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70년대 한국문학전집의 발간과 소설의 정전화과정  :  어문각 『신한국문학전집』을 중심으로 = Literary Anthologies of South Korea and Canon Formation in 1970s - Focusing on novels in The New Complete works of Korean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282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hows the canon formation of Korea Literature in 1970s by analyzing the distinctive composition of The New Complete works of Korean Literature. The New complete works of Korean Literature was circulated by a big publishing company, A-Mun-Ga...

      This paper shows the canon formation of Korea Literature in 1970s by analyzing the distinctive composition of The New Complete works of Korean Literature. The New complete works of Korean Literature was circulated by a big publishing company, A-Mun-Gag to mark the 60th anniversary for the emergence of New Literature. This literary anthology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Korean Literary anthologies in South Korean book market, regarding its planning and sizable volume. Claiming to stand for pure literature, which had been worked as an absolute value since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editors of anthology tried to embody the identity of South Korean literary circle.
      However, institutionalization of pure literature, especially led by Modern Literature (Hyundae Munhak), was incompletely strengthened by illogical process, which is worked through selection/exclusion of writers and works. Actually historical novel genre, which had been dismissed once because of its popularity in the field of Choseon literature of 1930s, was included in the planning of anthology. Such process suggests the canon formation of South Korean literary field in 1960~70s was based on two contradictory projects: exploring the origin of Pure literature and finding narrative style of nationalism. This means that the narrative plausibility of The New complete works of Korean Literature could be reached only through logical jump. Also, this implies that cracks in this collected works were sutured by ideological nationalism. In other words, Korean literature"s canon formation was worked through the combination among the selective oughtness of Pure Literature, the exclusive illogic dividing popular or yellow-covered literature, and conservative history of south Korean literature in 1960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신문학 60주년을 기리며 1970년대 남한 출판시장에 등장한 어문각 『신한국문학전집』의 구성적 특수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문학선·전집의 발간을 통해 촉발되는 한국문학�...

      본 연구는 신문학 60주년을 기리며 1970년대 남한 출판시장에 등장한 어문각 『신한국문학전집』의 구성적 특수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문학선·전집의 발간을 통해 촉발되는 한국문학의 정전화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어문각 『신한국문학전집』은 기획 및 규모에 있어, 출판시장에 등장한 여타 선·전집들과 확연히 구별되었다. 전집의 편집주체들은 남북 분단 이래로 남한 문단 내에서 일종의 거대서사처럼 기능하며 절대적 가치로 부상하였던 ‘순수문학’이라는 당위적 명제를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남한문단의 문학적 정체성을 구현해 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현대문학』에 의해 주도되는 순수문학의 제도화 과정이란, 순문학 작가와 작품의 선택이면에 작동하는 비논리적 프로세스를 통해 강화되는 것이었으며, 이는 『신한국문학전집』이 보여주는 정전화 기획이 불완전한 것임을 보여준다. 특히 1930년대 조선문학 장내에서 문학적인 가치가 없는 것으로 폄하되었던 역사소설 장르가 전집의 기획에 포함되는 일련의 과정은 1960·70년대 남한문학 장내부에서 전개된 한국문학의 정전화 과정이 순수문학에 대한 기원의 탐사와 민족주의적 서사양식의 발견이라는 2중의 모순된 기획에 기반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이는 순수문학=민족문학=『신한국문학전집』이라는 서사적 그럴듯함이 논리적 비약을 통해서만 가능한 명제이며, 전집내부의 균열들이 민족주의적 이데올로기에 의해 봉합된 상태임을 드러낸다. 순문학이라는 당위적 선택과 대중·통속문학을 가르는 비논리적 배제, 그리고 논리적 비약에 기반을 둔 1960년대 남한문단의 보수주의적 문학사의 결합을 통해 한국문학의 정전화 과정이 진행되었던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1. 1970년대 한국문학전집의 인정투쟁과 문학의 정전화
      • 2. 1960년대 남한사회의 통속화와 「신한국문학전집」의 출현
      • 3. 어문각 전집의 구성적 특수성과 배제의 프로세스
      • 4. ‘순수문학’으로서의 역사소설 장르의 확립과 문학장의 인준
      • 초록
      • 1. 1970년대 한국문학전집의 인정투쟁과 문학의 정전화
      • 2. 1960년대 남한사회의 통속화와 「신한국문학전집」의 출현
      • 3. 어문각 전집의 구성적 특수성과 배제의 프로세스
      • 4. ‘순수문학’으로서의 역사소설 장르의 확립과 문학장의 인준
      • 5. 결론을 대신하며: 문고본의 등장과 정전화 기획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셉 칠더즈, "현대문학․문화비평용어사전" 문학동네 2000

      2 "현대문학"

      3 이봉범, "해방10년, 보수주의문학의 역사와 논리" 한국근대문학회 (22) : 7-57, 2010

      4 이종호, "해방 이후 한국문학의 정전화 과정과 ‘배제’의 원리 -문학사의 공백(Void), 윤백남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37) : 247-280, 2012

      5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증보 개정판)" 성문각 1969

      6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제1부" 1956

      7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전권(증보판)" 인간사 1961

      8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개관" 정음사 1964

      9 "한국장편문학대계" 성음사

      10 강진호, "한국문학전집의 흐름과 특성" 돈암어문학회 16 : 2003

      1 조셉 칠더즈, "현대문학․문화비평용어사전" 문학동네 2000

      2 "현대문학"

      3 이봉범, "해방10년, 보수주의문학의 역사와 논리" 한국근대문학회 (22) : 7-57, 2010

      4 이종호, "해방 이후 한국문학의 정전화 과정과 ‘배제’의 원리 -문학사의 공백(Void), 윤백남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37) : 247-280, 2012

      5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증보 개정판)" 성문각 1969

      6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제1부" 1956

      7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전권(증보판)" 인간사 1961

      8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개관" 정음사 1964

      9 "한국장편문학대계" 성음사

      10 강진호, "한국문학전집의 흐름과 특성" 돈암어문학회 16 : 2003

      11 천정환, "한국문학전집과 정전화: 한국문학전집사(초)" 한국현대소설학회 (37) : 85-124, 2008

      12 민중서관, "한국문학전집"

      13 "한국대표문학전집" 삼중당

      14 차혜영, "한국 현대소설의 정전화 과정 연구-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와 지배이데올로기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돈암어문학회 (18호) : 2005

      15 조연현, "출판관계자의 입장에서 본 작가와 독자, 한국 P.E.N. 온양세미나 보고서: 한국작가의 사회적 지위" 국제 P.E.N. 한국본부 1969

      16 백철, "증보 신문학사조사" 민중서관 1955

      17 백철, "조선신문학사조사 현대편" 백양당 1949

      18 백철, "조선신문학사조사 근대편" 수선사 1948

      19 게오르그 루카치, "역사소설론" 거름 1993

      20 김병길, "역사소설, 자미(滋味)에 빠지다" 삼인 2011

      21 "신한국문학전집" 어문각

      22 백철, "신문학사조사" 민중서관 1953

      23 정비석, "신문소설작가의 비애"

      24 김동환, "서평 교과서와 이데올로기" 민족문학사연구소 35 : 2007

      25 박계주, "문총과 예술원(하)-특히 문학부 회원에 대하여"

      26 "매일경제"

      27 "동아일보"

      28 대한교과서사, "대한교과서사(1948~1983)"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8

      29 천정환, "근대의 책읽기" 푸른역사 2003

      30 차혜영, "국어 교과서와 지배 이데올로기 -1차~4차 교육과정기 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를 대상으로" 상허학회 15 : 67-86, 2005

      31 조미숙, "교육과정과 교과서 게재소설 변천 연구" 겨레어문학회 (38) : 317-351, 2007

      32 "경향신문"

      33 M. H. Abrams, "A Glossary of Literary Terms" Wadsworth Publishing 2012

      34 이봉범, "8ㆍ15해방~1950년대 문화기구와 문학 -문화관련 법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44) : 253-311, 2011

      35 이종호, "1960년대 한국문학전집의 발간과 문학 정전의 실험 혹은 출판이라는 투기" 상허학회 32 : 107-141, 2011

      36 이봉범, "1950년대 잡지저널리즘과 문학 - 대중잡지를 중심으로" 상허학회 30 : 397-454, 2010

      37 이봉범, "1950년대 신문저널리즘과 문학" 반교어문학회 (29) : 261-305,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4 1.46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