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독과 문서로 본 중국 中古 시기 지방 징세 체계 -長沙 走馬樓 출토 三國 吳簡을 중심으로- = Studies on the Local Taxation System in the Medieval China from Bamboo Slips and Paper Documents -Centre on the Bamboo Slips of SunWu(孙吴)Unearthed from Changsh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93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장사 주마루삼국오간에서 볼 수 있는 임상 지역의 조세에는 세 종류가 있다. 田租, 口算錢과 租布, 그리고 임시로 징수한 각종 雜錢과 調皮가 그것인데 이는 『삼국지·오서』의 “孫權世政...

      장사 주마루삼국오간에서 볼 수 있는 임상 지역의 조세에는 세 종류가 있다. 田租, 口算錢과 租布, 그리고 임시로 징수한 각종 雜錢과 調皮가 그것인데 이는 『삼국지·오서』의 “孫權世政煩賦重, 人彫於役”이라는 기록을 직접적으로 반영한다. 또한, 장사주마루오간은 손오의 지방 징세 체계를 반영하고 있다. 田租 稅米를 납부할 때, 다른 신분의 사람들, 즉 大男, 大女, 諸吏(州吏, 郡里, 縣吏, 軍吏 포함), 諸卒(州卒, 郡卒, 縣卒 포함)과 士, 複民 등은 ‘鄕-丘’를 단위로 ‘嘉禾吏民田家莂’에 편제되었고, 전가별은 田戶曹史가 심의하였다. 전가별에 규정된 내용에 따르면 여러 신분의 사람들은 三州倉 혹은 州中倉에 다양한 명목의 米, 예컨대 租米, 稅米, 襍米, 限米를 납부하였다. 죽간 중 倉米를 납부하는 내용에 따르면, 납부 과정에서 반드시 邸閣 左, 右 侍郞에게 진술해야 했다. 삼주창, 주중창은 장부 문서를 右倉曹에 올렸다. 口算錢을 납부할 때 大男, 大女, 諸吏, 卒 등은 ‘里-鄕’을 단위로 ‘口食年紀簿’에 편제되었다. 개개인은 庫에 口算錢 및 각종 錢을 납부할 때 鄕을 단위로 하였고, 庫錢 장부는 “雜錢入受簿”, “雜錢承餘新入簿” 그리고 “雜錢領出用餘見簿”로 구성되었다. 오간 庫布 장부 체계는 庫布入受簿와 庫布承餘新入簿로 구성되었는데 고포는 吏民이 납부한 ‘品布’와 관부가 出錢하여 구입한 ‘市布’로 구성되었고, 그 성격은 調布에 해당했다. 調布는 당시 여전히 常稅가 아니었고 임시적으로 징수한 調였는데 이는 武陵蠻을 평정하는 것과 관계가 있었을 것이다. 오간에는 雜皮入受簿만이 보이는데 ‘調皮’는 임시적, 특수적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objects of taxation were people and fields in the Medieval China. There are three main types of taxes, land rent, capitation and requisition cloth. People are divided into different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age, such as ‘adult member o...

      The main objects of taxation were people and fields in the Medieval China. There are three main types of taxes, land rent, capitation and requisition cloth. People are divided into different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age, such as ‘adult member of a household(大口)’ ‘juveniles(中口)’ ‘child(小口)’, and payed different amounts of taxes to the state from the bamboo slips of SunWu(孙吴)unearthed from Changsha, Hunan Province. The government has divided state-owned land into two kinds according to the land quality, such as ‘fertile land(熟田)’ ‘dry land(旱田)’, and leased them to farmers, and levied different standards of land rent. Requisition cloth was not fixed but temporary, related to the conquest of barbarian in WuLing(武陵).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魏書" 中華書局 1972

      2 傅克輝, "魏晉南北朝籍帳研究" 齊魯書社 2001

      3 唐長孺, "魏晉南北朝史論叢續編" 三聯書店 1959

      4 唐長孺, "魏晉南北朝史論叢" 三聯書店 1955

      5 戴衛紅, "韓國木簡研究"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17

      6 "隋書" 中華書局 1973

      7 加藤繁, "關於算賦的小研究" 商務印書館 1 : 1959

      8 田中整治, "關於曹魏的戶調製, 第一部" 9 (9): 1958

      9 戴衛紅, "長沙走馬樓所見三州倉出米簡初探" 中華書局 3 : 2011

      10 沈剛, "長沙走馬樓三國竹簡納布記錄析論" 2010 (2010): 2010

      1 "魏書" 中華書局 1972

      2 傅克輝, "魏晉南北朝籍帳研究" 齊魯書社 2001

      3 唐長孺, "魏晉南北朝史論叢續編" 三聯書店 1959

      4 唐長孺, "魏晉南北朝史論叢" 三聯書店 1955

      5 戴衛紅, "韓國木簡研究"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17

      6 "隋書" 中華書局 1973

      7 加藤繁, "關於算賦的小研究" 商務印書館 1 : 1959

      8 田中整治, "關於曹魏的戶調製, 第一部" 9 (9): 1958

      9 戴衛紅, "長沙走馬樓所見三州倉出米簡初探" 中華書局 3 : 2011

      10 沈剛, "長沙走馬樓三國竹簡納布記錄析論" 2010 (2010): 2010

      11 胡平生, "長沙走馬樓三國吳簡嘉禾吏民田家莂 (上)"

      12 長沙簡牘博物館, "長沙走馬樓三國吳簡·竹簡(貳)" 文物出版社 2007

      13 "長沙走馬樓三國吳簡·竹簡(肆)" 文物出版社 2010

      14 "長沙走馬樓三國吳簡·竹簡(柒)" 文物出版社 2013

      15 "長沙走馬樓三國吳簡·竹簡(壹)" 文物出版社 2003

      16 "長沙走馬樓三國吳簡·竹簡(叁)" 文物出版社 2008

      17 長沙文物考古研究所, "長沙走馬樓三國吳簡·嘉禾吏民田家莂" 文物出版社 1999

      18 侯旭東, "長沙簡帛研究國際學術研討會論文集" 中西書局 2017

      19 徐暢, "走馬樓簡所見孫吳臨湘縣廷列曹設置及曹吏" 3 :

      20 淩文超, "走馬樓呈吳簡採集簡“戶籍簿”復原整理與研究" 中華書局 3 : 2011

      21 蔣福亞, "走馬樓吳簡經濟文書研究" 國家圖書館出版社 2012

      22 凌文超, "走馬樓吳簡採集庫布帳簿體系整理與研究-兼論孫吳的戶調" 2012 (2012): 2012

      23 于振波, "走馬樓吳簡初探" 文津出版社 2004

      24 王彥輝, "論漢代的“訾算”與“以訾征賦”" 2012 (2012): 2012

      25 森鹿三, "論居延出土的卒家屬廩名籍"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 : 1983

      26 淩文超, "考信于簿-走馬樓吳簡采集簿書復原整理與研究"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15

      27 邱東聯, "略論長壽走馬樓吳簡中的佃田租稅簡" 1998 (1998): 1998

      28 邢義田, "漢至三國公文書中的簽署" 2012 (2012): 2012

      29 周天遊, "漢官六種" 中華書局 1990

      30 張學鋒, "漢唐考古與歷史研究" 三聯書店 2013

      31 張榮強, "漢唐籍帳制度研究" 商務印書館 2010

      32 魯惟一, "漢代行政記錄"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05

      33 楊際平, "析長沙走馬樓三國吳簡中的“調”-兼談戶調制的起源" 2006 (2006): 2006

      34 "晉書" 中華書局 1974

      35 野中敬, "早稻田大學大學院文學研究科紀要, 別冊 第14集哲學·史學編"

      36 "新唐書" 中華書局 1975

      37 渡辺信一郎, "戶調制の成立-賦斂から戶調へ" 60 (60): 2001

      38 臧知非, "從《吏民田家莂》看漢代田稅的徵收方式" 2002 (2002): 2002

      39 永田英正, "居延漢簡烽燧考"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 : 1987

      40 曾我部靜雄, "均田法及其稅役制度" 講談社 1953

      41 蘇俊林, "嘉禾吏民田家莂與孫吳身份等級體系" 2015 (2015): 2015

      42 日野開三郎, "唐代租調庸の研究 三冊" 汲古書院 1977

      43 "周禮正義" 中華書局 2013

      44 王素, "吳簡所見的“調”應是“戶調”" 2001 (2001): 2001

      45 "史記" 中華書局 1959

      46 關尾史郎, "史料群としての長沙呉簡·試論" 27 :

      47 "南齊書" 中華書局 1972

      48 齊繼偉, "也說漢代“訾算”--兼論吳簡中的“訾”" 2018 (2018): 2018

      49 西嶋定生, "中國經濟史研究" 東京大學出版會 1966

      50 王威海, "中國戶籍制度-歷史與政治的分析" 上海文化出版社 2006

      51 池田溫, "中國古代籍帳研究" 中華書局 1984

      52 "三國志" 中華書局 1975

      53 張榮強, "“小”“大”之間[羊+市]-戰國至西晉課役身分的演進" 2017 (2017):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