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분진 노출과 직업성 피부문제의 관련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24114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 아주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 , 2018. 2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362.1965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The Association Between Dust Exposure and Occupational Skin Problems

      • 형태사항

        58 p. : 도표 ; 26cm

      • 일반주기명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전기홍
        참고문헌 : p.(32-3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산업현장에서 근로자의 건강을 위협하는 유해위험요인 중 하나인 분진 노출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호흡기 질환에 집중되어 있어 피부질환의 연구는 미미한 상태였다. 이처럼 분진과 ...

      목적
      산업현장에서 근로자의 건강을 위협하는 유해위험요인 중 하나인 분진 노출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호흡기 질환에 집중되어 있어 피부질환의 연구는 미미한 상태였다. 이처럼 분진과 피부질환에 대한 연구가 적은 이유는 피부질환은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고 인식되어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내외의 연구에서 분진 노출에 의한 피부질환 발생의 타당성을 확인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기, 흄, 가루나 먼지에 노출되는 분진 작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업성 피부문제 발생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분진 작업장 근로자와 직업성 피부문제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제 4차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대상자는 임금근로자 30,751명으로 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인구사회적 요인인 성별, 연령, 학력, 소득, 직무여건 요인으로 보호구 착용, 작업장 근무기간, 주당 근무시간, 고용형태, 직종, 직무정신적 요인으로 직무 스트레스, 근로환경 만족도, 유해작업환경 요인으로 고온 작업장, 유기용제 흡입 작업장, 화학물질 접촉 작업장, 건강인식 요인으로 주관적 건강상태를 통제하고 분진 작업장 근로자와 직업성 피부문제 발생의 관련성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분진 노출과 직업성 피부문제의 관련성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확인한 결과 근로자가 분진에 노출되는 빈도가 “심한 노출”로 심해지는 경우 피부문제를 호소하는 비율이 1.76배(p<0.05)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임금근로자의 분진 노출과 직업성 피부문제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인구사회적 요인, 직무정신적 요인, 직무여건 요인, 유해환경 요인, 건강인식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분진 노출 빈도가 증가할수록 피부문제를 호소하는 비율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분진 노출에 대해서는 호흡기 질환에만 치중된 정책과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 결과와 같이 분진 작업장 근로자에게 발생하는 피부문제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피부문제는 심각한 경우 대인기피증, 우울증, 자살충동까지 이르게 하는 현대적 질환임을 감안하여 분진에 노출되는 작업자의 피부문제는 근로자 본인은 물론, 사회적 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Nevertheless, some previous studies have confirmed the validity of dermatological health problems caused by dust exposure, most of the studies on dust exposure were focused on respiratory diseases and the researchs on skin diseases were very f...

      Purpose
      Nevertheless, some previous studies have confirmed the validity of dermatological health problems caused by dust exposure, most of the studies on dust exposure were focused on respiratory diseases and the researchs on skin diseases were very few. Therefo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kin problems and the workers exposed to smoke, fume, powder or dust in the working environment.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used the fourth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data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kin problems and workers exposed to dusts. A total of 30,751 workers, with adjusted gender, age, education, income, working stress,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protective equipments, working period, weekly working hours, employment type, working place of high temperatures, working place of breathing in vapours, working place of skin contact with chemical products, self rated health. And then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dusts and skin problems was tes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dusts and skin problems was examin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terms of frequency of exposure to dusts, the ratio of dermatological health problems was 1.76 (p<0.05) for the "severe exposure" group, after adjusting for the confounding variables.

      Conclusion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appealing to the skin problem increased as the frequency of dust exposure increased after adjusting for the confounding variables. In the past, policy and research focusing on respiratory diseases have been conducted on dust exposure, but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dust exposure and occupational skin problems. Considering that the skin problem is a modern disease that causes severe sociophobia, depression and suicidal impulse, the skin health care of the workers exposed to the dusts should actively intervene not only at the workers themselves but also at the social lev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4
      • 3.1 분진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4
      • 3.1 분진 4
      • 3.2 흄 4
      • 3.3 연기 4
      • 4. 이론적 배경 5
      • 4.1 분진 5
      • 4.2 직업성 피부질환 7
      • 4.3 분진과 피부질환 8
      • Ⅱ. 연구방법 10
      • 1. 연구 모형 10
      • 2. 연구대상과 자료 11
      • 2.1 연구대상자 11
      • 2.2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 12
      • 2.2.1 유해환경 요인 12
      • 2.2.2 건강인식 요인 13
      • 2.2.3 인구사회적 요인 13
      • 2.2.4 직무정신적 요인 13
      • 2.2.5 직무여건 요인 14
      • 3. 분석방법 17
      • Ⅲ. 결과 18
      •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8
      • 2. 연구에 사용된 변수와 피부문제의 차이 22
      • 3. 분진 노출과 직업성 피부문제의 관련성 25
      • Ⅳ. 고찰 28
      • Ⅴ. 결론 31
      • 참고문헌 32
      • 부록 36
      • ABSTRACT 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