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표현활동수업 참여 중학생의 교사-학생간 의사소통과 수업인식 및 자신감의 관계 = The relation among perceived teacher-students communication perception, perceived dance class and self-confid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expressive activity clas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480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teacher-students communication type to their perceived dance class and intention of self-confidence. Method: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264 c...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teacher-students communication type to their perceived dance class and intention of self-confidence. Method: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264 copies as final valid samples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students of 5 middle schools located in Gyunggi areas. Collected data were put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t-test, one way-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Ver 24.0.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tudents communication affected to their students' perceived dance class at some extend. Second, teacher-students communication affected to the level of self-confidence. Third, students' perceived dance class affected to their self-confidence. Teacher and student's high level of receptive communication had higher students' perceived dance class and self-confidenc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표현활동수업 참여한 중학생의 교사-학생간 의사소통과 수업인식 및 자신감의 관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본 연구의 목적은 표현활동수업 참여한 중학생의 교사-학생간 의사소통과 수업인식 및 자신감의 관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하는 중학생 295명을 집락무선표집(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95부 중 불성실 응답자31부를 제외하고, 최종 264부의 자료가 이용되었다. 자료의 처리는 Window용 SPSS 24.0 Version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통계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학생간 의사소통과 표현활동수업 인식 및 수업 자신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표현활동수업에서 교사-학생간 의사소통은 표현활동수업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표현활동수업에서 교사-학생간 의사소통은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넷째, 표현활동수업 인식은 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숙, "학습부진아의 자신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2

      2 양현경,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 인식, 스포츠자신감, 운동 몰입, 운동 지속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 58 (58): 213-225, 2019

      3 정은선, "초등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교사-학생 의사소통과 학업성취의 관계: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교육문제연구소 30 (30): 77-102, 2017

      4 권경미,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공연 참여자의 재미요인이 자신감 및 발레수업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 75 (75): 49-66, 2017

      5 김종형, "체육교사의 언어적 의사소통 유형이 체육교과 태도 및 체육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5 (25): 883-896, 2016

      6 교육부, "체육과 교육과정"

      7 권순실, "중학생이 지각한 체육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이 체육수업 태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 원세정, "중학생의 학교 무용수업 참여경험이 자신감과 사회성 및 자아실현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30 (30): 47-65, 2013

      9 김우리, "중학생의 표현활동수업 인식과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및 수업 자신감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0 모소혜, "중학생의 무용수업 흥미와 수업참여도와의 관계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 김정숙, "학습부진아의 자신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2

      2 양현경,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 인식, 스포츠자신감, 운동 몰입, 운동 지속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 58 (58): 213-225, 2019

      3 정은선, "초등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교사-학생 의사소통과 학업성취의 관계: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교육문제연구소 30 (30): 77-102, 2017

      4 권경미, "초등학교 여학생 발레공연 참여자의 재미요인이 자신감 및 발레수업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 75 (75): 49-66, 2017

      5 김종형, "체육교사의 언어적 의사소통 유형이 체육교과 태도 및 체육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5 (25): 883-896, 2016

      6 교육부, "체육과 교육과정"

      7 권순실, "중학생이 지각한 체육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이 체육수업 태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 원세정, "중학생의 학교 무용수업 참여경험이 자신감과 사회성 및 자아실현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30 (30): 47-65, 2013

      9 김우리, "중학생의 표현활동수업 인식과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및 수업 자신감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0 모소혜, "중학생의 무용수업 흥미와 수업참여도와의 관계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1 이현정, "중학생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중 댄스수업 참여가 무용인식 및 체육수업재미, 운동지속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32 (32): 31-45, 2015

      12 姜在遠, "중학교 학급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집단응집성 관계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5

      13 김용덕, "중등학교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이 겪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해결하기 : 근거이론적 접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4 김창주, "인문계고등학교 체육교과에 대한 고등학생 인식도 조사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5 김윤희, "여중생의 무용 수업 체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9 (9): 109-127, 2002

      16 김윤희, "성과 신체활동 변화단계별 체육수업 자신감" 한국체육학회 56 (56): 147-164, 2017

      17 백승헌, "무용학원 지도자의 의사소통능력에 따른 참여자의 행동체계연구: 참여자의 가치-태도-행동(VAB)체계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77 (77): 87-104, 2019

      18 성경희, "무용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사용이 학생들의 무용몰입 및 무용성취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8 (28): 55-68, 2014

      19 김혜정, "무용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지도교수와의 의사소통이 자아존중감과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35 (35): 1-12, 2018

      20 이건미, "무용교육자의 전문성이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자신감과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 76 (76): 111-125, 2018

      21 이세현, "남녀 중학생의 무용수업 경험에 대한 주요사건기록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21 (21): 47-61, 2016

      22 박유찬,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교사-학생 상호작용이 체육수업 태도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24 (24): 171-184, 2019

      23 김원배, "고등, 대학 선수의 스포츠 자신감 형성요인 규명(Ⅱ)" 12 (12): 35-50, 2001

      24 Benett, M., "The Profile of a winner:Advanced mental training for athletes" Sport Science International 1987

      25 Bandura. A., "Self-effocacy : Toward a unnifery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26 Ainley, M., "Handbook of research on student engagement" Springer 283-302, 2012

      27 Weinberg, R. S., "Foundations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Human Kinetics 2014

      28 Zimbardo, P. G., "Essentials of Psychology and Life Glenview, Ⅲ: Scott" Scott, Foresman and Co 1980

      29 신민혜,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시안에 따른 표현영역에서의 창의역량 하위요인과 적용" 한국체육정책학회 13 (13): 121-133,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8 1.78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1 1.8 1.668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