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연방대법원의 돕스 판결에 나타난 헌법해석 논쟁 = Debates over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in Dobbs C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20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Dobbs Case, the U.S. Supreme Court(hereinafter “the Court”) ruled that abortion was not a fundamental right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e Dobbs Case contains debates on fundamental and important issues raised in constitutional interpretat...

      In Dobbs Case, the U.S. Supreme Court(hereinafter “the Court”) ruled that abortion was not a fundamental right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e Dobbs Case contains debates on fundamental and important issues raised in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Interpreting the “liberty” of Due Prcess Clause, the Court emphasized the text and history at the time of enactment of the 14th Amendment. That approach is similar to so-called originalist interpretation. On the other hand, the dissenting opinion argues that the Constitution has steadily developed through important constitutional principles, American history and tradition, and the gradual evolution of the Court’s precedents. Several crticisms of originalism are equivalent to the Court’s opinion.
      The Court overruled Roe and Casey on the ground that the Roe was egregiously wrong from the start, while the dissenting opinion stated that the Court violates the principle of stare decisis and the rule of law for overruling Roe even though there has been no legal or factual change except for the change in the composition of the Court. Though the fact that Roe has been consistently challenged over the past 50 years shows that Roe is not so-called super precedent, it also shows that Roe has been repeatedly confirmed as a good precedent. Overruling Roe means abolishing a fundamental right that has been recognized so far, not recognizing a new fundamental right or expanding the scope of a existing fundamental right. In this regards, the Court should have provided a stronger justification for overruling Roe.
      The Court held that it had no authority to determine the issue of abortion because the Constitution is neutral on abortion, and that the resolution of this issue should be left to the people and their elected representatives. The Court is relying on merely a majority-ruled democracy, and it is inconsistent with another important concept of democracy, constitutional democracy that requires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the minority from the tyranny of the major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미국연방대법원은 1973년 로우 판결을 통해 낙태를 헌법상 기본권으로 인정한 지 50년만인 2022년 돕스 판결에서 로우 판결을 폐기하고, 낙태는 미국헌법상 기본권이 아니라고 선언하였다. 이...

      미국연방대법원은 1973년 로우 판결을 통해 낙태를 헌법상 기본권으로 인정한 지 50년만인 2022년 돕스 판결에서 로우 판결을 폐기하고, 낙태는 미국헌법상 기본권이 아니라고 선언하였다. 이로써 낙태는 미국에서 지난 50년 동안 유지해 왔던 기본권으로서의 지위를 상실하였는데, 돕스 판결에는 헌법해석에 관한 근본적이고도 중요한 쟁점들이 제기되었고 다투어졌다.
      낙태가 기본권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에 관하여, 연방대법원은 낙태를 금지했던 커먼로의 역사, 수정헌법 제정 당시와 그 이후 로우 판결이 선고될 때까지 미국에서의 낙태에 대한 규율 상황 등을 근거로 낙태는 미국의 역사와 전통에 깊이 뿌리내린 권리가 아니므로 기본권으로 인정될 수 없다고 하였다. 반면, 반대의견은 헌법의 의미는 시대에 따라 진화하며, 낙태를 기본권으로 인정하는 것은 개인의 자율성과 사생활에 관한 자유를 기본권으로 보호하는 연방대법원의 선례들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견해 대립은 헌법해석에서의 원의주의와 비원의주의의 대립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선례의 구속력과 선례변경에 관하여, 연방대법원은 낙태를 기본권으로 인정한 로우 판결이 처음부터 심히 잘못된 것이었으므로 폐기되어야 한다고 보았으나, 반대의견은 재판부의 구성이 바뀐 것 말고는 변화된 사정이 없음에도 로우 판결을 폐기하는 것은 선례구속원칙과 법치주의원리에 위반된다고 하였다. 로우 판결의 유효성이 그동안 계속해서 도전받아 왔다는 사실은 로우 판결이 논쟁의 여지 없이 확립된 선례로 자리잡지는 못했음을 보여주는 것이지만, 한편으로는 선례로서의 유효성이 반복해서 확인되어 왔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로우 판결의 폐기는 새로운 기본권을 인정하거나 기본권의 보호대상을 확장하는 선례변경이 아니라, 그동안 인정되어 온 기본권을 폐지하는 선례변경이었다. 돕스 판결은 이러한 사정들을 충분히 검토하거나 논증하지 않았다.
      연방대법원은 헌법이 낙태를 허용하지도, 금지하지도 않았으므로 낙태 문제는 민주주의원리에 따라 국민 또는 그들이 선출한 대표자들이 민주적 절차에 따라 해결해야 한다고 보았으나, 이는 다수결 민주주의만을 강조한 것일 뿐, 다수의 횡포로부터 소수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한다는 입헌민주주의 관념에는 부합하지 않는다. 헌법이 낙태에 대해 중립적이라면, 낙태 문제는 개인이 결정할 사항이므로 국가는 그 결정에 간섭할 수 없다고 보는 것이 입헌민주주의에 부합하는 해석일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문현, "헌법해석방법으로서 원의주의에 대한 검토- 미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헌법재판연구원 3 (3): 131-176, 2016

      2 김민배, "헌법해석과 원의주의의 쟁점" 헌법재판소 27 : 61-140, 2016

      3 전상현, "헌법재판소의 미니멀리즘" 한국법학원 185 : 5-37, 2021

      4 로널드 드워킨, "자유의법" 미지북스 2019

      5 "월스트리트저널 2022. 7. 1.자 사설"

      6 박성우,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갈등과 조화: 미국헌법 해석에 있어서 원본주의(Originalism) 논쟁의 의미와 역할" 한국정치학회 40 (40): 55-78, 2006

      7 존 하트 일리, "민주주의와 법원의 위헌심사" 나남출판 2006

      8 박종현, "미연방헌법 수정조항 제6조의 원의주의 해석에 대한 검토 — 형사배심 유죄평결에서 비(非) 만장일치제 인정 여부 논의를 중심으로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8 (28): 185-218, 2022

      9 김지영, "미국의 헌법해석론-이론과 연방대법원의 적용례를 중심으로-"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연구원 2018

      10 정영화, "미국 연방대법원의 헌법해석의 진화와 쟁점" 법학연구소 16 (16): 87-119, 2015

      1 김문현, "헌법해석방법으로서 원의주의에 대한 검토- 미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헌법재판연구원 3 (3): 131-176, 2016

      2 김민배, "헌법해석과 원의주의의 쟁점" 헌법재판소 27 : 61-140, 2016

      3 전상현, "헌법재판소의 미니멀리즘" 한국법학원 185 : 5-37, 2021

      4 로널드 드워킨, "자유의법" 미지북스 2019

      5 "월스트리트저널 2022. 7. 1.자 사설"

      6 박성우,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갈등과 조화: 미국헌법 해석에 있어서 원본주의(Originalism) 논쟁의 의미와 역할" 한국정치학회 40 (40): 55-78, 2006

      7 존 하트 일리, "민주주의와 법원의 위헌심사" 나남출판 2006

      8 박종현, "미연방헌법 수정조항 제6조의 원의주의 해석에 대한 검토 — 형사배심 유죄평결에서 비(非) 만장일치제 인정 여부 논의를 중심으로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8 (28): 185-218, 2022

      9 김지영, "미국의 헌법해석론-이론과 연방대법원의 적용례를 중심으로-"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연구원 2018

      10 정영화, "미국 연방대법원의 헌법해석의 진화와 쟁점" 법학연구소 16 (16): 87-119, 2015

      11 전상현, "낙태와 헌법해석" 법과사회이론학회 (63) : 189-221, 2020

      12 Lawrence B. Solum, "What is Originalism? The Evolution of Contemporary Originalist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41, 2011

      13 Frederick Schauer, "Thinking Like A Lawyer"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14 Cass R. Sunstein, "The minimalist; Chief Justice Roberts favors narrow court rulings that create consensus and tolerate diversity"

      15 John Hart Ely, "The Wages of Crying Wolf: A Comment on Roe v. Wade" 82 (82): 920-949, 1973

      16 Melissa Murray, "The Symbiosis of Abortion and Precedent" 134 (134): 308-351, 2020

      17 David Cole, "The Supreme Court embraces originalism – and all its flaws"

      18 Paul Brest, "The Misconceived Quest for the Original Understanding" 60 (60): 204-238, 1980

      19 David A. Strauss, "The Living Constit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20 Randy E. Barnett, "The Letter and the Spirit: A Unified Theory of Originalism" 107 (107): 1-56, 2018

      21 Adam Liptak, "The Day Chief Justice Roberts Lost His Court"

      22 Gary Lawson, "The Constitutional Case Against Precedent" 17 : 23-34, 1994

      23 Grant Huscroft, "THE CHALLENGE OF ORIGIN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24 Michael J. Gerhardt, "Super Precedent" 90 (90): 1204-1231, 2006

      25 정광현, "Sunstein의 ‘사법최소주의’에 대한 관견(管見)"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7 (27): 175-204, 2021

      26 David H. Gans, "Reproductive Originalism: Why The Fourteenth Amendment’s Original Meaning Protects The Right To Abortion" 75 : 191-211, 2022

      27 Frederick Schauer, "Precedent and the Necessary Externality of Constitutional Norms" 17 : 45-56, 1994

      28 Frederick Schauer, "Precedent" 39 (39): 571-605, 1987

      29 Antonin Scalia, "Originalism: The Lesser Evil" 57 (57): 849-866, 1989

      30 Keith Whittington, "Originalism: A Critical Introduction" 82 (82): 375-409, 2013

      31 Amy Coney Barrett, "Originalism and Stare Decisis" 92 (92): 1921-1944, 2017

      32 Cass R. Sunstein, "Originalism" 93 (93): 1671-1698, 2018

      33 Cass R. Sunstein, "ONE CASE AT A TIM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34 Robert H. Bork, "Neutral Principles and Some First Amendment Problems" 47 (47): 1-35, 1971

      35 Richard B. Saphire, "Judicial Review in the Name of the Constitution" 8 (8): 745-808, 1983

      36 Erwin Chemerinsky, "INTERPRETING THE CONSTITUTION" Praeger 1987

      37 Raoul Berger, "Government by Judiciary: The Transformation of the Fourteenth Amendment" Liberty Fund 1997

      38 Martin S. Flaherty, "Foreword: Historians and The New Originalism" 84 (84): 905-914, 2015

      39 Ronald Dworkin, "FREEDOM’S LAW"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40 "Dobbs v. Jackson Women’s Health Organization, 597 U. S."

      41 John Hart Ely, "Democracy and Distrust : A Theory of Judicial Review"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

      42 Erwin Chemerinsky, "Constitutional Law: Principles and Policies" Aspen Publishers 2006

      43 David A. Strauss, "Common Law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3 : 877-935, 1996

      44 Linda Greehouse, "Becoming Justice Blackmun" Times Books, Henry Holt and Company 2005

      45 Alfred H. Kelly, "An Illicit Love Affair" 1965 : 119-158, 1965

      46 Antonin Scalia, "A Matter of Interpret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제헌법학회한국학회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영문명 : Korean Branch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anl Law ->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nal La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11 1.46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