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역 TV뉴스의 질적 수준이 시청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Can High Quality Win Ratings? -The Effect of Local TV News’ Quality on Its Rat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30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for exploring the effect of local TV news quality on its ratings. At first,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quality differences among 204 local news programs of 5 local cities. These five cities are Busan, Daegoo, Daeje...

      This Study is for exploring the effect of local TV news quality on its ratings.
      At first,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quality differences among 204 local news programs of 5 local cities. These five cities are Busan, Daegoo, Daejeon, Gwangju, and Junju that are representative of Korean various regions except the capital area. In each city, 3 local stations affiliated with one among Korean national television networks(KBS, MBC and SBS) are located. And those local news programs’ rating data(ratings and shares) were collected.
      In Korea, regardless of their regions, every local TV stations are very dependent with their key stations which are located in Seoul. Though they are major programs of local stations, local news are not exceptional. Especially, the ratings of main local news program in prim time are almost determined by the lead-in national news program. So many local news producers believe that the quality can’t contribute to improving ratings.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quality can do it. In this study, Quality Factor is consisted of significance, journalistic enterprise, balance, regional relevance. And Structural Factor is consisted of region, channel, lead-in effect. When the Structural Factor is controlled, Quality Factor increases the explained variances of local TV news ratings and shares significantly.
      Among the quality variables, journalistic enterprise is the best predict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지역 TV뉴스의 질적 수준과 시청률 및 점유율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국내 5대 지역 도시, 지상파 3사의 메인 지역 뉴스 프로그램들을 분석했다. 먼저 질적 수준 분석...

      이 연구는 지역 TV뉴스의 질적 수준과 시청률 및 점유율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국내 5대 지역 도시, 지상파 3사의 메인 지역 뉴스 프로그램들을 분석했다. 먼저 질적 수준 분석결과는 전반적으로 이중적이었다. 공공 정책이나 이슈, 공적 부정행위 등에 대한 보도 비중과 방송사의 기획보도 비중이 높다는 점은 지역 뉴스가 지역 공론장 구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단순 지역인물 동정이나 행사와 같이 사전계획된 보도 비중은 높고 취재원이나 시각을 균형있게 다룬 보도의 비중은 매우 낮다는 점은 부정적 평가 대상이다. 그런데 지역 뉴스가 이중에서 어떤 면을 더 많이 보여줬는가, 즉 질적 수준은 지역과 채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시청률과 점유율에 대한 예측력 분석결과, 중요성, 기획성, 균형성, 연관성 등으로 구성된 질적 요인의 예측력은 유의미했다. 지역 뉴스의 질적 요인은 전국 뉴스의 인접효과를 포함한 구조적 요인의 막강한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이 연구가 기대했던 것처럼 지역 뉴스의 시청률과 점유율에 대한 설명력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이 과정에서 가장 높은 기여도를 보인 변인은 방송사의 저널리즘적 노력 정도를 보여주는 기획성이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들은, 전국 뉴스의 영향력이 아무리 막강하다 하더라도 지역방송사의 노력에 따라 지역 시청자들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는 여지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역 뉴스 질적 수준 향상은 지역방송사에게 단지 규범적⁃당위적 목표가 아니라 시청률 향상이라는 경제적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현실적 목표인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준웅, "한국형 방송 뉴스 도식의 발견: 뉴스의 내용적이며 구성적 특성과 뉴스 제작 시스템" 한국방송학회 18 (18): 232-292, 2004

      2 이창현, "텔레비전 뉴스 아이템의 채널 간 중복률과 정보채널 및 내용적 특성" 한국언론학회 48 (48): 189-206, 2004

      3 양혜승, "지역지상파 프로그램의 품질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 세부요인 분석 :부산지역 시청자 조사를 중심으로" 문화방송 10 (10): 119-159, 2009

      4 조항제, "지역방송의 지역성 변화 : 개념적 접근" 한국언론정보학회 34 : 275-304, 2006

      5 남궁협, "지역방송의 뉴스양식 및 보도 시스템에 관한 연구:광주지역 지상파 TV 방송뉴스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7 (7): 81-115, 2007

      6 주정민, "지역방송 뉴스 특성, 구성방식과 지역성 구현과의 관계 연구" 한국언론학회 51 (51): 304-327, 2007

      7 이강형, "지역민들의 ‘지역 정체성’이 지역뉴스 시청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6 (6): 342-377, 2006

      8 배현석, "지역 TV뉴스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대구 지역 공중파 TV뉴스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6 (46): 5-176, 2002

      9 정수영, "지상파TV 뉴스의 다양성 및 중복성에 관한 연구: KBS, MBC, SBS의 2009년도 저녁 종합뉴스 프로그램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4 (24): 415-457, 2010

      10 조성호, "지상파 TV 뉴스와 보도 시청행태의 변화 ― 2000-2009"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455-492, 2012

      1 이준웅, "한국형 방송 뉴스 도식의 발견: 뉴스의 내용적이며 구성적 특성과 뉴스 제작 시스템" 한국방송학회 18 (18): 232-292, 2004

      2 이창현, "텔레비전 뉴스 아이템의 채널 간 중복률과 정보채널 및 내용적 특성" 한국언론학회 48 (48): 189-206, 2004

      3 양혜승, "지역지상파 프로그램의 품질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 세부요인 분석 :부산지역 시청자 조사를 중심으로" 문화방송 10 (10): 119-159, 2009

      4 조항제, "지역방송의 지역성 변화 : 개념적 접근" 한국언론정보학회 34 : 275-304, 2006

      5 남궁협, "지역방송의 뉴스양식 및 보도 시스템에 관한 연구:광주지역 지상파 TV 방송뉴스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7 (7): 81-115, 2007

      6 주정민, "지역방송 뉴스 특성, 구성방식과 지역성 구현과의 관계 연구" 한국언론학회 51 (51): 304-327, 2007

      7 이강형, "지역민들의 ‘지역 정체성’이 지역뉴스 시청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6 (6): 342-377, 2006

      8 배현석, "지역 TV뉴스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대구 지역 공중파 TV뉴스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6 (46): 5-176, 2002

      9 정수영, "지상파TV 뉴스의 다양성 및 중복성에 관한 연구: KBS, MBC, SBS의 2009년도 저녁 종합뉴스 프로그램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4 (24): 415-457, 2010

      10 조성호, "지상파 TV 뉴스와 보도 시청행태의 변화 ― 2000-2009"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455-492, 2012

      11 Kovach, B, "저널리즘의 기본요소" 한국언론재단 2003

      12 한혜경, "인터넷 이용자의 뉴스 주제 이용패턴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7 (7): 367-403, 2007

      13 한혜경, "인터넷 공론장의 분할과 극화 완화기제 : 허브 공간 이용과 보수•진보 공간 중복이용의 효과"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5 (15): 391-426, 2011

      14 정성욱, "인접효과와 포맷 변경이 지역방송 뉴스 시청률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정책정보대학원 2010

      15 류흥렬, "인접효과가 9시뉴스 시청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2008년 이후 일일드라마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10

      16 Lasch, C, "엘리트의 반란과 민주주의의 배반" 중앙M&B 1999

      17 한혜경, "시청자 특성에 따른 시청패턴 분석 :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매체 시청량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8

      18 최양수, "방송편성에서의 근접효과에 관한 연구" 1 (1): 239-251, 1992

      19 심미선,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텔레비전 시청패턴 연구: 일원 자료를 근거로" 한국언론학회 48 (48): 189-217, 2004

      20 김재영, "대전.충남 지역 지상파와 케이블 지역채널 뉴스 비교 분석: 케이블 지역채널의 보도 기능 제한에 대한 재고" 한국방송학회 25 (25): 167-200, 2011

      21 최양수, "다채널 환경에서의 지상파 텔레비전 시청 행태 변화 : 2000년과 2008년의 시청률과 시청 충실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4 (54): 411-435, 2010

      22 이창현, "뉴스아이템의 특성에 따른 TV뉴스의 중요도 차이" 44 (44): 412-440, 1999

      23 이정교, "뉴스 앵커의 카리스마가 수용자의 뉴스 신뢰도, 뉴스 시청의도, 프로그램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앵커의 동일시와 공신력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6 (26): 173-214, 2012

      24 윤석민, "공중파TV뉴스와 24시간 유선TV뉴스에 있어서의 시청동기의 차이" 92-112, 1994

      25 임영호, "공간 이론을 통해 본 한국 방송학의 정체성 문제 : 지역방송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6 (16): 275-303, 2002

      26 Rosenstiel, T, "We Interrupt This Newscast: How to Improve Local News and Win Ratings, to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7 Harbermas, J, "The Public Sphere: An Encyclopedia Article" Sage 171-, 1964

      28 Dean, W. C, "The Myths That Dominate Local TV News: The X-Stucture and the Fallacy of the Hook-and-Hold Method of TV News, In We Interrupt This Newscast: How to Improve Local News and Win Ratings, to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9 Belt, Tood L, "The Local News Story: Is Quality a Choice?" 29 : 194-215, 2008

      30 Kubey, Robert, "Television and The Quality of Life: How Viewing Shapes Everyday Experience" Lawrence Erlbaum associate Publishers 1990

      31 Comstock, George, "Television and Human Behavior"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8

      32 한혜경, "TV 중시청자 집단과 경시청자 집단의 프로그램 선택행위 비교분석 : 시청자충성을 중심으로" 12 : 7-43, 1999

      33 Webster, J. G, "Structual Determinants of Television News Audience" 32 (32): 381-389, 1988

      34 Webster, J. G, "Rating Analysis: Theory and Practi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1

      35 Fitzgerald, M, "Local TV News Lacks Substance" 130 (130): 8-9, 1997

      36 하동근, "KBS, MBC의 9시 뉴스 프로그램 시청률 결정에 관한 연구: 분 단위 시청률 분석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3

      37 Ettema, J, "Journalism as Reason-Giving: Deliberative Democracy, Instituional Accountability, and the New Media’s Mission" 24 : 143-160, 2007

      38 Wonneberger, A, "Interest in News and Politics-or Situational Determinants? Why People Watch the News" 325-343, 2011

      39 Sunstein, C. R, "Infotopia : How Many Minds Produce Knowledg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40 Mutz, D. C, "Hearing the Other Side: Deliberative versus Participatory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41 Fenton, N, "Deregulation or Democracy: New Media, News, Neoliberalism and the Public Interest" 25 (25): 63-72, 2011

      42 Prior, M, "Any Good News in Soft News? The Impact of Soft News Preference on Political Knowledge" 20 (20): 149-171, 2003

      43 Norris, P, "A Virtuous Circle: Political Communications in Postindustrial Socie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44 Zaller, J, "A New Standard of News Quality: Burglar Alarms for the Monitorial Citizen" 20 : 109-130, 2003

      45 채문석, "'YTN 뉴스 특보'와 시청률 변화에 관한 연구 : '일본 대지진' 뉴스 보도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론학연구 ->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외국어명 : Journalism & Communication -> Locality & Communication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 1.339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