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학생의 농촌성과 정주 의사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cognition of Rurality and Settlement Consciousness in Secondar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58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교생을 중심으로 청소년이 농촌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농촌에 대한 정주의사를 탐색함으로써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본 연구는 고교생을 중심으로 청소년이 농촌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농촌에 대한 정주의사를 탐색함으로써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4년 4월부터 6월까지 전남지역 22개 시·군의 고교 중 설문조사에 응한 40개 고등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거주지, 성별 등 인구사회학적 집단에 따른 인식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도시 청소년에 비해 농촌 청소년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농촌성 인식을 갖고 있으며, 지역사회소속감과 정주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고등학생 중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부정적인 농촌 성 인식을 갖고 있으며, 지역사회소속감과 정주의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주의사가 높은 집단이 긍정적인 농촌성 인식이 높았고, 지역사회소속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 농촌 청소년이 정주하기에 매력적인 방안 모색으로 긍정적인 농촌의 이미지를 높이고, 지역사회소속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농촌 여학생의 정주 환경을 개선하는 정책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사회복지가 농촌 고등학교에 우선적으로 도입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 rurality and rural settlements with the objective to provide a basis for the sustainability of rural areas. For this, high school students of 40 different schools in 5 cities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 rurality and rural settlements with the objective to provide a basis for the sustainability of rural areas. For this, high school students of 40 different schools in 5 cities and 17 counties in Jeollamdo province were surveyed from April to June 2014. Recognition of rurality and settlement consciousness among groups of different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background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rural youths have a relatively more positive rurality than urban youths; and rural girls have more negative views on settlement consciousness and sense of belonging in rural areas than boys. Additionally, rural youths with high settlement consciousness show more positive rurality awareness and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Therefore, for the sustainability of rural areas, more attractive policies should be explored in order to encourage more positive rurality awareness, the sense of belonging in the rural community and the settlement of rural youths; giving particular emphasis on policies for rural girls. Moreover, the introduction of school social work for rural high school stud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식, "환경과 어메니티 그리고 농업․농촌정비"

      2 우장명, "충북 농촌마을개발사업의 실태와 발전 방안" 충북발전연구원

      3 이용교, "초고령 사회에서 농촌복지의 체계화를 위한 시론" 1 : 5-24, 2007

      4 김철호, "지역 브랜드 정체성 구축의 동인으로서의 올림픽 기대가치와 지역사회 소속감 측정 척도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1 (11): 149-160, 2013

      5 하성규, "지속가능한 도시론" 보성각 2007

      6 농림수산식품부, "지속가능한 농업발전 전략" 2012

      7 김창길, "지속가능한 농업 발전 전략"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2

      8 주명규,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농촌마을 이주단지 조성계획 연구-경기도 포천시 교동마을을 대상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18 (18): 175-187, 2012

      9 임춘희, "젠더의 관점에서 본 농촌의 마을공동체 재구조화의 문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 115-153, 2010

      10 진양 명숙, "젠더 관점에서 본 귀농·귀촌 여성의 정착 과정과 그 특성"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7 (37): 79-100, 2014

      1 김인식, "환경과 어메니티 그리고 농업․농촌정비"

      2 우장명, "충북 농촌마을개발사업의 실태와 발전 방안" 충북발전연구원

      3 이용교, "초고령 사회에서 농촌복지의 체계화를 위한 시론" 1 : 5-24, 2007

      4 김철호, "지역 브랜드 정체성 구축의 동인으로서의 올림픽 기대가치와 지역사회 소속감 측정 척도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1 (11): 149-160, 2013

      5 하성규, "지속가능한 도시론" 보성각 2007

      6 농림수산식품부, "지속가능한 농업발전 전략" 2012

      7 김창길, "지속가능한 농업 발전 전략"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2

      8 주명규,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농촌마을 이주단지 조성계획 연구-경기도 포천시 교동마을을 대상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18 (18): 175-187, 2012

      9 임춘희, "젠더의 관점에서 본 농촌의 마을공동체 재구조화의 문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 115-153, 2010

      10 진양 명숙, "젠더 관점에서 본 귀농·귀촌 여성의 정착 과정과 그 특성"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7 (37): 79-100, 2014

      11 무안군, "제1기 지역사회복지계획" 2006

      12 정호진, "정호진 선생님의 농촌생활 이야기. 오늘도 나는 지렁이에게 안부를 묻는다" 옹기장이 2004

      13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전국 학교사회복지관련 사업별 운영 현황"

      14 윤원근, "우리나라 농촌어메니티 개발정책과 과제" 한국지역개발학회 15 (15): 1-22, 2003

      15 최수명, "어메니티 지향 시대의 농촌정비 방향. 환경과 어메니티 그리고 농업․농촌정비" 2001

      16 김승환, "어메니티 눈으로 본 부산. 21世紀 東亞細亞 海洋文明 - 21世紀 東亞細亞 海洋 生活ㆍ文化ㆍ經濟 네트워크 形成의 展望과 課題" 83-94, 2001

      17 조영국, "수도권 한 대학생 집단의 농촌 인식: 농촌성에 대한 담론 분석" 국토지리학회 43 (43): 241-256, 2009

      18 강평년, "색깔있는 마을만들기 성과와 과제:농촌현장포럼 사례를 중심으로, In 주민주도형 농촌개발사업, 색깔있는 마을을 가다" 3-27, 2014

      19 김영란, "색깔있는 마을만들기 사업의 사회복지적 함의, In 주민주도형 농촌개발사업, 색깔있는 마을을 가다" 51-81, 2014

      20 김성기,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연구 : 다중이해당사자 참여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2010

      21 강혜영,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이 조직구성원의 조직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14

      22 이정선, "사회자본 구축을 통한 농어촌 학생의 학업격차 개선방향"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7 (37): 131-150, 2005

      23 엄은희, "변화하는 농촌성과 지역 귀농운동조직의 대응 : 부산귀농학교를 사례로" 한국농촌사회학회 22 (22): 133-172, 2012

      24 김재호, "마을 만들기 정책사업 비판: 철학 없는 그린 투어리즘(green tourism)" 2 : 179-199, 2009

      25 박정은, "도시재생을 위한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 요인" 서울대학교 2014

      26 김미숙, "도시와 농산어촌 아동청소년의 복지와 여가수준 비교연구"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4 (34): 188-201, 2009

      27 임승빈, "도시 이미지 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MDS(Multidimensional Scaling)에 의한 도시 간 이미지 비교" 한국조경학회 32 (32): 47-56, 2004

      28 김영란, "도서지역 아동․청소년의 삶" 양서원 2005

      29 김정연, "농촌지역의 특성 분석 및 유형화 - 충청남도 읍·면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6 (26): 27-44, 2014

      30 이정원,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농촌다움 특성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12 (12): 1-9, 2006

      31 이동기, "농촌성의 의미와 측정 척도개발에 관한 소고" 2 : 49-60, 2002

      32 김영란, "농촌성(Rurality)에 대한 일 고찰: 농촌복지연구의 출발" 9 : 45-79, 2012

      33 배충진, "농촌복지의 역사적 고찰과 지향" 1 : 25-47, 2007

      34 김영란, "농촌복지의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3 : 101-128, 2009

      35 박덕병, "농촌관광 방문객의 농촌성(Rurality) 인지 영향요인" 한국호텔관광학회 8 (8): 199-212, 2006

      36 유수상, "농촌 지역복지 실천사례" 1 : 49-58, 2007

      37 박시현, "농촌 재가복지 실천 사례" 2 : 139-164, 2008

      38 오마리아, "농촌 여성노인 K의 생애구술에 드러난 젠더 불평등 경험과 극복을 위한 노력"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12) : 129-163, 2009

      39 김재현, "농촌 마을단위 지속가능성 지표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한국농촌관광학회 17 (17): 1-25, 2010

      40 교육부, "농어촌 중학교 집중 육성 방안" 2013

      41 우룡, "농어촌 아동·청소년의 실태 및 정책방향" 한국청소년학회 15 (15): 233-273, 2008

      42 마상진, "농어촌 교육 실태와 개선과제, In 국가 농어촌정책의 추진 방향과 과제"

      43 하상복, "근대성(modernity)과 ‘도시-농촌’ 관계의 정치적 독해" 9 : 25-44, 2012

      44 유희원, "공적연금제도의 기여기반과 지속가능성" 중앙대학교 2014

      45 김재형, "가난과 행복에 대한 성찰. 땅에 뿌리박힌 지혜" 모심과 살림 연구소 2006

      46 김춘동, "[일반논문]농촌지역의 회생과 지속가능성 모색" 5.18연구소 6 (6): 107-137, 2006

      47 Willits, Fern K, "Urban Residents' Views of Rurality and Contacts with Rural Places, Rural Sociological Society" 60 (60): 454-466, 1995

      48 Chambers, R., "Sustainable rural livelihoods: practical concepts for the 21st century" IDS 1992

      49 Kroes, G., "Strategies for Rural Development in Europe, In 환경과 어메니티 그리고 농업․농촌정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53, 2001

      50 Koh, J., "Sense of Virtual Community: A Conceptual Framework and Empirical Validation" 8 (8): 75-93, 2004

      51 McMillan, D. W.,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14 : 6-23, 1986

      52 Willits, Fern K., "Popular Images of ‘Rurality’: Data from a Pennsylvania Survey" 55 : 559-578, 1990

      53 Word Commission on Envirionment and Development, "Our Common Future" Oxford Univeristy Press 1987

      54 McCormack, J., "Children's understandings of rurality: explor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18 (18): 193-207, 2002

      55 성주인, "2012년 농어촌 정주 의식 조사 보고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학교사회사업 -> 학교사회복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2.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1 2.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