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On Interpersonal Relations: Mediated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457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ediated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that comes from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an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difficul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ediated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that comes from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an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difficul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in four cities and they were asked about rejection sensitivity,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with questionnair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so as to examine interrelations of variables by using SPSS 22.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s directly o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Second,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students has an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by mediating experiential avoidance. Third,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has an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by mediating emotional clarity. Fourth,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effects on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by successively mediating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These findings show that if a university student has high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the student will avoid the experience due to anxiety about rejection and have low level of emotional clarity, and in turn, it can give an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Thu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practical measures for reducing interpersonal relations difficulti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discussed and if a university student client who reports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and is sensitive to rejection is faced in practical counseling,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the student to adjust to interpersonal relations soundly through proper interventions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에서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 17개 시도 중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에서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 17개 시도 중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서울, 경기도, 4개 시도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359명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 대인관계문제, 경험회피, 정서인식명확성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무성의하게 응답한 12부를 제외한 347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SPSS 25.0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Hayes(2013)가 제안한 매개모형의 절차에 따라 경로를 분석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부민감성이 높은 사람은 대인관계 속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호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 경험회피를 매개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과도한 불안을 느껴 회피반응을 보여 대인관계가 여려워 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은 정서인식명확성을 매개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부민간성이 높을수록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파악하는 능력이 떨어져 대인관계에서도 부적절한 반응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은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을 순차적 매개하여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이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타인의 거부반응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경험을 회피하고 이로인해 고통스러운 정서나 생각을 지속적으로 피하게 되어 정서를 명확히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 내담자의 대인관계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주연 ; 유성은, "한국판 다차원적 경험회피 척도(K-MEAQ)의 타당화 및 단축형(K-MEAQ-24) 개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7 (17): 181-208, 2017

      2 통계청, "청소년상담지원현황"

      3 안수진,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정서자각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2016

      4 권석만, "정신병리와 인지 1: 정서장애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49-95, 1995

      5 정경숙, "정서주의,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개선 및 경험적 회피가 용서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6 우다빈,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 정서조절과 공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7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학지사 2018

      8 박재윤,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2019

      9 강연우, "자기애와 방어유형 및 대인관계 특성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10 박송이, "우울취약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 이주연 ; 유성은, "한국판 다차원적 경험회피 척도(K-MEAQ)의 타당화 및 단축형(K-MEAQ-24) 개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7 (17): 181-208, 2017

      2 통계청, "청소년상담지원현황"

      3 안수진,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정서자각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2016

      4 권석만, "정신병리와 인지 1: 정서장애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49-95, 1995

      5 정경숙, "정서주의,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개선 및 경험적 회피가 용서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6 우다빈,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 정서조절과 공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7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학지사 2018

      8 박재윤,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2019

      9 강연우, "자기애와 방어유형 및 대인관계 특성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10 박송이, "우울취약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1 류혜림,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정서 회피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12 장영호,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13 이인재, "성인 애착 불안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을 매개변인으로" 경상대학교 2016

      14 황지영,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완벽주의 및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15 경기웅, "대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5

      16 강은정, "대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평택대학교 2016

      17 강수정 ; 유금란,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유머스타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7 (17): 275-294, 2016

      18 양민정,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19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생의 심리적 위기 극복 및 인성계발 지원사업 설계연구. 고등교육 미래인재(Homo Futurus) 양성을 위한 심리적 강인성 및 인성 계발의 지원 기반 설계" 경성 문화사 2018

      20 윤성령 ; 박미하,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마음챙김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6 (6): 27-37, 2019

      21 안상원,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2 정혜진,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경험회피와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23 김여량,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3

      24 김예은,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과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 건양대학교 2018

      25 김나영,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6 안선경 ; 정여주,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8 (28): 719-741, 2016

      27 안선경,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양가성의매개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8 김영환,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명확성과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9

      29 장성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적응적인 인지적정서조절전략을 매개변인으로" 대구대학교 2015

      30 정소현,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 자기침묵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2018

      31 김나미 ; 김신섭,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4 (14): 1125-1144, 2013

      32 박명진 ; 양난미, "대학생 거부민감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29 (29): 103-127, 2017

      33 권은미 ; 신민섭 ; 김은정,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공포증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28 (28): 627-642, 2009

      34 우희정, "경계선 성격특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35 노윤영,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2017

      36 양석연, "ㅍ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마음챙김과 자기 침묵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2020

      37 Christman, S. T, "『Coping with homonegative experiences among gay men: Impacts on mental heal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dentity growth"

      38 이수정, "Trait Meta-Mood Scale 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11 (11): 95-116, 1997

      39 Feldman, S. I., "Rejection sensitivity as a mediator of the impact of childhood exposure to family violence on adult attachment behavior" 6 (6): 231-247, 1994

      40 Downey, G.,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e violence in romantic relationships" 7 (7): 45-61, 2000

      41 Horney, K, "Our Inner Conflicts: A Constructive Theory of Neurosis" Norton 1992

      42 Kross, E., "Neural dynamics of rejection sensitivity" 19 (19): 945-956, 2007

      43 Salovey, P., "Meta-Mood Scale" Edwin Mellen Press 1995

      44 Horowitz, L. M.,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 Psychometric propertie and clinical applications" 56 (56): 885-892, 1988

      45 Hayes, S. C,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Guilford Publications 2013

      46 Levy, S. R., "Interpersonal Rejection" 251-289, 2001

      47 Downey, G., "Implications of rejection sensitivity for intimate relationships" 70 (70): 13-27, 1996

      48 Salovey, P., "Emotional intelligence" 9 (9): 185-211, 1990

      49 Hayes, S. C.,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Understanding and treating human suffering" Guilford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55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