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임산부의 행복감이 태교실천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Happiness of Pregnant Women on Practice of Parental C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319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임산부들의 행복감이 태교실천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임산부의 태교실천 수준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 임산부의 행복감 향상에 기여하고자하는 목적으...

      본 연구는 임산부들의 행복감이 태교실천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임산부의 태교실천 수준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 임산부의 행복감 향상에 기여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조사대상은 인터넷 네이버카페 ‘레몬테라스 임산부 방’에서 활동하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4년 11월 17일부터 11월 19일까지 ‘레몬테라스 임산부방’에 설문을 게시하고 Survey monkey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00부의 설문의 응답을 받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t-test, ANOVA,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차이분석, 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행복감과 태교실천 정도 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즉, 행복감이 높으면 태교실천 정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즉, 미래 태어날 가족에 대한 사랑이 태교로 표현된 것으로 임산부는 임신기간 동안 심신이 안정되면 행복감이 높아져 태교실천도 적극적으로 하게 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행복감과 나이 간에 부(-)의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임산부의 평균출산연령이 31.84세 이다(2013년 통계). 나이는 고령화 임신나이인 35세보다는 적으나 30세 이후의 임신은 임산부의 나이가 많을수록 태아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고령 임신의 경우 임산부의 나이가 많아 태아에게 해가 되는지 임신기간 내내 신경 쓰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험은 임산부가 임신기간 내내 심신의 안정을 취할 수 없게 되어 행복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오히려 고령임신의 경우에는 너무 예민하게 태아에게 집중하기 보다는 임산부 몸의 변화나 이상증세를 기록하는 태교일기, 음악듣기, 미술 감상 등 태교실천에 집중하는 것이 더 좋다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임산부의 행복감 향상을 위하여 임산부의 신체적, 심리적 변화를 위한 파악과 교육이 우선되어야 한다. 임산부는 임신 기간 동안 신체적 심리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며 임신에 대하여 두려움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임산부의 특성을 파악하고 임산부가 안정된 상태에서 생활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임산부의 정서가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이 추후 아동복지나 가정복지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임산부의 특성상 신체적 심리적 불안정으로 어려움이 생길 수 있고 이는 임산부의 태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미래, 태어날 아이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아동, 청소년 문제의 예방과, 해체될 수 있는 가족에 대한 예방을 위하여 사전예방차원에서 임산부에게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셋째, 태교의 중요성을 토대로 고령임산부에 대하여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이 반영되어야 한다. 최근 저출산 문제로 인하여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령화 임산부에 대하여 정부는 임산부 복지에 대하여 사회심리학적 측면에서 정책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령화 임산부를 위한 예산지원을 펼쳐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 방법 2
      • 제 3 절 연구 범위 및 논문의 구성 3
      • I.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제 2 절 연구 방법 2
      • 제 3 절 연구 범위 및 논문의 구성 3
      • 제 4 절 용어의 정의 5
      • II. 이론적 배경 6
      • 제 1 절 임산부 6
      • 1. 임산부의 심리적 변화 6
      • 2. 임산부의 정서와 태아 10
      • 제 2 절 태교 12
      • 1. 태교의 개념 12
      • 2. 우리나라의 전통태교 14
      • 3. 태교의 중요성 및 종류 16
      • 4. 임산부의 정서와 태교의 상관관계 23
      • 제 3 절 행복감 24
      • 1. 행복감의 의미 24
      • 제 4 절 태교실천 28
      • III. 연구방법 31
      • 제 1 절 연구가설의 설정 31
      •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32
      • 제 3 절 연구모형 36
      • 제 4 절 표본선정 및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42
      • 1. 표본선정 및 자료수집 42
      • 2. 자료의 분석방법 43
      • IV. 연구결과 44
      • 제 1 절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44
      • 제 2 절 요인분석 결과 45
      • 제 3 절 응답자별 차이분석 48
      • 제 4 절 기술통계분석 49
      • 제 5 절 상관관계분석 50
      • 제 6 절 태교실천의 차이분석 51
      • 1. 태교음악에 대한 차이검증 51
      • 2. 태교미술에 대한 차이검증 55
      • 3. 태담태교에 대한 차이검증 59
      • 4. 동화태교에 대한 차이검증 63
      • 5. 일기태교에 대한 차이검증 67
      • 6. 태교명상에 대한 차이검증 71
      • 7. 운동태교에 대한 차이검증 75
      • 8. 산소태교에 대한 차이검증 79
      • 9. 탄산호흡법에 대한 차이검증 83
      • 10. 음식태교에 대한 차이검증 87
      • 제 7 절 회귀분석 91
      • V. 결 론 93
      • 제 1 절 요약 93
      • 제 2 절 시사점 및 제언 95
      • 제 3 절 한계점 96
      • 참고문헌 98
      • 부 록 102
      • ABSTRACT 1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