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리나라 청소년 대사증후군 패턴과 식이요인과의 연관성 연구 : 2007~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 Three distinct patterns of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dietary factors in Korean using data from KNHANES 2007~201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6408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우리나라는 성인들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증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청소년에서도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청소년의 대사증후군에 여러 영향이 미치는데 그 중 식...

      최근 우리나라는 성인들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증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청소년에서도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청소년의 대사증후군에 여러 영향이 미치는데 그 중 식사요인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성인에서 대사증후군과 식이요인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 발표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청소년의 대사증후군과 식이와의 관련성을 보는 연구는 극히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 대사증후군 위험 요소의 패턴과 식사 요인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07-2012년 국민영양조사의 건강검진과 식품섭취조사에서 모두 참여한 10-18세 청소년 중 대사증후군 요소와 24시간 회상 자료가 모두 있는 2,9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청소년 대사증후군 진단은 국제당뇨협회(IDF)와 미국 콜레스테롤 교육 프로그램(NCEP-ATPⅢ)의 기준을 사용하였고, 대사증후군 요소의 패턴 구별을 위하여 허리둘레,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공복 혈당, 중성 지방과 HDL콜레스테롤을 사용하였다. 청소년 대사증후군 요소의 군집은 세 가지 패턴으로 구별되는데 1)높은 혈압(Elevated blood pressure pattern) 2)이상지혈증(Dyslipidemia pattern) 3)혈당 이상(Glucose abnormalities pattern)이라 명명하였다.‘높은 혈압(High blood pressure)’패턴에서는 연령, 성별, 신체활동 보정 시 허리둘레, HDL-콜레스테롤, 공복혈당,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HOMA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영양소 섭취는 탄수화물에서 사분위수간 차이를 보였으며 티아민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식품군 섭취에서는 난류와 어패류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지혈증(Dyslipidemia)패턴에서 연령, 성별, 신체활동 보정 시 허리둘레,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수축기 및 이완혈압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영양소 섭취량은 에너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칼슘, 인, 나트륨, 리보플라빈에서 4분위그룹간의 차이를 나타냈고 지방, 나트륨, 리보플라빈, 니아신이 그룹간 유의적이었다. 식품군 섭취에서는 흰밥, 밀가루&빵, 채소류, 생채소류, 김치류, 육류, 어패류, 해조류, 유류 및 그 제품, 조리가공식품류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혈당 이상(Glucose abnormalities)패턴에서는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공복혈당,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영양소 섭취는 티아민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모든 식품군 섭취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대사증후군 요소들이 묶이는 특징적인 패턴이 존재하고, 각 패턴마다 다른 식사요인이 관련되었다. 앞으로 단면적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패턴과 식사요인의 연관성을 밝히는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다.
      중심어 : 대사증후군, 요인 분석, 식이요인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adolescents is increasing, little is presently known about this syndrome in adolescents. This study aimed to cluster metabolic risk factors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identified patterns and n...

      Whil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adolescents is increasing, little is presently known about this syndrome in adolescents. This study aimed to cluster metabolic risk factors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identified patterns and nutrient intake using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Examination and Nutritional Assessment (KNHANES).
      A total of 2,958 subjects aged 10 to 18 years with both biochemical and dietary data information were obtained from KNHANES 2007-2010. Six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were used to identify any patterns via factor analysis. Individuals were categorized into quartile groups according to their pattern score.
      Three clustering patterns with high loadings were identified and named as follows: 1) high blood pressure, 2) dyslipidemia, and 3) glucose abnormality pattern. The high blood pressure pattern showed high loadings of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the dyslipidemia pattern showed high loadings of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levels, and the glucose abnormality pattern showed high loadings of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The intakes of fat and riboflavi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ose of sodium and niac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cross the quartiles in the dyslipidemia pattern. No nutrient intake except thiami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igh blood pressure or glucose abnormality pattern.
      Our findings showed that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the Korean adolescent population are characterized by three distinct patterns, which are differentially associated with dietary factors. Characterizing metabolic risk factors and providing specific dietary guidelines for target groups are important.
      Keywords: adolescents, metabolic syndrome, factor analysis, nutrient intak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1
      • Ⅰ. 서론…………………………………………………………………………………………………… 3
      •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10
      • 초록........................................................................................................... 1
      • Ⅰ. 서론…………………………………………………………………………………………………… 3
      •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10
      • 1. 연구 대상자………………………………………………………………………………………… 10
      • 2. 대사증후군 요소 진단 기준 ............................................................... 12
      • 3. 대사증후군 요소를 이용한 패턴분석.................................................... 13
      • 4. 일반적 특성 및 생화학적 지표 .......................................................... 14
      • 5. 식사조사……………………………………………………………………………………………… 15
      • 6. 통계분석……………………………………………………………………………………………… 16
      • Ⅲ. 결과.................................................................................................. 18
      • 1. 대사증후군 요소를 이용한 패턴분석.................................................. 18
      • 1.1 확인적 요인 분석…………………………………………………………………………… 18
      • 1.2 탐색적 요인 분석.............................................................................. 21
      • 2. 높은 혈압(High blood pressure)패턴................................................ 24
      • 2.1 신체계측 및 생화학적 지표.......................................................... 24
      • 2.2 일반적 특성 ................................................................................ 26
      • 2.3 영양소 섭취 수준 ........................................................................ 28
      • 2.4 식품 섭취 수준............................................................................. 30
      • 3. 이상지혈증(Dyslipidemia)패턴............................................................ 32
      • 3.1 신체계측 및 생화학적 지표........................................................... 32
      • 3.2 일반적 특성................................................................................... 34
      • 3.3 영양소 섭취 수준.......................................................................... 36
      • 3.4 식품 섭취 수준.............................................................................. 38
      • 4. 혈당 이상(Glucose abnormality)패턴.................................................. 40
      • 4.1 신체계측 및 생화학적 지표............................................................ 40
      • 4.2 일반적 특성.................................................................................... 42
      • 4.3 영양소 섭취 수준........................................................................... 44
      • 4.4 식품 섭취 수준.............................................................................. 46
      • Ⅳ. 고찰...................................................................................................... 49
      • 1. 대사증후군 요소의 군집화 …………......................................................... 49
      • 2. 높은 혈압(High blood pressure)패턴.................................................. 50
      • 3. 이상지혈증(Dyslipidemia)패턴............................................................. 51
      • 4. 혈당 이상(Glucose abnormalities)패턴............................................... 52
      • Ⅴ. 결론...................................................................................................... 53
      • Ⅵ. 참고문헌.............................................................................................. 55
      • ABSTRACT............................................................................................. 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