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ODA 초청연수사업의 성과지표와 현업적용도 측정 개선방향 연구 : KOICA-부경대 석사학위 연수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485505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부경대학교 대학원 , 글로벌지역학협동과정 , 2020. 2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부산

      • 형태사항

        ⅵ,84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노용석

      • UCI식별코드

        I804:21031-200000295862

      • 소장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cases of KOICA scholarship program currently operated b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nd analyzed its effect and performance idicators through participation research methods and literature studies. In ODA fellowship prog...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cases of KOICA scholarship program currently operated b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nd analyzed its effect and performance idicators through participation research methods and literature studies.
      In ODA fellowship program, achievement is a significant result when trainees apply their learning to their jobs after graduation, and the actual effects of the work and society have been shown. An case analysis of KOICA's scholarship program showe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individual competency, but the training process was not always linked to positive results because various factors such as the trainee's current application and the cultur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country to which the trainee belongs, but also the effect derived in developing countries can be involved.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performance indicators set by KOICA to manage the performance of the scholarship program. First, focusing on quantitative assessments, makes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outcomes that cannot be quantified such as trainees’ personal competency. The second is simplifying assessment factors, excluding various factors that may intervene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exposure, such as economic and social situations, culture, and organizational culture by country. Third, the long-term tracking system after the graduation is not established as an indicator.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survey to colleagues and direct supervisors within the organization to track the trainee's performance in the long term and assess the trainee's competence and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 Moreover, the indicators should be diversified considering various situation in developing countires.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its understanding of the performance development process and seek ways to continue the development of the training proj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현재 부경대학교가 운영하고 있는 KOICA 석사학위 연수사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헌연구와 참여연구를 통해 KOICA 연수사업의 효과성과 성과관리체계를 분석했다. ODA 초청연수사...

      이 연구는 현재 부경대학교가 운영하고 있는 KOICA 석사학위 연수사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헌연구와 참여연구를 통해 KOICA 연수사업의 효과성과 성과관리체계를 분석했다.
      ODA 초청연수사업은 개발도상국의 내생적 발전을 도모하고 원조사업의 효과성과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써, 연수생이 연수내용을 업무 현장에 적용하여 개발도상국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야기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이 연수를 통해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연수생의 자국에 적용하는 개념을 “현업적용”이라 하며, 연수사업의 성패여부를 결정하는 성과로 볼 수 있다. 학위연수사업은 특히 개발도상국의 분야별 전문성 향상을 위해 핵심 전문인력의 학위취득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연수사업에서 가장 규모가 크지만,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여전히 확립되지 않은 상황이다. 부경대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KOICA 석사학위 연수사업의 성과를 설문조사, 에세이, 심층면담을 통해 다각도로 분석한 결과, 연수사업은 연수생 개인역량과 연수생이 속한 조직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현재 성과관리 체계는 연수사업 성과를 단기적 관점에서 정량적 수치에 집중하고 있으며, 성과도출에 개입되는 다양한 영향요인들을 배제한 채 평가요소를 단순화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기 때문에, 연수사업의 성과를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연수사업 환류를 위한 개선방안 도출에도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연수사업의 향후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ODA 사업으로서의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성과관리체계에 질적조사 방법을 확대하여 연수생 개별사례를 수집하고, 졸업한 연수생을 관리할 수 있는 통합적인 플랫폼과 성과관리 전담부서신설이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대상 및 방법 3
      • 3. 논문의 구성 5
      • Ⅱ. 이론적 배경 6
      • Ⅰ.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대상 및 방법 3
      • 3. 논문의 구성 5
      • Ⅱ. 이론적 배경 6
      • 1. 국제개발협력과 원조효과성 6
      • 2. 원조효과성 제고를 위한 역량강화 9
      • 가. 역량강화를 위한 연수사업 9
      • 나. 해외 초청 연수사업 10
      • 3. 원조효과성 파악을 위한 연수사업 성과관리 15
      • 가. 연수사업 성과관리의 현황 15
      • 나. 연수사업 성과파악을 위한 현업적용도 15
      • 다. 현업적용단계 및 영향요인 17
      • Ⅲ. KOICA ODA 초청연수사업의 운영현황: KOIC-부경대 석사 학위과정 20
      • 1. KOICA-부경대 석사학위 연수과정 운영 20
      • 가. 사업 배경 및 목적 20
      • 나. 선발과정 25
      • 다. 지원사항 29
      • 라. 교육과정 30
      • 마. 연수생활 31
      • 바. 성과관리 및 사후관리 37
      • Ⅳ. ODA 초청연수사업 성과분석: KOICA-부경대 석사 학위과정 44
      • 1. KOICA-부경대 기존 성과관리체계 44
      • 가. 설문조사 및 지식확산률 사례조사 44
      • 나. 졸업생 대상 에세이 공모전 55
      • 2. KOICA-부경대 성과관리 개선체계 56
      • 가. 에세이 56
      • 나. 심층면담 64
      • Ⅴ. ODA 초청연수사업 성과관리의 한계점과 제안사항 69
      • 1. KOICA 석사학위 연수사업 성과관리의 한계점 69
      • 가. 수치화할 수 없는 평가항목 69
      • 나. 평가요소들의 단순화 70
      • 다. 장기적 관점 부재 72
      • 2. KOICA 석사학위 연수사업 성과관리의 제안사항 73
      • 가. 질적조사 방법 확대 73
      • 나. 통합적인 플랫폼 구축 75
      • 다. 전담 관리 프로그램 또는 부서 신설 76
      • Ⅵ. 결론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