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분무건조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고체분산체의 용출율 조절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311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lid dispersion is usually used to improve the solubility of water insoluble drug. However in this study solid dispersion used to prevent initial burst of rosiglitazone maleate. We used celluloses acetate as a waterproof coat to control the release o...

      Solid dispersion is usually used to improve the solubility of water insoluble drug. However in this study solid dispersion used to prevent initial burst of rosiglitazone maleate. We used celluloses acetate as a waterproof coat to control the release of the drug. The solid dispersion of the two components (rosiglitazone maleate and cellulose acetate) were prepared by spray drying. The surface of solid dispersed samples was analy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and X-ray diffraction(XRD) was used to analyze the crystallinity of the drug. Als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lid dispersion were analyzed by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 FT-IR, DSC and XRD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drug were changed by solid dispersion. Release profile showed that release rate of drug decreased, as polymer content rate increased and release rate of drug decreased, low concentration of the two components(rosiglitazone maleate and cellulose acetate) in gastric juice(pH 1.2).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1. 약물전달시스템의 개요 1
      • 1.2. 고체분산체 2
      • 1.2.1. 고체분산체의 정의 2
      • 1.2.2. 고체분산체의 역사 3
      • 제1장 서론 1
      • 1.1. 약물전달시스템의 개요 1
      • 1.2. 고체분산체 2
      • 1.2.1. 고체분산체의 정의 2
      • 1.2.2. 고체분산체의 역사 3
      • 1.2.3. 고체분산체의 제조방법 4
      • 1.3. 연구 목표 6
      • 제2장 실험 목적 및 방법 8
      • 2.1. 실험 목적 8
      • 2.2. 실험방법 9
      • 2.2.1. 시약 및 재료 9
      • 2.2.2. 고체분산체의 제조 9
      • 2.2.3. 고체분산체의 약물 포접율 측정 10
      • 2.2.4. 고체분산체의 형태학적 특성 곤찰 10
      • 2.2.5. FT-IR 분석 10
      • 2.2.6. 결정화도 분석 11
      • 2.2.7. 생체외 용출 거동 11
      • 2.2.8. HPLC 분석 12
      • 제3장 결과 및 고찰 13
      • 3.1. 고체분산체의 제조 및 약물 포접율 측정 13
      • 3.2. 고체분산체의 형태학적 분석 13
      • 3.3. 고체분산체의 구조화학적 분석 14
      • 3.4. 고체분산체의 결정학적 분석 14
      • 3.5. 생체외 용출거동 15
      • 제4장 결론 17
      • 제5장 참고문헌 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