, J. D., "Cognitive load selectively interferes with utilitarian moral judgment" 107 (107): 1144-1154, 2008

      55 Klenk, M., "Charting Moral Psychology’s Significance for Bioethics: Routes to Bioethical Progress, its Limits, and Lessons from Moral Philosophy" 17 (17): 36-55, 2020

      56 Lapsley, D. K., "Character psychology and character educatio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8-35, 2005

      57 Gürçay, B., "Challenges for the sequential two-system model of moral judgement" 23 (23): 49-80, 2017

      58 Suhler, C. L., "Can innate, modular “foundations” explain morality? Challenges for Haidt's moral foundations theory" 23 (23): 2103-2116, 2011

      59 Graham, J., "Atlas of moral psychology" The Guilford Press 211-222, 2018

      60 Greene, J. D., "An fMRI investigation of emotional engagement in moral judgment" 293 (293): 2105-2108, 2001

      61 Graham, J.,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47" Academic Press 55-130,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7 0.9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