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한국 고전소설의 여성주의적 연구에 대한 반성적 검토 = A Reflective Review of Feminist Studies of Korean Classical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76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looks at 48 papers on classical novels that have been published during the past 10 years (2010~2019) in the journal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aper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jority ...

      This study looks at 48 papers on classical novels that have been published during the past 10 years (2010~2019) in the journal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aper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jority of the studies focused on Korean full-length and heroine novels, consisted primarily of character studies, and made attempt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ale-centric readings of the works. In that they meticulously interpreted the work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ttempted an understanding of women’s issues within their links with society and ideology, and sought new interpretations of works through critical distancing away from male-centric views, these studies have realized substantial achievements.
      Feminist studies of classical literature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allow for the reading of meaning that had gone unnoticed by previous research methods, and in that they contribute to fulfilling the goals of the feminist movement. In view of this, there is a need to persuasively present a reason for why ‘classics’ of the past should serve as a reference for ‘women’s’ issues of the pres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지난 10년(2010~2019) 동안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에 실린 고전소설 연구 논문 48편을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국문장편소설과 여성영웅소설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 인물론이 ...

      본고는 지난 10년(2010~2019) 동안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에 실린 고전소설 연구 논문 48편을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국문장편소설과 여성영웅소설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 인물론이 주를 이루었다는 점, 기존의 연구방법론 및 남성 중심적 독해가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는 점이 주된 경향임을 확인하였다. 여성주의적인 시각에서 작품을 정밀하게 해석하였고, 여성의 문제를 사회 및 이데올로기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려 하였으며, 남성중심적 시선에 대한 비판적 거리 두기를 통해 새롭게 작품을 읽어내려 했다는 것이 큰 성과이다.
      고전문학에 대한 여성주의적 연구는 기존 연구방법으로는 포착할 수 없었던 의미를 읽어낼 수 있게 한다는 점, 그리고 여성운동의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현재 ‘여성’의 문제를 과거의 ‘고전’ 속에서 찾아보아야 하는 이유가 보다 설득력 있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정민, "한글 대하소설 속 여성 그림 활동의 특징과 문화적 배경 -<소현성록>과 <유이양문록>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5) : 311-334, 2012

      2 정혜경, "투기(妬忌)문화의 생산과 유통 채널, 한글장편소설"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4) : 227-268, 2017

      3 전기화, "조선후기 여성영웅소설 <정수정전> 재고: 여성 인물의 행위자성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7) : 203-228, 2018

      4 주형예, "조선후기 소설 장(場)에서 구성된 지식-「창선감의록」에 나타난 담론의 실천․전유․분산의 한 사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7) : 5-37, 2013

      5 김경미, "전기소설의 젠더화된 플롯과 닫힌 미학을 넘어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 : 213-242, 2010

      6 김수연, "재자가인(才子佳人)에 대한 계도(啓導)의 목소리, <구운기(九雲記)>"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2) : 199-235, 2011

      7 조용호, "여장군소설의 개화기적 변화상 -『대한일보』 연재소설 <女英雄>을 대상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2) : 237-270, 2011

      8 주형예, "여성 이야기를 통해 본 20세기 초 소설 시장의 변모 -이해조 <원앙도>·<모란병>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2) : 271-299, 2011

      9 이정원, "애정류 신작 구소설에서 책 읽는 여성 주체의 등장"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6) : 43-84, 2018

      10 정선희,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의 공주/군주 형상화와 그 의미 - 부부관계 속 여성의 감정과 반응 양상에 주목하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1) : 225-258, 2015

      1 서정민, "한글 대하소설 속 여성 그림 활동의 특징과 문화적 배경 -<소현성록>과 <유이양문록>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5) : 311-334, 2012

      2 정혜경, "투기(妬忌)문화의 생산과 유통 채널, 한글장편소설"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4) : 227-268, 2017

      3 전기화, "조선후기 여성영웅소설 <정수정전> 재고: 여성 인물의 행위자성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7) : 203-228, 2018

      4 주형예, "조선후기 소설 장(場)에서 구성된 지식-「창선감의록」에 나타난 담론의 실천․전유․분산의 한 사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7) : 5-37, 2013

      5 김경미, "전기소설의 젠더화된 플롯과 닫힌 미학을 넘어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 : 213-242, 2010

      6 김수연, "재자가인(才子佳人)에 대한 계도(啓導)의 목소리, <구운기(九雲記)>"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2) : 199-235, 2011

      7 조용호, "여장군소설의 개화기적 변화상 -『대한일보』 연재소설 <女英雄>을 대상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2) : 237-270, 2011

      8 주형예, "여성 이야기를 통해 본 20세기 초 소설 시장의 변모 -이해조 <원앙도>·<모란병>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2) : 271-299, 2011

      9 이정원, "애정류 신작 구소설에서 책 읽는 여성 주체의 등장"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6) : 43-84, 2018

      10 정선희,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의 공주/군주 형상화와 그 의미 - 부부관계 속 여성의 감정과 반응 양상에 주목하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1) : 225-258, 2015

      11 강우규,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공주혼의 유형적·시대적 특성과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2) : 327-352, 2016

      12 정선희, "삼대록계 국문장편 고전소설 속 여성들의 길 떠나는 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4) : 103-132, 2017

      13 한길연, "대하소설의 발산형(發散型) 여성인물 연구 - <완월회맹연>의 ‘박씨’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2) : 353-386, 2016

      14 한길연, "대하소설에 나타나는 ‘남편 폭력담’의 양상과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1) : 69-121, 2010

      15 서정민, "대하소설 속 여성 침묵의 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2) : 5-29, 2011

      16 탁원정, "국문장편소설과 여성지식, 여성지식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5) : 111-145, 2017

      17 서정민, "관음여신의 소설적 변용 - <사씨남정기>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8) : 33-58, 2019

      18 김문희, "고전소설에 나타난 이비고사(二妃故事)의 변용과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8) : 5-40, 2014

      19 박혜인, "고전 소설에 나타난 며느리의 여행과 친정 - <양씨전>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3) : 251-289, 2016

      20 강상순, "고소설에서 재자의 형상과 그 변화 양상- 17세기 소설사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5) : 179-206, 2017

      21 서신혜, "개인의 아픔으로 읽는 <방한림전>"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 : 275-300, 2010

      22 이지영, "<화문록>의 텍스트 형성 및 서술시각에 대한 고찰"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3) : 371-398, 2011

      23 김서윤, "<화문록>의 여성인물 형상화와 그 서술시각"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4) : 199-226, 2017

      24 최기숙, "<현씨양웅쌍린기>에 나타난 ‘부부 관계’와 ‘결혼 생활’의 상상적 조율과 문화적 재배치"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 : 301-338, 2010

      25 전기화, "<한조삼성기봉> 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3) : 219-250, 2016

      26 최수현, "<탄금대>의 추노담과 결연담의 특징과 그 의미- 개가(改嫁)의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9) : 319-353, 2014

      27 홍현성, "<취승루> 여성영웅 경선염이 지닌 의미와 한계"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0) : 131-154, 2015

      28 엄태식, "<최척전>의 창작 배경과 열녀 담론"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4) : 81-124, 2012

      29 김수연, "<창선감의록>의 ‘개과천선’과 악녀(惡女) 무후(無後)"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5) : 335-363, 2012

      30 박길희, "<창선감의록>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의 지향과 교화적 성격"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9) : 125-161, 2014

      31 서혜은, "<조생원전>의 이본 계열과 여성 독자층의 향유 의식"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2) : 133-162, 2011

      32 김인경, "<이현경전>에 나타난 남장 모티프의 의미 - 주인공이 남성으로 살 수 있었던 이유를 중심으로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6) : 255-285, 2013

      33 조혜란, "<유효공선행록>에 나타난 가장권(家長權) 행사의 문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0) : 155-184, 2015

      34 한길연, "<유씨삼대록>의 ‘진양공주’의 ‘이상화(理想化)’ 양상 연구 - <사씨남정기>의 ‘사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7) : 169-202, 2018

      35 공혜란, "<유씨삼대록> 속 상층 여성 인물의 늑혼(勒婚) 양상과 의미 - 설초벽과 왕씨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8) : 59-89, 2019

      36 한길연, "<완월회맹연>의 여성 관련 희담(戱談) 연구 -남성 희담꾼 ‘정염’과 여성 희담꾼 ‘상부인’ 간의 희담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5) : 273-310, 2012

      37 이지영, "<옥중화>를 통해 본 20세기 초 ‘춘향 형상’의 변화"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2) : 37-63, 2016

      38 조혜란, "<옥루몽> 황소저의 성격 변화 -악인형 인물의 개과천선 과정 서술과 관련하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2) : 163-197, 2011

      39 탁원정, "<쌍천기봉>에 나타난 여성연대와 자기표현 - 공주혼을 대상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3) : 191-217, 2016

      40 장시광, "<쌍천기봉> 여성수난담의 특징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1) : 187-232, 2010

      41 조혜란, "<숙녀지기>에 나타난 여성 지기(知己) 형상화의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4) : 291-322, 2012

      42 이정원, "<소양정>에서 새로운 여주인공의 등장과 군담소설 양식의 해체"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4) : 259-290, 2012

      43 최지녀, "<석태룡전>에 나타난 부모의 형상과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8) : 41-62, 2014

      44 조현우, "<방한림전>에 나타난 ‘갈등’과 ‘우울’의 정체 - 젠더 규범의 균열과 모순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3) : 97-132, 2016

      45 김현주, "<반씨전>을 통해 본 여성 문제와 형제 갈등"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3) : 399-425, 2011

      46 서혜은, "<박씨전>의 통속화 양상과 그 사회적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 : 243-274, 2010

      47 심치열, "<금방울전>에 나타난 주인공의 조력적 면모와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8) : 95-120, 2014

      48 신호림, "<금방울전>에 나타난 금방울의 성격과 여성성의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5) : 365-401,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9 2.52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