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祝靈山의 새(Arundinella hirta)가 優占되어 있는 群集의 微分布와 種間相關 = Pattern and Association of Communities Dominated by Arundinella Hirta In Mt. Chukryu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418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축령산에서 두 지역을 택하여 우점종인 새와 아우점종인 억새, 원추리, 진퍼리새, 벌깨덩굴등을 대상으로하여 미분포분석과 종간상관 분석을 하였으며, 이같은 방법으로 여러 토양요인들을...

      축령산에서 두 지역을 택하여 우점종인 새와 아우점종인 억새, 원추리, 진퍼리새, 벌깨덩굴등을 대상으로하여 미분포분석과 종간상관 분석을 하였으며, 이같은 방법으로 여러 토양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들 요인들과 각 식물의 미분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새는 4가지의 미분포양식을 나타내었고, 지하경으로 성장하므로, 이것은 군집내 아우점종이 형태적 미분포를 나타나게끔 하는데 일역을 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토양요인은 좁은지역에서도 불균질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1.6㎝, 3.2㎝ 폭을 지니고 불균질하게 나타난것이 가장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새와 억새는 전체적으로 분리되어 생육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특히 20㎝폭에서는 토양의 치환성칼슘 함량으로 인하여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생육하고 있다고 생각되었다.
      억새와 원추리는 160㎝ 폭에서는 공존하고 320㎝ 폭에서는 생육하고 있었으며, 이는 토양의 치환성칼륨 함량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처럼 큰 block크기에서는 치환성칼륨만이 제한요인이라고는 생각되지 않았다. 진퍼리새와 벌깨덩굴은 전체적으로 정상관을 나타내었으나, 그 요인은 알 수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wo different herb communities dominated by Arundinella hirta were investigated using pattern and covariance analysis within Mt. Chukryung. By means of the same techniques correlations of soil properties with herbs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s are...

      Two different herb communities dominated by Arundinella hirta were investigated using pattern and covariance analysis within Mt. Chukryung. By means of the same techniques correlations of soil properties with herbs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nnual increment of rhizome growth in Arudinella hirta and Miscanthus sinensis was estimed to be about 20㎝, respectively.
      2. The dimension of complete rhizome system in Arundinella hirta, Miscanthus sinensis and Hemerocallis fulva was estimated to be 80-160㎝, 40-80㎝ and 80㎝, respectively.
      3. Arundinella hirta had a negative tendency to associate with Miscanthus sinensis at 20㎝ scale, since rhizome of Arundinella hirta which was in high exchangeable Ca^++ was observed to be spatially excluded from that of Miscanthus sinensis.
      4. Arundinella hirta was associated with Hemerocallis fulva at 160㎝ scale but negatively associated at 320㎝ scale.
      5. In general, Molinia japonica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eehenia urticifolia but factors were not detect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