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위키 기반 협동적 글쓰기 학습 모형 개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odel for Wiki.based Collaborative wri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331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위키는 협동하여 글쓰기를 위한 상호작용적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웹 기반의 하이퍼텍스트 저작 시스템이다. 위키는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한 동료 간의 토의와 협업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

      위키는 협동하여 글쓰기를 위한 상호작용적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웹 기반의 하이퍼텍스트 저작 시스템이다. 위키는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한 동료 간의 토의와 협업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누구나 자유롭게 정보와 지식을 편집할 수 있는 지식 공간으로 웹을 기반으로 하는 동적 프로그래밍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키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쓰기 학습에서 필요한 학습자들의 협력적 의사소통과 의미구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위키의 도구적 특성과 학습자 간,학습자와 교수자 간의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상호작용적 교수·학습을 구성하는 위키식 협동학습 환경으로 협동적 글쓰기를 위한 학습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키 기반 협동적 글쓰기 학습 모형에 내재되어 있는 핵심 가치와 핵심 학습 활동을 분석하고, 협동적 글쓰기 학습의 핵심 학습활동을 촉진시켜 주는 지원 전략을 도출하였다. 뿐만 아니라 위키 기반 협동적 글쓰기 학습 모형의 초안을 구안하고, 전문가 검토를 통한 수정을 거쳐서 최종적인 위키 기반 협동적 글쓰기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Wiki based learning models for collaborative writing by integrating the features of Wiki to collaborative writing skills. The first research task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nherent core values an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Wiki based learning models for collaborative writing by integrating the features of Wiki to collaborative writing skills. The first research task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nherent core values and learning activities from Wiki based collaborative learningmodels. Second task is to derive support strategies to promote learning activities (writing strategies, cooperative learning, blending learning) of these models. Thrd task was, based on the extracted core values, core learning activities, and support strategies, to make the draft of learning models of
      collaborative writing. After modifications by expert reviews, suggested the final Wiki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s.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this study is below.
      First,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situation and problems by the law questionnaire surveys, and then extract key elements and learning activities from Web using case studies and previous researches of model
      development. Secondly, construct the daft of the learning models. Finally,revised them consistently by experts review.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ovided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learning model through the analysis and research of the core values in learning models.
      The researcher accepted experts review after make the draft of learning models based on the core values and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Finally, through the review and evaluation of the experts, the researcher presented final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s in writing skil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2.1 국어과 글쓰기 협동학습
      • 2.2 위키의 교육적 활용
      • 3. 연구 방법 및 절차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2.1 국어과 글쓰기 협동학습
      • 2.2 위키의 교육적 활용
      • 3. 연구 방법 및 절차
      • 3.1 연구 방법
      • 3.2 연구 절차
      • 3.3 타당도 검증
      • 4. 연구결과
      • 4.1 학습 모형의 핵심 가치와 핵심 학습 활동의 도출
      • 4.2 학습 모형의 설계 원리와 지원 전략 도출
      • 4.3 위키 기반 협동적 글쓰기 학습모형의 개발
      • 5.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문성, "협동학습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2002

      2 김명순, "협동학습의 국어교육적 의의" 한국교원대학교 어문교육연구소 9 : 121-145, 2000

      3 김윤희, "협동학습을 통한 쓰기 지도 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2007

      4 문혜경, "협동 학습을 통한 작문지도 방법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2000

      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해외 고등교육 이러닝 최신 동향 자료, 연구자료 RM 2006?9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6 임천택,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교수·학습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2

      7 박태호, "초등학생의 글쓰기 실태 조사와 능력 신장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국립국어연구원 1-10, 2003

      8 조재윤, "초등학교 쓰기 수업 관찰 연구 -6학년 설득하는 글 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8) : 339-370, 2005

      9 임성규, "초등학교 글쓰기 수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작문학회 3 : 9-44, 2006

      10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문음사 2006

      1 정문성, "협동학습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2002

      2 김명순, "협동학습의 국어교육적 의의" 한국교원대학교 어문교육연구소 9 : 121-145, 2000

      3 김윤희, "협동학습을 통한 쓰기 지도 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2007

      4 문혜경, "협동 학습을 통한 작문지도 방법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2000

      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해외 고등교육 이러닝 최신 동향 자료, 연구자료 RM 2006?9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6 임천택, "하이퍼텍스트 기반의 교수·학습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2

      7 박태호, "초등학생의 글쓰기 실태 조사와 능력 신장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국립국어연구원 1-10, 2003

      8 조재윤, "초등학교 쓰기 수업 관찰 연구 -6학년 설득하는 글 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8) : 339-370, 2005

      9 임성규, "초등학교 글쓰기 수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작문학회 3 : 9-44, 2006

      10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문음사 2006

      11 나장함, "질적 연구의 다양한 타당성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19 (19): 265-283, 2006

      12 조성웅, "주제어 유사도 분석에 기반한 협업문서 생성제어 시스템 구현" 한국정보과학회 29 (29): 163-165, 2002

      13 이재승, "작문 교육의 현황과 발전 과제.작문연구 창간호" 한국작문학회 39-64, 2005

      14 이재기, "소집단 협동적 작문활동에 관한 고찰" 17 (17): 263-312, 1997

      15 정희모, "글쓰기 교육과 협력학습" 삼인출판사 2006

      16 신헌재, "국어교육과 협동학습"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5 (15): 21-49, 1999

      17 Lamb, B., "Wide Poen Spaces:Wikis, Ready or Not" 39 (39): 36-48, 2004

      18 EDUCAUSE Learning Initiative, "7 things you should know about wikis. Jul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초등국어교육
      외국어명 : Jou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4 1.4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