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호로서의 신체적 연기: 그것의 연극적 특성과 인지과학적 원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59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호연기’에 대한 아이디어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고, 그것의 이론적/미학적 당위성이 무엇인지 고찰하기 위해 디드로, 델사르트, 마이어홀드, 그리고 아르토의 연기이론...

      본 연구는 기호연기’에 대한 아이디어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고, 그것의 이론적/미학적 당위성이 무엇인지 고찰하기 위해 디드로, 델사르트, 마이어홀드, 그리고 아르토의 연기이론을 논의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 이들 이론들이 지향하는 신체적 표현에 대한 생각과 입장을 고찰하고, (2) 그와 같은 생각과 입장이 어떻게 기호연기로 발전하며, (3) 기호연기가 각각의 이론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되는지 고찰했다. 그것에 따라 파악된 기호연기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기호연기는 ① 제스처나 무대동작 같은 신체적 표현을 중시하며, ② 그와 같은 신체표현이 특정한 감정과 생각을 환기시키는 ‘기호(sign)’의 성격을 갖는다고 전제하면서, ③ 치밀한 계산에 따른 외적 기호의 모방을 권장하며, ④ 외적 기호를 효과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해 정지된 그림인 타블로의 미학을 사용하고, ⑤ 역의 창조과정보다 관객에게 인상적인 외적 표현의 결과를 우선시하는 수용자 중심의 미학을 지향하고, ⑥ 정서적 반응이나 지적인 이해는 신체적 경험에서 출발한다는 전제를 암암리에 깔고 있어서, ⑦ 대사(언어)보다 신체언어를 강조하며, ⑧ 인지과학의 신체화된 실재론, 거울뉴런, 시각적 의도 이론 등에 의해 상당부분 그 정당성을 확보한다. 이와 같은 공통점들을 갖고 있는 기호연기는 또한 개별적인 차이를 갖고 있기도 했다. 예를 들어 궁극적으로 창조하고자 하는 기호연기는 디드로와 델사르트에게는 감정과 생각을 충실히 반영하는 감정기호, 마이어홀드에겐 서커스 곡예를 이용한 양식화된 기호, 아르토에게는 삶의 형이상학을 표현하는 정신적 기호였다. 또한 디드로와 마이어홀드의 기호연기는 배우의 냉정한 의식을 요구했다면, 아르토의 기호연기는 ‘무아경’을 지향했다. 그리고 디드로와 델사르트와 마이어홀드는 관객의 감각에 호소하는 기호연기를 생각했다면, 아르토는 관객의 감각을 해체시킬 정도로 파괴적인 기호연기를 주장했다. 이런 식으로 기호연기에 관한 논의는 반복되는 아이디어와 새로운 시각을 갖으며 역사적으로 이어져 왔다. 따라서 기호연기의 이론은 일종의 ‘다양함 속의 통일성’을 이루며 하나의 ‘계보’를 형성할 정도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아마 기호연기는 이론 이전에 실천의 사안일 것이다. 그것은 고대 연극에서부터 실천적으로 이미 존재했던 것으로 추측되며, 배우들이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이처럼 기호연기가 연극의 오랜 역사를 지배하고, 그것이 나름대로의 미학적 잠재력으로 배우연기의 유력한 도구임을 감안할 때, 이에 대한 학술적 탐구와 연극적 관심사는 필요하다 하겠다. 사실 기호연기는 최악의 경우 ‘도식적인 표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studied the acting theories of Diderot, Delsarte, Meyerhold, and Artaud to know the historical formation of ‘sign acting’ and its theoretical and aesthetic appropriateness. The discussion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subjects: ...

      This essay studied the acting theories of Diderot, Delsarte, Meyerhold, and Artaud to know the historical formation of ‘sign acting’ and its theoretical and aesthetic appropriateness. The discussion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subjects: ① each theorist's idea and standpoint of physical expression, ② the development of those ideas and standpoints into the sign acting, ③ the practical ways of sign acting suggested by each theorist. The sign acting so far discussed shows the repetitive patterns of idea as follows. The sign acting ① emphasizes the physical expression such as gesture and movement, ② assumes that the physical expression functions as a sign evoking special emotion and thought, ③ thus recommends the imitation of the outer sign, ④ uses a tableau for the effective reception of outer sign, ⑤ aims for the spectator oriented aesthetics as it stresses the result of outer sign rather than the creative process of a role, ⑥ assumes that the emotional reaction or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 springs from the physical experience, ⑦ thus emphasizes the physical language rather than speech, ⑧ can attain the appropriateness of physical language by the recent theories of cognitive science. Besides having such commonness, the sign acting also reveals the individual differenc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