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 대산만 지석묘 사회와 다호리 집단 = Ancient Daesan Bay’s Dolmen Society and Daho-ri Grou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3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 다루는 공간적 범위는 창원시 동읍·대산면 및 김해시 진영읍 일원이다. 이 지역은 고대사회에 고 대산만(古大山灣)으로, 동일한 소문화권을 형성하였다. 필자는 고 대산만을 대상...

      본고에서 다루는 공간적 범위는 창원시 동읍·대산면 및 김해시 진영읍 일원이다. 이 지역은 고대사회에 고 대산만(古大山灣)으로, 동일한 소문화권을 형성하였다. 필자는 고 대산만을 대상으로 덕천리 유적 등의 지석묘 축조사회와 변한(弁韓) 소국(小國)의 수장층(首長) 무덤으로 추정되는 다호리 목관묘(木棺墓) 축조집단과의 유기적인 연결고리를 찾고자 하였다. 고 대산만은 지석묘 축조를 위해 인력이 동원되는 실질적인 범위인 1-2개 읍락(邑落) 규모의 공간이고, 이 규모는 변한(弁韓)·가야(加耶)사회의 1개 소국과도 연결된다.
      고 대산만에서 지석묘의 밀집도가 가장 높고 대외 교류의 거점인 봉산리·용잠리 집단이 중심 취락으로 추정되며 초대형 지석묘인 덕천리 1호의 피장자는 거점취락과 연계되어 제사를 주관한 사제(司祭)로 보았다. 즉, 봉산리·용잠리 일대의 우두머리는 정치적인 수장(首長)이고 덕천리 1호로 대표되는 피장자는 공동체의 제의를 주관하는 제사장으로 추정하였다. 봉산리·용잠리 일대의 우두머리는 집단지향적인 수장이라는 점에서 다호리 1호묘와 같은 개인지향적인 수장과는 차별성이 있다.
      점토대토기(세형동검)문화가 늦게 나타난 영남 동남부지역, 특히 창원·김해 일대에 거대한 묘역을 갖춘 지석묘는 초기철기시대로 편년되고 있다. 이 시기에 지석묘를 축조했던 집단은 새로운 이질적인 문화요소와 만나게 되는데 우두머리들은 개인의 능력과 사적 소유를 강조하는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수용하기보다는 종래 사회구조를 지탱했던 공동체유형을 강화하는 방향을 선택하면서 덕천리 1호와 같은 대규모 묘역식 지석묘를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즉, 고 대산만에서 종래 거점취락인 봉산리·용산리 일대 중심세력이 점토대토기문화 유입기에 덕천리에 별도의 제의공간을 만들고 기존 질서를 유지하려는 전략을 택한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다호리 집단의 주축 세력을 기원전 1세기(전반)대에 고조선 멸망 후 남하한 서북한계 유이민으로 보았다. 초기 목관묘를 조영한 집단은 이주민이겠지만 점차 토착 유력세력과의 혼인관계 등 화합을 통해 통합을 지향했으리라 본다. 덕천리 지석묘군의 늦은 단계(기원전 1세기대)의 매장주체부 및 유물과의 비교를 통하여 다호리세력과 덕천리 세력 간의 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고 대산만의 거점 지석묘 집단과 다호리 세력은 모두 낙동강 수로를 통한 교역의 중심지로서 성장하였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find an organic link between the dolmen building society of the Deokcheon-ri Site and the Daho-ri group, which built wooden coffin graves that are presumed to be the graves of the ruling class of a small state in the Byeonhan re...

      This study intended to find an organic link between the dolmen building society of the Deokcheon-ri Site and the Daho-ri group, which built wooden coffin graves that are presumed to be the graves of the ruling class of a small state in the Byeonhan region, with regard to the Daesan Bay in ancient times. Daesan Bay in ancient times is large enough to accommodate one to two Euprak(邑落), the actual number of villages from which the manpower for building a dolmen was mobilized, and this scale is similar to that of one small state in Byeonhan and Gaya society.
      The Bongsan-ri and Yongjam-ri group, which ha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dolmens in Daesan Bay and was the main place for exchange with outside, is presumed to be the central settlement, and the owner of the giant dolmen, Deokcheon-ri 1, is presumed to be the priest that supervised religious rites in connection with the main settlement.
      Dolmens in the southeastern area of the Yeongnam region where the Round Clay Rim Pottery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appeared later, particularly the ones that have large grave boundaries in Changwon and Gimhae, are mostly from the Early Iron Age. It is presumed that the group that built dolmens during this time faced new heterogenous cultural elements, and the leaders chose to strengthen the community system which had buttressed existing social structure rather than accepting new ideologies that emphasize individual capabilities and private ownership and constructed a huge dolmen with graveyard like Deokcheon-ri 1.
      The Daho-ri group is presumed to be the wandering people from north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came to south after Gojoseon fell around (early) 1 B.C. The group that build the wooden coffin grave in the beginning must be immigrants. However, it is assumed that they aimed to gradually integrate with the aboriginal powerhouse through reconciliation such as matrimonial relationships. The comparison with the burial chambers and artifacts of the later stage (around 1 B.C.) dolmens in Deokcheon-ri indicated that the Daho-ri group and Deokcheon-ri group had exchang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王成生, "遼寧考古文集(2)" 科學出版社 2010

      2 이청규, "嶺南지역의 靑銅器에 대한 論議와 解釋" 영남고고학회 30 : 1-24, 2002

      3 林孝澤, "洛東江下流域 加耶의 土壙木棺墓 硏究"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3

      4 이희준, "한반도 남부 청동기~원삼국시대 수장의 권력 기반과 그 변천" 영남고고학회 (58) : 35-77, 2011

      5 김철준, "한국고대사회연구" 지식산업사 1975

      6 안재호, "한국고대사와 고고학" 학연문화사 2000

      7 박순발, "한강유역의 기층문화와 백제의 성장과정" 한국고고학회 36 : 1997

      8 이동희, "청동기시대의 고고학4-분묘와 의례" 서경문화사 2017

      9 박해운, "청동기사회에서 철기사회로의 진행과정 — 집단지향적인 사회구조에서 개인지향적인 사회구조로의 변화과정과 이데올로기의 전환 —" 수선사학회 (69) : 91-130, 2019

      10 이상길, "청동기 매납의 성격과 의미-마산 가포동유적 보고를 겸하여" 한국고고학회 42 : 2000

      1 王成生, "遼寧考古文集(2)" 科學出版社 2010

      2 이청규, "嶺南지역의 靑銅器에 대한 論議와 解釋" 영남고고학회 30 : 1-24, 2002

      3 林孝澤, "洛東江下流域 加耶의 土壙木棺墓 硏究"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3

      4 이희준, "한반도 남부 청동기~원삼국시대 수장의 권력 기반과 그 변천" 영남고고학회 (58) : 35-77, 2011

      5 김철준, "한국고대사회연구" 지식산업사 1975

      6 안재호, "한국고대사와 고고학" 학연문화사 2000

      7 박순발, "한강유역의 기층문화와 백제의 성장과정" 한국고고학회 36 : 1997

      8 이동희, "청동기시대의 고고학4-분묘와 의례" 서경문화사 2017

      9 박해운, "청동기사회에서 철기사회로의 진행과정 — 집단지향적인 사회구조에서 개인지향적인 사회구조로의 변화과정과 이데올로기의 전환 —" 수선사학회 (69) : 91-130, 2019

      10 이상길, "청동기 매납의 성격과 의미-마산 가포동유적 보고를 겸하여" 한국고고학회 42 : 2000

      11 창원문화원, "창원의 고인돌" 2018

      12 조현정, "창원 용잠리 송국리문화 유적" 삼강문화재연구원 2012

      13 최종규, "창원 용잠리 송국리문화 유적" 삼강문화재연구원 2012

      14 삼강문화재연구원, "창원 용잠리 송국리문화 유적" 2012

      15 국립김해박물관, "창원 봉산리유적" 2010

      16 가종수, "지금도 살아 숨쉬는 숨바섬의 지석묘 사회" 북코리아 2009

      17 김미영, "제6장. 함안지역 청동기시대 문화의 특징, 함안 선사유적 현황조사" 2019

      18 이동희, "인도네시아 숨바섬과 한국 지석묘 사회의 비교 연구" 호남고고학회 38 : 5-38, 2011

      19 이건무, "의창 다호리유적 발굴진전보고(Ⅰ)"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 : 1989

      20 우장문, "우리나라와 인도네시아의 고인돌 연구" 학연문화사 2013

      21 이수홍, "영남지방 무덤자료를 통해 본 계층화와 수장의 등장, 영남지역 수장층의 출현과 전개" 2019

      22 이청규, "수장의 개념과 변천: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영남지역 수장층의 출현과 전개" 2019

      23 이상길, "석오윤용진교수정년퇴임기념논총" 1996

      24 문창로, "삼한시대의 읍락과 사회" 신서원 2000

      25 이재현, "삼한시대 목관묘에 관한 고찰-특히 중국 유이민의 등장과 관련하여-" 부산고고학연구회 1992

      26 김량훈, "변한 ‘國’의 형성과 발전 - 다호리유적을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100) : 203-240, 2016

      27 이재현, "변·진한사회의 고고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28 국립김해 박물관, "박물관 브랜드화 프로젝트 ‘가야 선주민 연구’를 위한 창원지역 지석묘 조사보고서" 2020

      29 문창로, "문헌으로 보는 삼한의 소도와 제의, 마한의 소도와 의례공간" 2017

      30 최성락, "동아시아에서의 다호리유적, 다호리유적 발굴성과와 과제" 국립중앙박물관 2008

      31 경남대학교박물관, "덕천리" 2013

      32 이청규, "다호리유적의 청동기와 진변한」, 『다호리유적 발굴성과와 과제" 국립중앙박물관 2008

      33 이성주, "다호리유적과 변진사회의 성장, 다호리유적 발굴성과와 과제" 국립중앙박물관 2008

      34 임학종, "낙동강 하·지류역의 패총문화에 대한 재인식" 대동문화재연구원 (창간) : 2007

      35 이양수, "김해 회현동 D지구 옹관묘에 대하여" 부산고고학회 (18) : 67-87, 2016

      36 이청규, "금호강유역 초기사회의 형성" 학연문화사 2015

      37 이성주, "국읍으로서의 봉황동유적, 김해 봉황동유적과 고대 동아시아-가야 왕성을 탐구하다.-"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2018

      38 이상길, "구획묘와 그 사회, 금강:송국리형문화의 형성과 발전" 2006

      39 이동희, "고김해만 정치체의 형성과정과 수장층의 출현, 영남지역 수장층의 출현과 전개" 2019

      40 이동희, "고고학을 통해 본 안라국의 형성과정과 영역 변화" 부경역사연구소 (42) : 37-89, 2018

      41 이동희, "고고자료로 본 창원지역 가야의 성장과정과 대외관계, 창원의 고대사회, 가야" 2019

      42 동북아문화재연구원, "경산지식산업지구 개발사업부지(대학리51-5번지)내 유적 현장설명회 자료"

      43 이영식, "가야제국사 연구" 생각과 종이 2016

      44 임효택, "가야사의 제문제" 한국고대학회 1992

      45 이재현, "가야 탄생의 서막 김해의 고인돌" 대성동고분박물관 2012

      46 박진일, "韓半島 粘土帶土器文化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47 이동희, "支石墓 築造集團의 單位와 集團의 領域" 호남고고학회 26 : 26-, 2007

      48 안홍좌, "弁辰走漕馬國의 형성과 변천" 부경역사연구소 (38) : 133-166, 2016

      49 이양수, "多細文鏡으로 본 韓國과 日本" 영남고고학회 (35) : 2004

      50 안재호, "墓域式支石墓의 出現과 社會相 -韓半島南部의 靑銅器時代生計와 墓制의 地域相-" 호서고고학회 (26) : 38-73, 2012

      51 배진성, "咸安式赤色磨硏壺의 分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2) : 265-288, 2008

      52 都出比呂志, "古代國家の胎動"

      53 權五榮, "三韓의 「國」에 대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6 2.001 0.6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