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에스토니아의 지형성, 문화정체성, 유동성 = Geography, Cultural Identity and Flexibility in Eston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726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약 800여년간 주위의 여러 타민족의 지배와 박해를 겪은 후 1991년 러시아로부터 새로 독립한지 30년이채 되지 않는 짧은 기간 동안, 에스토니아인은 자신의 민족 문화정체성을 확고히 함과 동...

      약 800여년간 주위의 여러 타민족의 지배와 박해를 겪은 후 1991년 러시아로부터 새로 독립한지 30년이채 되지 않는 짧은 기간 동안, 에스토니아인은 자신의 민족 문화정체성을 확고히 함과 동시에 타민족에 대한 융통성을 보이며 경제성장을 가장 빠르게 성공적으로 이룬 나라로 꼽힌다. 본 연구는 에스토니아의 지형성이 문화정체성과 유동성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우선 오랜 고난과 핍박에도 정체성을 지켜온 역사적 지역적 배경과 독립 후 문화 전통 및 정체성을 확고히 하기 위해 실시한 제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제성장을 창출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을 조사하였다. 에스토니아의 민족정신과 정체성을 일깨우고 유지해 온 것은 합창과 문화예술 등의 힘이었다. 독립 후 잔존한 다수의 러시아인 및 타민족과 공존하면서 정부는 에스토니아어를 유일한 공식어로 인정하고, 교육법, 공공정보법, 국적법 등을 제정하여 정체성을 공고히 함과 동시에 지배 시대의 러시아 문화를 비롯한 타문화도 자신문화의 일부로 인정하는 유동성과 포용성을 보여주었다. 더 나아가 디지털 경제전략을 세워 전자국적취득제도,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장 제공, 국제기구의 가입과 같은 서방국가와의 협조체제 설립을 추진하여 국가의 경제적 부와 정치적 안정성을 창출하고자 도모하였다. 작지만 강한 나라로서 민족의 통합된 정체성을 기반으로 함과 동시에 세계로의 다양성을 도모하는 개방적 정책의 방향이 성장의 잠재력을 충분히 보여주는 귀감이 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stonia was continually ruled by surrounding countries for about 800 years. Although less than 30 years have passed since Estonia became independent from the Soviet Union, the country is now regarded 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Eastern European coun...

      Estonia was continually ruled by surrounding countries for about 800 years. Although less than 30 years have passed since Estonia became independent from the Soviet Union, the country is now regarded 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Eastern European countries with a vibrant cultural heritage, flexibility in accommodating different cultures, sociopolitical stability and a strong economy. This study aims to report the contributions Estonia’s geography has made to the formation of both Estonian cultural identity and the multicultural flexibility in the country today. For the purpose, it firstly discusses the history and spirit in the maintenance of Estonian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long period of hardships in the region. Then the study examines the Estonian government’s institutional plans for reaffirming national identity after independence. Finally, it investigates the strategies and policies behind Estonia’s economic growth. The research shows that the Estonians have upheld their national spirit and identity with the cohesive power of their national traditions such as singing and cultural art and by making Estonian the official language in all public life. It also shows that post-independence laws and policies pertaining to education, public information and nationality simultaneously affirmed Estonian national identity while facilitating the peaceful coexistence of Estonians with Russians and other ethnic groups living in the country. Furthermore, the Estonian government established digital economic strategies, e-residency, start-up platforms and cooperative relations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o accommodate both economical wealth and political stability. Estonia’s open flexible economic policie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on the ground of Estonians’ firm national cultural identity seem to demonstrate its sufficient potentials to be a desirable model for other natio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