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Eine vergleichende Studie uber die Kampfdarstellungen in Veldekes Eneide und Wolframs Willehalm = 펠데케(Veldeke)의 에네이데(Eneide)와 볼프람(Wolfram)의 빌레할름(Willehalm)에 있어서 전쟁묘사에 관한 비교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053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독일 중세문학에는 전쟁을 테마로 한 작품들이 수없이 많다. 시대적 현실이 군웅할거를 가능케했고 정치무대에서는 뭇 영웅호걸들의 부침을 연출했다. 현실이 이토록 혼잡스럽고 암울하...

      독일 중세문학에는 전쟁을 테마로 한 작품들이 수없이 많다. 시대적 현실이 군웅할거를 가능케했고 정치무대에서는 뭇 영웅호걸들의 부침을 연출했다.
      현실이 이토록 혼잡스럽고 암울하면 할 수록 이에 비례해서 이 상황을 극복하려는 인간의 소망들은 더욱 환상적이고 이상적인 세계로 경도될 수가 있는 법이다. 특히 중세문학 속에는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아루투스 왕의 전설을 소재로 하고 있는 궁정 기사소설은 그 좋은 전형이라 하겠다.
      이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작품 Veldeke의 Eneide와 Wofram의 Willehalm은 장르적으로는 상기 부류에는 속하지 않지만, 기본정신은 바로 그런 방향으로의 문학적 승화의 단면을 표출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이 두 작품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줄거리들을 전쟁이라는 테마에 집약시켜서 그 전개과정을 분석하고 문학적 묘사양태를 서로 비교해서 그 특징의 소재를 본 논문은 밝혀주려고 한다.
      결국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하기 마련인 역사소설 조차도 여기서는 역사적 현실의 사실적 묘사라기 보다는 오히려 문학적 승화과정을 통해서 현실의 이상화 즉 다분히 환상적 현실을 소박하게 추구하고 있다는 결론을 이르게 된다.
      모티브적 관점에서도 전쟁이란, 아루투스 기사의 개인적 무용담과는 그 성격을 달리하고 있지만, 세부적 묘사에 있어서는 의례히 무술시합(Turnier)에서 벌어지는 마상창시합처럼 단순화시켜서 양식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롯의 전개상 대두되는 시간성의 처리문제도 두 작품은 무리한 비약없이 대조적을 잘 소화시키고 있는 점은 괄목할만 하다.
      Eneide에서의 시간적 형상화의 특징을 속계성(Sukzession)이라고 요약할수 있다면 Willehalm의 그것은 한 마디로 동시성(Gleichzeitigkeit)이라고 규정할 수가 있겠다.
      그 외 전투기술적인 면에 있어서는 다분히 양식화된 전형이 지배적이지만, 그래도 군대라는 조직체를 편제에 마추어 전략적으로 집결시켜 공세를 취하게 하는 장면묘사야 말로 Willehalm의 경우 그 치밀함에 있어서 중세문학의 일품을 이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아가서 투쟁윤리 역시 신화적·종교적 갈등을 해소시키기 위해서 애정관계나 인도주의적 상황으로 승화시키고 있는 양상으로 보아도 결국 두 작품은 각기 자기 나름대로의 진가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구현시키고 있는 중세 독일 역사소설의 대표작임을 본 눈문은 입증해 주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Typus der Schlacht
      • Ⅱ. Figurenkonstellation und Truppenaufstellung
      • a) In der Eneide
      • b) Im Willehalm
      • Ⅲ. Zeitverhaltnisse in der Darstellung des Schlachtverlaufs
      • Ⅰ. Typus der Schlacht
      • Ⅱ. Figurenkonstellation und Truppenaufstellung
      • a) In der Eneide
      • b) Im Willehalm
      • Ⅲ. Zeitverhaltnisse in der Darstellung des Schlachtverlaufs
      • a) In der Eneide
      • b) Im willehalm
      • Ⅳ. Stillisierung und Umstilisierung der Kampftechnik
      • Exkurs: Kampftechnik bei Vergil und Veldeke
      • Ⅴ. Erzahler: Bericht und Kommentar
      • Ⅵ. Zusammenfassung Literaturverzeichnis Koreanische Zusammenfassu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