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헬라스 소년애의 교육적 의미 = The educational meaning of Hellas` homosexu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320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헬라스 소년애의 교육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근대인에게 동성 간의 사랑의 관계는 특별한 유형의 성적 행동이나 기호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

      이 연구는 헬라스 소년애의 교육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근대인에게 동성 간의 사랑의 관계는 특별한 유형의 성적 행동이나 기호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인간의 욕망을 정상과 비정상으로 나누거나 성애의 형태를 이성애와 동성애로 구분하고 `허용`과 `금기`의 엄격한 윤리적 기준을 부과하는 것은 헬라인에게 익숙한 관념이나 태도가 아니었다. 그들은 오히려 아름답고 고귀한 대상이면 성이 무엇이든 사랑의 대상이 될 수 있고 이것은 자연이 인간에게 심어 놓은 고귀한 본성이라고 생각했다. 미셸 푸코는 자신의 말년의 저작에서 극적인 사상의 반전을 시도하고 있다. 전기 저작에서 근대적 이성과 주체를 비판하고 해체하는데 전념했다면 여기서는 고대인의 삶의 방식과 태도를 재해석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주체의 형성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고대인들이 스스로 자신을 형성하는 기술로 쾌락을 활용했던 방식은 중요한 모티브이며 소년애는 그 대상이 된다. 헬라인들에게 소년애는 소년의 입장에서 연장자의 세심한 주의와 가르침을 통해 그의 능력을 발현하는 기회를 제공했고, 성인은 소년의 활력과 특성을 전유함으로써 헬라스 문화가 도전적이고 창조적이며 다방면에서 경이로운 성취를 이룩하는데 동력으로 작용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ellas` homosexuality made a appearance on the historical stage on the social tradition of warrior society and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between the city states to make use of the energy of warrior comradeship socially. It came into existence throu...

      Hellas` homosexuality made a appearance on the historical stage on the social tradition of warrior society and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between the city states to make use of the energy of warrior comradeship socially. It came into existence through an encounter between the need of a substitute for father, because of inadequate fathering which the political and social conditions of city state brought about, and the desire of Greeks to enjoy the youthfulness of boy and to perpetuate the characteristics of boy. There is a tendency in modern culture to regard heterosexuality as normal and natural and homosexuality as the opposite. But the ancient Greeks did not regard a homoerotic relationship as harmful to the individual or society as long as its partners properly conducted it with the respect for each other. They thought things which are beautiful and noble, regardless of sex, could be an target of love, and it is the real character with which the nature endows human beings. Michel Foucault tries to turn his thoughts in own latter writings dramatically. While having devoted himself to criticizing and deconstructing the modern reason and subject in the former works, he looked for possibility of a new subject through reinterpreting the life style and attitude of ancient Greek here. The practices that Greek made use of desire were an important motif as the technology to form and control Self and the homosexuality was its practical province. The love of boy took a meaningful charge of Greek civil education, in other words, paideia as the deep structure of Greek culture. It played a role of engine in that Greek achieved miraculous works in varied activities, as boys realized himself from careful concern and instruction of the older, while men appropriated the characteristics of bo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크세노폰, "히에론 in: 키루스의 교육" 한길사 2005

      2 정혜신, "희랍 동성애의 특성과 사회적 역할" 10 (10): 79-119, 1996

      3 박종현, "헬라스 사상의 심층" 서광사 2001

      4 크세노폰, "향연․경영론" 작은이야기 2005

      5 플라톤, "향연" 문학과지성사 2003

      6 플루타아크, "플루타르코스 영웅전-그리스를 만든 영웅들" 숲 2006

      7 플라톤, "플라톤의 네 대화 편:에우티프론,소크라테스의 변론,크리톤,파이돈" 서광사 2003

      8 플라톤, "플라톤" 서울대출판부 2006

      9 박승규, "푸코의 "자유의 실천"을 통한 윤리적 주체" 한국정치학회 36 (36): 87-102, 2002

      10 박승규, "푸코의 빠르지아 담론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의 형성에 관한 연구" 9 (9): 259-84, 2001

      1 크세노폰, "히에론 in: 키루스의 교육" 한길사 2005

      2 정혜신, "희랍 동성애의 특성과 사회적 역할" 10 (10): 79-119, 1996

      3 박종현, "헬라스 사상의 심층" 서광사 2001

      4 크세노폰, "향연․경영론" 작은이야기 2005

      5 플라톤, "향연" 문학과지성사 2003

      6 플루타아크, "플루타르코스 영웅전-그리스를 만든 영웅들" 숲 2006

      7 플라톤, "플라톤의 네 대화 편:에우티프론,소크라테스의 변론,크리톤,파이돈" 서광사 2003

      8 플라톤, "플라톤" 서울대출판부 2006

      9 박승규, "푸코의 "자유의 실천"을 통한 윤리적 주체" 한국정치학회 36 (36): 87-102, 2002

      10 박승규, "푸코의 빠르지아 담론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의 형성에 관한 연구" 9 (9): 259-84, 2001

      11 투키디데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상" 범우사 1998

      12 오인탁, "파이데이아" 학지사 2001

      13 크세노폰, "키루스의 교육" 한길사 2005

      14 푸코, "주체의 해석학:1981-1982,콜레주 드 프랑스에서의 강의" 동문선 2007

      15 푸코, "자기의 테크놀로지" 동문선 1997

      16 호메로스, "일리아스" 숲 2006

      17 플라톤, "알키비아데스 I․II" 이제이북스 2007

      18 아리스토파네스, "아리스토파네스 희극" 단국대출판부 2000

      19 크세노폰, "소크라테스 회상" 범우사 2002

      20 푸코, "성(性)의 역사 3-자기 배려" 나남출판 2006

      21 푸코, "성(性)의 역사 2-쾌락의 활용" 나남출판 2006

      22 푸코, "성(性)의 역사 1-앎의 의지" 나남출판 2007

      23 드레피스․라비노우, "미셸 푸코: 구조주의와 해석학을 넘어서" 나남신서 1996

      24 이광래, "미셸 푸코" 민음사 1991

      25 플라톤, "뤼시스" 이제이북스 2007

      26 골드힐, "러브,섹스 그리고 비극" 예경 2006

      27 푸코, "담론의 질서" 서강대출판부 1998

      28 크세노폰, "고대그리스 정치사 사료" 신서원 2002

      29 플라실리에르, "고대 그리스의 일상생활" 우물이 있는 집 2004

      30 김석완, "‘건강한 신체에 건전한 정신이 깃든다’: 교육사상사적 고찰" 한국교육철학회 (32) : 5-38, 2007

      31 Jaeger,W, "Paideia.Die Formung des griechischen Menschen" Walter de Gruyter & Co 1959

      32 Marrou, H. I, "Histoire de l'́éducation dans l'antiquité in Geschichte der Erziehung im klassischen Altertum" dtv 1955

      33 Devereux,G, "Greek Pseudo-homosexuality and the 'Greek Miracle'" 42 : 69-92, 1967

      34 Dover,K.J, "Greek Popular Morality" Basil Blackwell 1974

      35 Dover,K.J, "Greek Homosexuality"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36 Dover,K.J, "Eros and Nomos" 31-42, 1964

      37 Schmid,W, "Die Geburt der Philosophie im Garten der Lüste" Suhrkamp 2000

      38 Schmid,W, "Denken und Existenz bei Michel Foucault" Suhrkamp 1991

      39 Plato, "Charmides in Charmides, Alcibiades 1 and 2," Cambridge, Mass.. 1927

      40 Schmid,W, "Auf der Suche nach einer neuen Lebenskunst" Suhrkamp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교육철학 -> 교육철학연구 KCI등재
      2011-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철학회 -> 한국교육철학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8 1.2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