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꿀벌 외래해충인 벌집꼬마밑빠진벌레(aethina tumida murray (coleoptera: nitidulidae))의 온도발육특성과 토양 살충제 감수성 = Temperature dependent development of aethina tumida murray (coleoptera: nitidulidae) and its susceptibility of soil insectici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699639

      • 저자
      • 발행사항

        안동 : 安東大學校,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21.795 판사항(6)

      • DDC

        630.2957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ii, vii, 54장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鄭哲義
        참고문헌: 장 46-52

      • 소장기관
        • 국립안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벌집꼬마밑빠진벌레(Small Hive beetle; SHB; Aethina tumida Murray)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1998년 미국 양봉장에서 발견되면서 서양종꿀벌에 중요한 해충이 되었다. 이 곤충은 2016...

      벌집꼬마밑빠진벌레(Small Hive beetle; SHB; Aethina tumida Murray)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1998년 미국 양봉장에서 발견되면서 서양종꿀벌에 중요한 해충이 되었다. 이 곤충은 2016년 9월 경상북도 밀양시에서 국내 최초 발견되었다. 국내의 양봉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는 외래 침입종이기 때문에 국내 침입 초기 양봉장에 미치는 영향과 추후 관리방안을 제시하기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국내 최초 보고된 밀양시를 방문하여 벌통 내부 육안관찰과 벌통 근처 토양분석을 통하여 침입초기 봉장 공간 내 분포를 분석하였다. 이후 경상북도 안동대학교로 추가적인 조사를 위한 계대사육을 실시하였다. 계대사육으로 사육된 유충은 온도발육실험과 토양 살충제 독성평가에 사용되었다. SHB의 국내 온도 환경에 적응성을 평가하고 온도 처리에 따른 발육기간 등을 보기 위하여 온도발육 실험을 진행하였다. Incubator에서 6개의 온도(15, 20, 25, 30, 35, 38℃)를 이용하였으며, 24-wall plate에 개별사육 하였으며 하단부에 충분한 먹이를 투입하였다. 이후 토양살충제를 이용한 토양 내 SHB 유충 방제를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3종의 약제, Cadusafos, Fosthiazate, Terbusfos를 이용하여, vial 시험법을 통하여 반수치사농도(48h-LC50) 값을 구하였으며, 실내 토양 적용실험은 추천약량(10a 당 6kg)의 1/2, 1, 2배를 사용하여, 잔류기간에 따른 살충율을 평가하였다. 공시충은 실내 누대사육 중인 방랑단계 1일 이내 유충을 사용하였다. 봉장 내 공간분포 분석은 총 159개의 벌통을 조사하였으며, 이 중 43개의 벌통에서 성충만 발견되었고, 20개의 벌통에서 유충만이 발견되었으며, 나머지 15 벌통에서 유충과 성충이 같이 발견되었다. 유충이 발견된 벌통 내부에서는 양봉 꿀벌의 모습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성충만 발견된 벌통은 약 59%가 벌통을 유지하고 있었다. 봉세가 강할수록 SHB 성충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토양 내부에서는 벌통 내부보다 더 많은 수의 유충이 발견되었다. 온도발육 실험에서는 온도별 사망률은 25℃와 30℃에서 가장 높았으며 온도가 감소하거나 증가할수록 사망률이 감소하였다. 15℃에서는 모든 알과 20℃에서 1령충까지 사육한 유충 모두 사망하였다. 알에서 성충이 될 때까지 기간은 20℃ 47.8±0.4, 25℃ 38.6±0.3, 30℃ 33.5±0.4, 35℃30.6±0.5, 38℃ 28.0±0.6일로 조사되었다. 토양 살충제 잔류 실험의 경우 반수치사농도(LC50)는 각 약제별 5.46, 1.67, 0.78mg/L (Cadusafos, Fosthiazate, Terbusfos)로 나타났다. 토양 적용 실험에서는 Cadusafos와 Terbusfos는 19일 조사에서 모든 유충이 사망하였지만 Fosthiazate의 경우 같은 날 조사한 토양에서 90% 이상의 유충이 번데기로 우화 하였다. Fosthiazate의 경우 약효가 지속되지 못하였으며, Cadusafos, Terbusfos의 경우 19일 후 까지 살충 효과를 유지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1.서론 1
      • 2.연구사 4
      • 3.재료 및 방법 12
      • 3.1본장 내 공간특성 12
      • 초록
      • 1.서론 1
      • 2.연구사 4
      • 3.재료 및 방법 12
      • 3.1본장 내 공간특성 12
      • 3.1.1SHB 조사 지역 12
      • 3.1.2봉군 내 외부 밀도 조사 12
      • 3.1.3자료 분석 13
      • 3.2SHB 온도 발육 특성 15
      • 3.2.1실험용 SHB 집단 15
      • 3.2.2SHB 온도 발육 실험 16
      • 3.2.3자료 분석 및 발육한계 온도 계산 16
      • 3.3토양 살충제의 독성 평가 18
      • 3.3.1독성평가 대상 및 사용 약제 18
      • 3.2.2실내 독성 바아알 실험 20
      • 3.3.3토양 잔류 독성 실험 20
      • 4. 결과 21
      • 4.1 봉장 내 공간특성 21
      • 4.1.1 벌통 내부와 토양에서 SHB 발육 태 별 밀도 21
      • 4.1.2 SHB 발육단계별 공간분포 및 밀도 간 연관관계 23
      • 4.2. 온도 발육 실험 30
      • 4.2.1 온도발육 기간 및 사망률 30
      • 4.2.2 SHB의 발육 한계온도 33
      • 4.3 토양 살충제 독성 평가 35
      • 4.3.1 SHB 유충 실내독성 평가 35
      • 4.3.2 SHB 유충 토양 잔류 독성 평가 37
      • 5. 고찰 41
      • 5.1 SHB 최초 발생 봉장 내 공간 분포 특성 41
      • 5.2 SHB 온도 발육 특성 42
      • 5.3 토양 살충제의 독성 평가 43
      • 5.4 SHB 관리를 위한 앞으로의 전망 44
      • 6. 인 용 문 헌 46
      • Abstract 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