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술감상 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 for Art Appreciation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21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온라인 교육에서 대단위 규모의 교양과목으로서 미술감상 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학습자 요구서를 기반으로 하여 AS...

      본 연구는 온라인 교육에서 대단위 규모의 교양과목으로서 미술감상 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학습자 요구서를 기반으로 하여 ASSURE모형(Heinrich, 1996)에 따른 파일럿 연구와 ARCS 모형(Keller, 1987;1-7)에 따른 제작과정을 제시하였다.
      전통적으로 예술교육은 미술관 및 박물관, 극장 등 실재 공간속에서 감상하고 체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전통적인 예술 공간에 대한 인지경험은 디지털교과서의 플랫폼을 보다 더 자연스럽고 유기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체계를 부여해 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실재공간에 대한 인지경험을 가상체험 경험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학습의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새로운 학습도입 전략과 시각체험을 체계화한 미술감상 교육을 위한 디지털 교과서를 제안하였다.
      최근 들어 미술작품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그동안 전문적으로 다루어졌던 미술감상에 대한 관심이 사회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고 미술을 통해 다양한 문화와 인류의 이해를 돕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how to develop the platform of a digital art appreciation textbook by introducing a spatial concept of an art museum in an effort to provide appreciation education by utilizing a virtual experience space. Tra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how to develop the platform of a digital art appreciation textbook by introducing a spatial concept of an art museum in an effort to provide appreciation education by utilizing a virtual experience space.
      Traditionally, art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by focusing on appreciating and experiencing in some uniform spaces like an art gallery, museum and movie theater. Such a conventional awareness of art spaces made it possible to construct the platform of a digital textbook in a more natural and organic manner. In this study, a digital textbook platform was suggested by introducing a new learning strategy and visual experience conception in a move to heighten virtual experience and learning immersion.
      There has lately been a growing concern and demand for art works, and art appreciation that had just been viewed as the sphere of experts draws growing public atten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spond to such a social need and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mankind and diverse human cul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예승, "하이퍼미디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하이퍼미디어 공간에서 의례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인터랙션 공간을 중심으로" 홍익대 대학원 2005

      2 김정희, "초등학교 디지털교과서 디자인에 대한연구 -5학년 수학책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 2008

      3 김경옥, "초등미술에서 발달단계에 따른 감상교육에 관한 연구" 2004

      4 현은령, "즐거운 미술감상" 도서출판 일컴 2009

      5 이창선, "제품디자인의 현실감에 있어 가상현실(VR)의 적합성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6 (6): 315-323, 2006

      6 박선희, "유아와 미디어리터러시" 도서출판 일컴 2009

      7 김명희, "예술교과에서의 수업설계와 평가: Arts Propel 2" 문음사 2007

      8 전양희, "어린이 박물관 체험전시 공간 프로그래밍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 정책대학원 2005

      9 현은령,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활용한 어린이미술교육 도입전략의 효과"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15) : 627-635, 2007

      10 정재연, "발염을 활용한 섬유/패션디자인의 특징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2 (12): 14-23, 2006

      1 이예승, "하이퍼미디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하이퍼미디어 공간에서 의례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인터랙션 공간을 중심으로" 홍익대 대학원 2005

      2 김정희, "초등학교 디지털교과서 디자인에 대한연구 -5학년 수학책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 2008

      3 김경옥, "초등미술에서 발달단계에 따른 감상교육에 관한 연구" 2004

      4 현은령, "즐거운 미술감상" 도서출판 일컴 2009

      5 이창선, "제품디자인의 현실감에 있어 가상현실(VR)의 적합성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6 (6): 315-323, 2006

      6 박선희, "유아와 미디어리터러시" 도서출판 일컴 2009

      7 김명희, "예술교과에서의 수업설계와 평가: Arts Propel 2" 문음사 2007

      8 전양희, "어린이 박물관 체험전시 공간 프로그래밍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 정책대학원 2005

      9 현은령,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활용한 어린이미술교육 도입전략의 효과"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15) : 627-635, 2007

      10 정재연, "발염을 활용한 섬유/패션디자인의 특징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2 (12): 14-23, 2006

      11 박휘락, "미술감상과 미술비평교육" 시공사 2003

      12 Keller, "매력적인 수업설계" 교육과학사 1999

      13 목영해, "디지털문화와 교육" 문음사 2001

      14 김상수, "국내 초 중등학교를 위한 통합형 e-포트폴리오 설계 및 활용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대 2008

      15 권성호, "교육공학의 탐구" 양서원 1998

      16 현은령, "개인형 웹 커뮤니티를 적용한 디자인교육에서 피드백 제시유형이 학습자만족도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 대학원 2008

      17 Gamberini. L., "rtual reality as a new resea rch tool for the study of human memory" 3 (3): 2000

      18 엄기준, "VRML을 이용한 가상공간 디자인의 웹 3D 커뮤니티로의 적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6

      19 Keller, J. M., "Strategies for stimulating the motivation to learn" 26 (26): 1987

      20 Heinich. R., "Instructional media and the new technologies for learning. (5th ed.)" Prentice Hall 1996

      21 Benedikt. M., "Cyberspace Some Proposals, Cyberspace; Firststep" The MIT Press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1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KCI등재
      2007-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6-02-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10-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9-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3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