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남지역 마한시기 패총의 변천과 역사적 함의 = The Changes and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Mahan's clam a pile period in Hon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32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대상은 호남지역 패총이며 시간적 범위는 B.C 4·3∼A.D. 4세기로 설정하였다. 패총에서는 ‘새로운 특징’을 보이고, 문헌자료와 부합하는 측면이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개별패총의 ...

      본고의 대상은 호남지역 패총이며 시간적 범위는 B.C 4·3∼A.D. 4세기로 설정하였다. 패총에서는 ‘새로운 특징’을 보이고, 문헌자료와 부합하는 측면이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개별패총의 상대편년과 신문물과 이에 상응되는 문헌자료를 통해서 4시기로 설정하였다.
      Ⅰ기는 점토대토기문화와 관련되며, 2기로 세분된다. Ⅰ-1기는 원형점토대토기문화와 관련되고, 서해안·만경강일대에 집중되며, 시기적으로 B.C. 4·3~B.C. 2세기 중반 동안이다. 만경강유역 토광묘집단이 해상교류를 통한 연화보-세죽리유형의 철기문화를 기반으로 지역사회를 주도한다. Ⅰ-2기는 삼각형점토대토기문화와 관련되며, 서해안·영산강일대의 해남 군곡리에 집중되며, 시기적으로 B.C. 2세기 후반~B.C. 1세기 중반 동안이다. 고조선 패망과 맞물려 만경강일대 토광묘집단이 해체됨으로써 서해안·만경강일대의 연안항로는 쇠퇴한다. Ⅱ기는 낙랑계한문물이 확인되며, 시기적으로 B.C. 1 세기 중·후반~A.D. 1세기동안이다. 서해안·영산강일대의 연안항로가 활성화되며, 낙랑군의 상업적 기능이 강화되는 시기와 일치한다. Ⅲ기는 물질문화에서 ‘공통적 보편성’이 확인되며, 시기적으로 2세기경이다. 한·예 세력이 강성해져서 낙랑군이 위축되는 시기와 상응한다. 서해안·영산강일대를 필두로 권역별 지역사회가 연안항로를 점유해 간다. Ⅳ기는 패총 수가 급증하며, 시기적으로 3~4세기경이다. 권역별 지역사회가 연안항로의 주도권을 확보해하지만 낙랑군과 대방군이 복속되고, 백제가 전성기를 이루는 4세기 후반경 무렵 패총은 쇠퇴되어간다.
      패총은 신통로의 중요성이 인식되는 시기에 마한 세력의 동향을 보여주는 대표적 유적이며, 해양세력의 등장을 의미한다. 패총에 철기문화가 유입된 이후에 바다와 강은 경계의 의미를 벗어나 통로로서 새롭게 인식된다. 그 의미를 단선적으로 해석하기보다는 ‘새로운 인식’ 전환의 패러다임이라는 시각으로 보았다. 패총이 철기문화 문화의 유입을 전후로 하여 단순한 생계를 위한 경제활동을 위한 장소였다면, 생산경제를 위한 장소로 전환된다. 패총은 지역사회로 들어가는 ‘관문사회’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general gun of Honam area, The time range was B.C., 4 or 3rd toA.D. 4nd century. In the pamphlet, there is a 'new feature' and it is aspects that correspond with the literature material. Considering this point, the peri...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general gun of Honam area, The time range was B.C., 4 or 3rd toA.D. 4nd century. In the pamphlet, there is a 'new feature' and it is aspects that correspond with the literature material. Considering this point, the period was set at 4 o'clock through the relative year of the individual defeat guns, newspapers and corresponding literature. Considering this point, the period was set to be 4 o'clock through the relative years of the clam a pile, advanced culture, and corresponding literature.
      I-1 period is related to the culture of the original clay earthenware, and it is concentrated on the west coast and the Geumgang area. It was during the middle of the B.C., 4 or 3rd toA.D. 2nd century. The Togwangmyo group in the Geumgang and Mangyeong Rivers Basin leads the local community based on the iron culture of the Yeonhwabo-Sejukri types introduced by maritime exchanges. The Ⅰ-2 period is related to the triangular clay pottery culture and is concentrated in Haenam Gungok-ri, the West coast· Yeongsan river area. It is timely during the late 2nd century to B.C.. mid 1st century. The Mangyeong River area is dismantled by the collapse of the Gojoseon, and the coastal route shopping mall of the west coast and Geumgang area is declining due to the installation of Hansa. The third period is confirmed by the Nakrang Chinese text, and it is until the first century of the late B.C. 1st century. It coincides with the time when the commercial function of Nakrang County is strengthened. The Ⅲ period is confirmed to be common universal in material culture and is around the second century in time. It corresponds to the time when the Korean and Japanese forces became stronger and the Nakrang army was shrinking. The community is securing the initiative of coastal routes. The VI period is the third to fourth centuries, with the number of heaps increasing. The Nakrang and Daebang army are subjugated, and the patriarchy is extinguished in the late 4th century when Baekje is in its heyday.
      Clam a pile is a representative marine heritage as a product of marine culture as a trace of marine activity, and it means the emergence of marine forces. In the pamphlets where iron culture is introduced, the sea and river are newly recognized as passages beyond the meaning of the boundary. Rather than interpreting the meaning in a single line, it was seen as a paradigm of new perceptional change. If the patriarch was a place for economic activities for simple livelihoods before and after the influx of iron culture culture, it would be converted into a place for production economy.
      The marine forces pursued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new social structure and also coincided with the growth of the political body of the community. The marine remains of the time expressed as a pawn performed the function of 'gateway society' entering the commun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장석,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에 대하여" 호남고고학회 33 : 45-69, 2009

      2 최성락, "호남지역 철기문화의 형성과 변천" 도서문화연구원 (49) : 105-146, 2017

      3 장지현,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양상과 특징- 생활유적을 중심으로 -" 호남고고학회 51 : 32-55, 2015

      4 김장석, "호남지역 원삼국시대 편년과 지역성" 호남고고학회 66 : 4-30, 2020

      5 서현주, "호남지역 원삼국시대 패총의 현황과 형성배경" 11 : 79-112, 2000

      6 김규정, "호남지역 마한성립기 대외교류"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9) : 5-38, 2017

      7 김은정, "호남지역 마한 주거지 출토 의례용기에 관한 소고 - 모형토기와 조형토기를 중심으로 -" 호남고고학회 61 : 92-107, 2019

      8 이청규, "해상활동의 고고학적 기원과 전개" 경인문화사 2016

      9 전남문화재연구원, "해남 황산리 분토유적Ⅱ" 2007

      10 목포대학교박물관, "해남 군곡리패총Ⅴ" 2021

      1 김장석, "호서와 서부호남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편년에 대하여" 호남고고학회 33 : 45-69, 2009

      2 최성락, "호남지역 철기문화의 형성과 변천" 도서문화연구원 (49) : 105-146, 2017

      3 장지현, "호남지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양상과 특징- 생활유적을 중심으로 -" 호남고고학회 51 : 32-55, 2015

      4 김장석, "호남지역 원삼국시대 편년과 지역성" 호남고고학회 66 : 4-30, 2020

      5 서현주, "호남지역 원삼국시대 패총의 현황과 형성배경" 11 : 79-112, 2000

      6 김규정, "호남지역 마한성립기 대외교류"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9) : 5-38, 2017

      7 김은정, "호남지역 마한 주거지 출토 의례용기에 관한 소고 - 모형토기와 조형토기를 중심으로 -" 호남고고학회 61 : 92-107, 2019

      8 이청규, "해상활동의 고고학적 기원과 전개" 경인문화사 2016

      9 전남문화재연구원, "해남 황산리 분토유적Ⅱ" 2007

      10 목포대학교박물관, "해남 군곡리패총Ⅴ" 2021

      11 목포대학교박물관, "해남 군곡리패총Ⅳ" 2019

      12 목포대학교박물관, "해남 군곡리패총Ⅲ" 1989

      13 목포대학교박물관, "해남 군곡리패총Ⅱ" 1988

      14 김진영, "해남 군곡리패총 편년 검토" 전남문화재연구소 15 : 33-58, 2015

      15 목포대학교박물관, "해남 군곡리패총" 1987

      16 미야자토 오사무, "한반도 청동기의 기원과 전개" 서경문화사 2010

      17 권욱택, "한반도 남부·일본열도 출토 漢代화폐와 용도 - 오수전·왕망전을 중심으로 -" 영남고고학회 (84) : 5-29, 2019

      18 박지영, "한반도 남부 출토 前漢鏡의 제작연대 –중국 전한경 공반 동전에 입각한 고찰" 한국고고학회 (93) : 4-45, 2014

      19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한국의 조개더미유적2" 2010

      20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한국의 조개더미유적1" 2010

      21 서현주, "한국의 조개더미 유적2" 1170-1190, 2010

      22 하인수, "한국의 조개더미 유적2" 1109-1149, 2010

      23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학사전" 학연문화사 2003

      24 최성락, "한국 원삼국시대 문화 연구" 학연문화사 1993

      25 이인숙, "한국 고대 유리의 분석적 연구(I)" 한국대학박물관협회 (34) : 79-95, 1989

      26 한옥민, "타날문토기 등장과정에 대한 재해석 -해남 군곡리유적을 중심으로-" 호남고고학회 58 : 108-125, 2018

      27 한옥민, "출토토기로 본 군곡리유적의 고고학적 의미" 백제학회 (26) : 129-153, 2018

      28 최성락, "철기시대 패총의 형성 배경" 호남고고학회 15 : 57-82, 2002

      29 이창희, "중도식무문토기 출현연대 재검토" 한국상고사학회 103 (103): 37-66, 2019

      30 이창희, "점토대토기의 실연대 -세형동검문화의 성립과 철기의 출현연대-" 국립문화재연구소 43 (43): 48-101, 2010

      31 한국상고사학회, "전환기의 고고학Ⅰ" 학연문화사 2001

      32 이송래, "전환기의 고고학Ⅰ" 학연문화사 214-252, 2001

      33 최흥선, "전북 서해안지역 原三國∼三國時代 토기 變化 -群山 藍田패총·주거지 출토품 중심으로-" 전북사학회 (45) : 33-68, 2014

      34 전남라남도문화관광재단 전남문화재연구소, "전남지역 고대문화의 양상과 교류" 진인진 2018

      35 김진영, "전남지역 고대문화의 양상과 교류" 진인진 102-137, 2018

      36 강봉룡, "전남지역 고대문화의 양상과 교류" 진인진 6-58, 2018

      37 곽장근, "장수군 제철유적의 분포양상과 그 의미" 호남고고학회 57 : 4-25, 2017

      38 김장석, "이주와 전파의 고고학적 구분: 시험적 모델의 제시" 한국상고사학회 38 : 1-26, 2002

      39 한수영, "완주 신풍유적을 중심으로 본 초기철기문화의 전개양상" 호남고고학회 56 : 4-23, 2017

      40 김진영, "영산강유역 철기 수용과 배경" 호남고고학회 59 : 126-143, 2018

      41 김진영, "영산강유역 지석묘사회의 변동요인" 전남문화재연구소 17 : 11-17, 2018

      42 정인성, "영산강유역 마한제국과 낙랑·대방·왜" 진인진 26-59, 2018

      43 목포대학교박물관, "영광 군동유적" 2001

      44 전남문화재연구원, "순천 좌야·송산유적" 2011

      45 마한문화연구원, "순천 덕암동유적Ⅱ" 2010

      46 전북대학교박물관, "서해안 고속도로 건설구간(서천-군산간)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 1998

      47 전북대학교박물관, "비응도·가도·오식도" 2002

      48 전남대학교박물관, "보성 금평패총" 1998

      49 김장석, "방사성탄소연대로 본 원삼국시대 - 삼국시대 토기편년—중부, 호서,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100) : 46-85, 2016

      50 송종열, "만경강유역 점토대토기문화의 정착 과정" 호남고고학회 50 : 52-69, 2015

      51 전영래, "마한시대의 고고학과 문헌사학" 원광대학교마한백제문 화연구소 12 : 49-62, 1990

      52 최완규, "마한 성립의 고고학적 일고찰" 한국고대사학회 (79) : 47-96, 2015

      53 이청규, "동아시아의 철기문화와 고 조선" 학연문화사 183-197, 2013

      54 이성주, "대구·경북의 지석묘 문화" 화재연구원 129-154, 2017

      55 원광대학교 마한, "노래섬(Ⅰ)" 2002

      56 서현주, "남해안지역 원삼국시대 패총의 시기구분과 기원문제" 4 : 39-68, 1996

      57 김장석, "남한지역 장란형토기의 등장과 확산" 중부고고학회 11 (11): 5-49, 2012

      58 이청규, "남한 청동기집단의 철기의 수용, 원사시대 사회변동의 본질" 한국상고사학회 7-39, 2016

      59 국립광주박물관, "나주 장동리 수문패총" 2010

      60 전남문화재연구원, "나주 랑동유적" 2006

      61 전남문화재연구원, "나주 구기촌·덕곡유적" 2016

      62 국립전주박물관, "군산 여방리 남전 패총" 2013

      63 목포대학교박물관, "군곡리패총-동아시아 해양교류의 시작" 2019

      64 대한문화재연구원, "광주 신창동유적Ⅰ" 2016

      65 국립광주박물관, "광주 신창동 저습지 유적Ⅵ" 2010

      66 국립광주박물관, "광주 신창동 저습지 유적Ⅴ" 2003

      67 국립광주박물관, "광주 신창동 저습지 유적Ⅲ" 2001

      68 단국대학교동양학연구원, "고조선과 위만조선의 연구쟁점과 대외교류" 2015

      69 이청규, "고조선과 위만조선의 연구쟁점 과 대외교류" 학연문화사 309-354, 2015

      70 권오영, "고대 한반도에 들어온 유리의 고고, 역사학적 배경" 한국상고사학회 85 (85): 135-160, 2014

      71 강봉룡, "고대 동아시아 연안항로와 영산강·낙동강유역의 동향-4세기 이전을 중심으로-" 도서문화연구원 (36) : 7-36, 2010

      72 정인성, "韓國考古學에서 ‘初期鐵器時代’ 그리고 ‘古朝鮮時代’" 한국상고사학회 106 (106): 25-49, 2019

      73 이남규, "韓半島 初期鐵器文化의 流入 樣相 樂浪 설치 以前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42 (42): 31-51, 2002

      74 이창희, "郡谷里貝塚의 年代와 ‘경질무문토기-타날문토기’ 小考 -영남고고학의 입장에서-" 영남고고학회 (68) : 4-29, 2014

      75 정인성, "衛滿朝鮮의 鐵器文化" 백산학회 (96) : 39-77, 2013

      76 이범기, "考古學 資料를 통해 본 古代 南海岸地方 對外交流-貨幣와 卜骨을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9 (9): 111-144, 2006

      77 정인성, "燕系 鐵器文化의 擴散과 그 背景" 영남고고학회 (74) : 4-33,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6 2.001 0.6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