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시 확대를 둘러싼 대학입시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 Critical Analysis of Issues Surrounding the Reform of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ries critical analysis on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 reform of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which has become a social issue recently. The discourse on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was produced by various actors, and mi...

      This paper tries critical analysis on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 reform of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which has become a social issue recently. The discourse on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was produced by various actors, and mixed discourses of various levels such as the issue of fairness and inequalities including class inequality, university autonomy, school education crisis, future core competency.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a frame of values and presuppositions by critically analyzing the position of the subjects that make up these discourses. For this, first, the history of reform of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the reactions of the subjects are summarized for contextual understanding of discourse. Next, we analyses the values, beliefs, and viewpoints presumed by each discourse over the reform of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which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1) education and social reproduction discourse, 2) selection process fair discourse, 3) school education normalization discourse, 4) future competency education discourse, 5) right of university on selection discours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he issues and implications of the reform of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were discussed, and alternatives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최근 사회적 쟁점이 되고 있는 대학입시제도 개편을 둘러싼 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정시 확대 정책 발표로 촉발된 입시제도 담론은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활발하게 생...

      이 논문은 최근 사회적 쟁점이 되고 있는 대학입시제도 개편을 둘러싼 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정시 확대 정책 발표로 촉발된 입시제도 담론은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활발하게 생산되면서 공정성 담론과 계층 불평등을 포함한 교육 형평성, 대학 자율권, 학교교육 위기론, 미래 사회와 교육 등 다양한 수준의 담론이 혼재된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담론들을 핵심적인 쟁점을 중심으로 범주화하여 그 이면에 전제하고 있는 가치와 전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담론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위해 입시제도 개편의 흐름과 이를 둘러싼 교육 주체들의 반응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입시체제 개편을 둘러싼 지배적인 담론을 핵심 쟁점별로 1) 교육과 계층 재생산 담론, 2) 선발 과정 공정성 담론, 3) 학교교육 정상화 담론, 4) 미래 역량 교육 담론, 5) 대학의 선발권 담론으로 구분하여 각 담론에 내포된 가치, 신념, 관점 등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분석 결과에 토대를 두고, 입시체제 개편을 둘러싼 쟁점과 그 의미를 논의하고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미석, "핵심역량은 교육의 오래된 질문에 대한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는가?" 핵심역량교육학회 1 (1): 1-24, 2016

      2 현주, "한국학부모의 교육열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3

      3 김경근, "한국사회에서의 상급학교 진학 선택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27, 2006

      4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5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 한국교육개발원 2018

      6 오욱환, "한국 사회의 교육열에 대한 고유 이론 모형의 탐색" 37 (37): 1-30, 1999

      7 오욱환, "한국 교육정책의 실패 원인의 간파를 위한 상상력" 한국교육학회 47 (47): 97-117, 2009

      8 문윤지, "학생부종합전형이 사교육 경감에 미치는 영향: P사립대학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4 (24): 117-144, 2018

      9 허정은, "학생부종합전형에 따른 고교 교육의 변화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7 (27): 804-812, 2015

      10 주영효, "학생부종합전형 정책 분석 및 개선 방안"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41-168, 2017

      1 진미석, "핵심역량은 교육의 오래된 질문에 대한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는가?" 핵심역량교육학회 1 (1): 1-24, 2016

      2 현주, "한국학부모의 교육열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3

      3 김경근, "한국사회에서의 상급학교 진학 선택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27, 2006

      4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27, 2005

      5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 한국교육개발원 2018

      6 오욱환, "한국 사회의 교육열에 대한 고유 이론 모형의 탐색" 37 (37): 1-30, 1999

      7 오욱환, "한국 교육정책의 실패 원인의 간파를 위한 상상력" 한국교육학회 47 (47): 97-117, 2009

      8 문윤지, "학생부종합전형이 사교육 경감에 미치는 영향: P사립대학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4 (24): 117-144, 2018

      9 허정은, "학생부종합전형에 따른 고교 교육의 변화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7 (27): 804-812, 2015

      10 주영효, "학생부종합전형 정책 분석 및 개선 방안"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41-168, 2017

      11 "학생·학부모 정시 확대 주장하는 이유는…“학교·교사 불신"

      12 김영화, "학부모의 교육열 : 사회계층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30 (30): 173-197, 1992

      13 조한혜정,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또 하나의문화 1997

      14 김정원, "학교는 붕괴하고 있는가: 학교의 일상을 통해 본 학교붕괴의 실체" 한국교육학회 40 (40): 13-298, 2002

      15 "특별관리...몰아주기... 그래도 ‘학종’ 믿으라고요?"

      16 김성훈, "출신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 특목고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9 (19): 47-61, 2009

      17 이민경, "중산층 어머니들의 자녀교육 담론: 자녀교육 지원태도에 대한 의미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17 (17): 159-181, 2007

      18 "정시로 입학한 대학생이 ‘핵심역량’ 우수…학종이 가장 낮아"

      19 "정시냐 수시냐가 문제가 아니다"

      20 이종현, "정시(수능) vs 수시(학종): 불평등과 불공정의 시각에서 보기" 2019

      21 "정시 확대에 교사 “퇴행적 정책”, 학부모 “더 늘려야” 불만"

      22 "정시 확대가 가져 올 딜레마"

      23 강정진, "전환적 관점에서 살펴본 역량 중심 초등 영어 교육과정 운영"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93-117, 2016

      24 이민경, "자유학기제·진로체험 관련 미래형 역량 교육을 위한 21세기 교육실험 ᐨ거꾸로 캠퍼스 컨설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유학기·진로체험 지원센터 2017

      25 황여정, "입학사정관 제도에 대한 정보접근성 영향요인 및 그 계층적 함의" 안암교육학회 18 (18): 183-211, 2012

      26 "입시 공정성 둘러싼 대중의 인식…논문 10편 보니"

      27 "쏟아지는 수행평가… 악 소리나는 중고생·학부모"

      28 "수행평가의 진실"

      29 "수시가 공정? 명문대생 자소서 보라, 저소득층 엄두도 못내"

      30 전병유, "소득계층별 대학입시전형 선택과 입학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회 (108) : 80-115, 2020

      31 "새벽 4시까지 수행평가 ‘허덕’…“학생들 혼수상태”"

      32 "사교육비 급증은 수시·학종 탓? 정시·수능 탓?"

      33 신진욱, "비판적 담론 분석과 비판적·해방적 학문" 비판사회학회 (89) : 10-45, 2011

      34 문정주, "배제의 법칙으로서의 입시제도: 사회적 계층 수준에 따른 대학 입시제도 인식 분석" 한국사회학회 53 (53): 175-215, 2019

      35 "만연한 학생부 ‘복붙’...“교사들은 왜 Ctrl+C, Ctrl+V를 하는가”"

      36 오성배, "대학생의 대입전형별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5 (35): 35-52, 2017

      37 "대학 입학처장들 “정시 확대 반대…2022학년도 개편안 따라야”"

      38 이상우, "대학 입학 전형별 학생의 대학 학업 성과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31-154, 2018

      39 "대학 입시만큼은 공정해야 하지 않나 [주장] 학생부 종합전형을 폐지해야 한다"

      40 교육부, "대입공정성 강화방안 보도자료"

      41 "대입 수시, 확대될수록 사교육비는 증가했다"

      42 서덕희, "담론분석방법" (28) : 218-239, 2011

      43 "누구도 관심 갖지 않는 ‘또 다른 고3’의 이야기"

      44 장덕호, "급변하는 교육 환경과 서울교육의 방향" (232) : 2018

      45 "국민 78% “학종은 깜깜이 전형”… 수능 절대평가 땐 공정성이 숙제"

      46 오만석, "교육열의 사회문화적 구조" 한국정신문화원 2005

      47 이종각, "교육열 올바로 보기 : 그 정체는 무엇이며 어떻게 다루어야 하나?" 원미사 2003

      48 정병호, "교육개혁은 왜 매번 실패하는가?" 창작과 비평사 2008

      49 문수연, "교육 불평등 변화 양상 분석: 중간계급 및 코호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50 (50): 141-171, 2016

      50 이민경, "교실수업 혁신을 통한 미시적 교육개혁에 대한시론적 고찰: 거꾸로 교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95) : 223-251, 2015

      51 엄기호, "교사도 학교가 두렵다" 교육공동체 벗 2013

      52 "교사 60%, 정시 확대 반대 “학종이 미래 역량에 더 바람직”"

      53 고은정, "과학교과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세계의 동향에 준거하여 우리나라 현장 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535-547, 2014

      54 "고3 수험생 82%, “정시가 수시보다 공정”"

      55 "고3 68% “수시보다 정시가 더 공정”"

      56 이민경,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교실사회학적 의미 분석: 참여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181-207, 2014

      57 김정아, "강요된 무기력에 대한 학교교육체제 영향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29-49, 2017

      58 "“학생부 믿지 마세요” 현직 교사의 고백"

      59 성열관, "‘수업시간에 자는 중학생’ 연구: 수업참여 기피 현상에 대한 근거이론"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147-171, 2014

      60 "‘본고사→학력고사→수능→학종’…세대별 입시제도 변천사"

      61 Abelmann, N, "The Melodrama of Mobility : Women, Talk, and Class in Contemporary South Korea"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3

      62 Alon, S., "The Evolution of Class Inequality in Higher Education : Competition, Exclusion, and Adaptation" 74 (74): 731-755, 2009

      63 Foucault, M, "Surveiller et punir" Gallimard 1975

      64 Moscovici, S, "Psychologie sociale des relations a autrui" Nathan 1994

      65 OECD, "PISA 2015 Results in focus : what 15-year-olds know and what they can do with what they know" OECD 2016

      66 OECD, "PISA 2012 results in focus : what 15-year-olds know and what they can do with what they know" OECD 2013

      67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P21 Framework Definitions"

      68 "OECD 교육국장 “한국 대입, 많은 부담 초래…현 체제 오래 지속못해”"

      69 OECD,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70 World Economic Forum, "New vision for education : Unlock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World Economic Forum 2015

      71 World Economic Forum, "New vision for education : Foster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through technology" World Economic Forum 2016

      72 Foucault, M, "L’ordre du discours" Gallimard 1971

      73 Bourdieu, P, "Le sens pratique" Minuit 1980

      74 Bourdieu, P, "La Reproduction-élément pour une théorie au système d’enseignement" Minuit 1970

      75 Lett, D. P, "In pursuit of status : The Making of south Korea’s new urban middle cl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8

      76 Coleman, J. S.,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77 Christensen, C., "Disrupting class : How disruptive innovation will change the way the world learns" McGraw-Hill 2008

      78 교육부, "2020년 학년도 대학 입학전형 시행계획 보도자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4-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과학연구소 -> 한국사회과학연구회
      영문명 : Korea Social Science Institute -> Korea Social Science Studies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29 2.39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