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환단고기』 위서론 논박 論駁 = A confutation on the logic of the Hwandangogi forgery theo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053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고대사를 담은 사서가 거의 없는 현실에서 『환단고기』라는 책이 출판되고 이와 관련해서 다양한 논의가 발생했다. 대다수 국민들은 우리 상고사의 위대함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

      한국 고대사를 담은 사서가 거의 없는 현실에서 『환단고기』라는 책이 출판되고 이와 관련해서 다양한 논의가 발생했다. 대다수 국민들은 우리 상고사의 위대함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 이유는 『환단고기』의 내용이 기존의 역사학계의 주장과 매우 차이가 나기 때문이었다. 강단사학계의 몇몇 학자들은 『환단고기』가 위서라고 주장했고, 이를 입증하는 근거를 마련했다. 그러나 그들의 위서론은 역사적 사실과 상식에 어긋나고 논리적 모순을 범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환단고기』 위서론의 논리를 비판하고 그 논리적 부당성을 밝히고 있다. 나아가 위서론이란 실제로 존재하는 학술적 입장이 아니라 『환단고기』를 부정하기 위해 만들어낸 조작설이며 허구임을 드러내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 논문은 위서론자들의 논리를 그들의 주장 내에서 비판하고, 그들의 주장을 바탕으로 해서 위서론이 어떤 가능한 학문적 주장이 아니라 허구적 내용을 담은 허구 의 논리임을 입증한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wandangogi was published in the beginning of the 1980s, stirring much debate among historians studying ancient Korean history, a field which until this time featured almost no historical records. Many Koreans developed an interest in the greatnes...

      The Hwandangogi was published in the beginning of the 1980s, stirring much debate among historians studying ancient Korean history, a field which until this time featured almost no historical records. Many Koreans developed an interest in the greatness of their early ancient history as a result. However, mainstream history academia hasn’t accepted the veracity of the Hwandangogi. This is because the Hwandangogi presents information far different from prevailing academic theories about Korean history. Some mainstream historians contend the Hwandangogi is a forgery, and have attempted to offer evidence for their assertions. However, their arguments defy both historical facts and common senses. They are also logically inconsistent. This essay presents a critique against the logic of the Hwandangogi forgery theories and sheds light on the inconsistencies in their argumentation. Furthermore, the essay shows that the Hwandangogi forgery theory isn’t a true academic position based on research; rather it is a means of argumentation concocted to repudiate the veracity of the Hwandangogi. Above all, this essay is a critique on the logic of the assertions made by those who claim the Hwandangogi is an inauthentic work of history. In doing so it proves that the claims of such theorists are not based on any form of possible conclusion from the study of history, but rather on fabricated evidence for the sake of false argu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는 말
      • II. 위서론僞書論이란
      • III. 『환단고기』 위서론의 발생배경
      • IV. 『환단고기』 위서론의 몇 가지 사례와 논박論駁
      • V. 만들어진 위서론
      • I. 들어가는 말
      • II. 위서론僞書論이란
      • III. 『환단고기』 위서론의 발생배경
      • IV. 『환단고기』 위서론의 몇 가지 사례와 논박論駁
      • V. 만들어진 위서론
      • VI. 맺음말: 『환단고기』 진서론眞書論 검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