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름작형 시설재배 파프리카의 주요 해충에 대한 생물적방제 기반 종합관리 = Biological Control Based IPM of Insect Pests on Sweet Pepper in Greenhouse in the Summ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124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여름작기 파프리카의 주요해충에 대한 생물적방제 기반 종합적관리를 시도하였다. 총채벌레류방제를 위해서 $m^2$당 총 2.1마리의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6월 6일과 19일 두 번 방사하...

      여름작기 파프리카의 주요해충에 대한 생물적방제 기반 종합적관리를 시도하였다. 총채벌레류방제를 위해서 $m^2$당 총 2.1마리의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를 6월 6일과 19일 두 번 방사하여 작기 동안 피해가 없었다. 진딧물 방제를 위해서는 $m^2$당 총 0.8마리의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을 4회에 걸쳐 방사하고, 진딧물 밀도가 높은 지점에 국부적으로 플로니카미드와 피메트로진을 5월 14일과 7월 18일, 6월 14일과 9월 4일에 각각 2회씩 살포하여 콜레마니진디벌 사용량을 줄었다.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에 대해서는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를 5월 9일부터 한번에 $m^2$당 38.1마리씩 9회에 걸쳐 총 343.4마리를 방사하였으며, 담배가루이 밀도가 트랩 당 200마리에 달했던 11월12일에 천적으로 방제가 어려워 디노테푸란을 1회 살포하여 방제하였다. 차응애(Tetranichus kanzawai)는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를 5월 23일부터 9월 10일까지 5회에 걸쳐 한 번에 $m^2$당 8.9마리씩 총 44.4마리를 방사하였으며, 담배가루이 천적인 지중해이리응애가 차응애의 알과 약충을 포식함으로서 두 종의 천적에 의한 차응애 밀도가 억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iological-control-based-integrated-pest-management of major pests occurring on sweet pepper in greenhouse during summer season was tried. As many as 2.1 Orius laevigatus per $m^2$ were released in two times on June 6 and 19, and the population of thr...

      Biological-control-based-integrated-pest-management of major pests occurring on sweet pepper in greenhouse during summer season was tried. As many as 2.1 Orius laevigatus per $m^2$ were released in two times on June 6 and 19, and the population of thrips was kept under control and accordingly the damage was negligible throughout the season. To control aphids, a total of 0.8 Aphidius colemani per $m^2$ were released in four times, 0.2 of them at a time, flonicamid on May 14 and July 18 and pymetrozine on June 14 and September 4 were sprayed on the spots of high aphid occurrence to reduce the release of the wasp, and the density of aphids was kept under control. Whitefly was controlled successfully by releasing a total of 343.4 Amblyseius swirski per $m^2$ in nine times, 38.1 of them at a time, from May 9 until November 12 and dinotefuran was sprayed on November 12 when the density of whitefly increased up to 200 per trap. Tetranichus kanzawai was controlled by both Phytoseiulus persimilis which was released a total of 44.4 per $m^2$ in five times 8.9 of them at a time from May 23 to September 10, and the A. swirski which was released for the control of whitef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형철, "전북지역 노지 고추에서의 총채벌레 발생과 피해" 한국응용곤충학회 45 (45): 9-13, 2006

      2 김정환, "시설작물에서 으뜸애꽃노린재(Orius strigicollis)와 오이이리응애(Amblyseius cucumeris)에 의한 총채벌레 밀도억제 효과" 한국응용곤충학회 45 (45): 1-7, 2006

      3 이건휘, "기주식물이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곤충학회 42 (42): 301-305, 2003

      4 Um, K.B., "research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Bemisia tabaci"

      5 Choi,B.Y, "Selection of low toxicity insecticide for Bemisia tabaci"

      6 Kwon,M.Y, "Production of sweet pepper and perspective"

      7 Cho,J.R, "Problem and way of improvement in cultivation of sweet pepper" Society of Natural Enemy Research 1-29, 2006

      8 Lee,J.U, "Present status of cultivation of sweet pepper and prospect of export" 14 (14): 36-41, 2001

      9 Vanhouten, Y.M., "Preselection of predatory mites to improve year round biological control of western flower thrips in greenhouse crops" 74 (74): 225-234, 1995

      10 van de Meiracker, "Oviposition sites of Orius insidiosus in sweet pepper" 16 (16): 109-112, 1993

      1 문형철, "전북지역 노지 고추에서의 총채벌레 발생과 피해" 한국응용곤충학회 45 (45): 9-13, 2006

      2 김정환, "시설작물에서 으뜸애꽃노린재(Orius strigicollis)와 오이이리응애(Amblyseius cucumeris)에 의한 총채벌레 밀도억제 효과" 한국응용곤충학회 45 (45): 1-7, 2006

      3 이건휘, "기주식물이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곤충학회 42 (42): 301-305, 2003

      4 Um, K.B., "research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Bemisia tabaci"

      5 Choi,B.Y, "Selection of low toxicity insecticide for Bemisia tabaci"

      6 Kwon,M.Y, "Production of sweet pepper and perspective"

      7 Cho,J.R, "Problem and way of improvement in cultivation of sweet pepper" Society of Natural Enemy Research 1-29, 2006

      8 Lee,J.U, "Present status of cultivation of sweet pepper and prospect of export" 14 (14): 36-41, 2001

      9 Vanhouten, Y.M., "Preselection of predatory mites to improve year round biological control of western flower thrips in greenhouse crops" 74 (74): 225-234, 1995

      10 van de Meiracker, "Oviposition sites of Orius insidiosus in sweet pepper" 16 (16): 109-112, 1993

      11 Kim, J.H., "Manual for the use of natural enemies on Paprika"

      12 Malais,M., "Knowing and recorgnizing, the biology of glasshouse pests and their natural enemies Koppert, B.V"

      13 Kim, Y.H., "Guide for the use of natural enemy"

      14 Kim, J.H., "Field application program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the pests on sweet pepper (Summer culture type)"

      15 Weintraub,P., "Evaluation of the predatory mite, Neoseiulus californicus, for spider mite control on greenhouse sweetpepper under hot arid field conditions" 45 (45): 29-37, 2008

      16 Messelink, G.J., "Evaluation of phytoseiid predators for control of western flower thrips on greenhouse cucumber" 51 : 753-768, 2006

      17 Zamani, A.A.,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life history of Aphidius colemani and Aphidius matricariae (Hymenoptera : Braconidae), two parasitoids of Aphis gossypii and Myzus persicae (Homoptera : Aphididae)" 36 (36): 263-271, 2007

      18 Yano,E, "Ecological consideration for biologica control of aphids in protected culture" 48 (48): 333-339, 2006

      19 Sampaio, M.V., "Development of Aphidius colemani Viereck (Hym. : Braconidae, Aphidiinae) and aterations caused by the parasitism in the host Aphis gossypii Glover (Hem. : Aphididae) in different temperatures" 36 (36): 436-444, 2007

      20 Kim, J.H., "Application of natural enemies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arthropod pests on sweet pepper"

      21 Kim, Y.H., "A preliminary study on the biological control of Tetranichus kanzawai Kishida in Angelica utlis Makino by Phytoseiulus persimillis Anthias-Henriot(Acarina : Tetranychidae, Phytoseiidae)" 111-115,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1 0.4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