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중등교사의 학습자 평가 능력 수준 분석 = An Analysis of Teachers Evaluation Competency for Students of Elementary and High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38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육 현장의 교수-학습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학생평가의 능력 수준을 객관적으로 탐구할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중・고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학생평가에 필수적으로 ...

      교육 현장의 교수-학습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학생평가의 능력 수준을 객관적으로 탐구할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중・고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학생평가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요소에 대하여 교사의 자율적인 자기평가(지필평가)와 학습과 평가에 관련된 의견(신념)조사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을 유층별 군집표집방법에 의해 450명을 표집하여 최종적으로 43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기술통계로 평균과 표준편차 및 표준오차(필요에 따른 빈도와 백분율)를 계산했으며, 추리통계로서, 분석에 사용되는 종속변수군 사이에 존재하는 상관성을 고려하여 다변량분석과 단순분산분석(필요에 따라 카이자승 분석도 했음)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평가유형, 즉 진단, 형성 및총합평가 각 영역의 지적 능력이 매우 낮은 상태이다. 특히 형성평가에 관련된 고교 교사의 능력이 초등교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서 진학이나 취직에 직접 관련되는 고등학교 교사의 교수-학습과정에 필수적인 형성평가에 관한 능력 향상이 요구된다.
      둘째, 평가도구의 양호도, 특히 타당도에 관련된 지적 능력이 전반적으로 낮기 때문에 교사가 양질의 평가문항 제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셋째, 문항분석에 관한 지적 능력도 평가유형이나 양호도에 관한 지적 능력의 경향과 유사하게 절대능력이 부족하 다. 다섯째, 대부분의 교사들이 다양한 평가도구를 자작 또는 협동 제작을 하여 사용 하는데, 많은 교사의 학생평가에 관련된 지적 능력이 매우 낮기 때문에 평가과정과 결과의 질적 수준을 높이지 못하는 데서 파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따라서 각급 학교에서는 학교장 중심의 자율 장학지도와 실용적인 학생평가관련 연수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the analysis of teachers evaluation competence for students df elementary and high schools. Four hundred and fift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through stratified group sampling method. Mean, standard deviation, standar...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the analysis of teachers evaluation competence for students df elementary and high schools. Four hundred and fift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through stratified group sampling method. Mean, standard deviation, standard error (frequencies) were calculated as descriptive statistics and F ratio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techniques were used as inferential statistic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ly, most teachers competence level of evaluation types, such as diagnostic test, formative test and summative test was very low. Second, Most teachers competency level of validity, reliability and objectivity was so low that teachers have got serious problems when constructing items for evaluating students ability level.
      Third, teachers absolute competence level of item analysis was very low. Fourth, even though many teachers are working cooperatively for constructing evaluation instruments, their absolute competence level of student evaluation has been so low that they could hardly improve evaluating process and results for students.
      Accordingly, every school supervisors should devise self-regulated supervision and training program for improving teachers absolute competence level of evaluation for school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결과 해석
      • Ⅴ. 논의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결과 해석
      • Ⅴ. 논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