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남성성 변화에 따른 남성패션잡지표지 색채 연구 - 『GQ Korea』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895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색채는 사회문화적으로 상징적 상호작용의 수단이며 젠더를 표현하는 하나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한...

      색채는 사회문화적으로 상징적 상호작용의 수단이며 젠더를 표현하는 하나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남성성의 변화에 따른색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2001년부터 2015년 6월까지『GQ Korea』 남성패션잡지표지를 5년 단위로 나누어 시기별 색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로고 타이포그래피 색채 분석을 살펴보면 2001~2005년도 레드 계열의 강렬한 로고 색채가 빈도 높게 나타났으나, 점차적으로 그 비중은 감소하면서 밝고 부드러운느낌의 핑크와 퍼플 또는 옐로우와 그린 계열의 색채가 다양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표지이미지 색채 분석은 2001~2005년도 로고와 배경, 모델 의상 색채가 서로 강렬한 보색 대비를 이루면서 주로로고를 강조하는 색채 이미지가 나타났다. 그러나 점차적으로 다양한 명도와 채도를 가지는 색채의 사용이나타나면서 2011년 이후에는 로고와 배경, 모델 의상 간의 유사 배색 조화를 사용하여 좀 더 세련되고 부드러운 남성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표지 모델 의상 색채 분석을 살펴본 결과, 초반 대부분 저명도, 저채도의 블루 혹은 무채색이 전통적인 남성의 색채로 나타났다. 하지만 2011년 이후, 점차적으로 레드, 핑크, 옐로우, 그린, 블루 계열로 의상 색채의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표지 전체적으로 로고, 배경 색채와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젠더와 색채간의 관련성은 매체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역사적으로 여성에 비해 비교적 고정되어 있었던 남성성의 변화는 시각적으로 색채를 통해 재현되고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흐름의 분석을 통해 앞으로 한국 현대 사회에서 변화하는 남성 소비자들의 니즈와성향을 분석하고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lors have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as one of visual communication tools to express gender in addition to as a vehicle for socio-cultural symbolic interaction. Hence, in order to analyze colors according to changes of Korean masculinity based o...

      Colors have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as one of visual communication tools to express gender in addition to as a vehicle for socio-cultural symbolic interaction. Hence, in order to analyze colors according to changes of Korean masculinity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y, this research examined changes of colors by period through segmenting covers of 『GQ Korea』, a men's fashion magazine into 5 year-unit from 2001 to June, 2015. As a result, firstly logo typography color analysis reveals that in 2001~2005 strong logo color of the red line showed a higher frequency but with its gradual decreased weight bright and soft colors of pink, purple, yellow and green were used in a diverse manner. Secondly, color analysis on the entire cover images shows that their logos and backgrounds, colors of model costumes in 2001~2005 formed the intense complementary contrast along with color images emphasizing a logo. However, with gradual use of colors having various degrees of brightness and chroma, similar color harmony between logo, background and model costume was used after 2011, showing more refined and soft men's images.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colors of cover model costumes, in most cases of the early period, blue of low brightness and chroma or achromatic color was identified as the traditional male color. However, variety of costume colors increased into red, pink, yellow, green and blue after 2011, forming harmony of logo and background colors in the entire covers. Research findings above reveal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color shown from media. In particular, changes of masculinity, relatively fixed compared with femininity in the history, were represented visually through colors. Therefore, analysis on such flows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analyzing and predicting needs and inclinations of changing male consumers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남성성과 색채
      • 2. 매체에 나타난 한국 남성성의 변화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남성성과 색채
      • 2. 매체에 나타난 한국 남성성의 변화
      • 3. 남성패션잡지의 등장과 표지 색채 특성
      • Ⅲ. 연구의 방법과 범위
      • Ⅳ. 한국 남성성의 변화에 따른 남성패션잡지표지 색채 분석
      • 1. 로고 타이포그래피 색채 분석
      • 2. 전체 표지 이미지 색채 분석
      • 3. 표지 모델 의상 색채 분석
      • V. 결론
      • References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지현, "현대 여성 수트에 있어서 남성성(masculinity)을 나타내는 색채 특성- 2004∼2006년 F/W의 파리, 런던, 뉴욕, 밀라노 컬렉션을 중심으로 -" 한국복식학회 58 (58): 62-77, 2008

      2 김해진, "현대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크로스 섹슈얼 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0 (10): 19-33, 2010

      3 백민영, "한국적 색채 특성 분석에 따른 트렌드 색채기획"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0 (10): 57-73, 2010

      4 김종덕, "한국 TV 광고에 나타난 남성성 연구" 한국광고학회 18 (18): 215-243, 2007

      5 Park, S. Y, "올해의 컬러는 ‘젠더리스’의 핑크와 블루" Hankook-Ilbo

      6 정영선, "에밀리오 푸치(Emilio Pucci) 패션디자인의 색채 특성 - 2005년부터 2009년 밀라노 컬렉션을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1 (11): 1-14, 2011

      7 이승아, "소니아 리키엘 컬렉션에 나타난 니트웨어 색채 특성" 한국패션디자인학회 9 (9): 1-12, 2009

      8 Heller, E, "색의 유혹" 예담출판사 2002

      9 박수진, "남성패션잡지에 나타난 외모의 변화양상" 한국생활과학회 17 (17): 105-114, 2008

      10 윤을요, "남성 잡지 표지 모델의 섹슈얼 이미지"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75-285, 2010

      1 권지현, "현대 여성 수트에 있어서 남성성(masculinity)을 나타내는 색채 특성- 2004∼2006년 F/W의 파리, 런던, 뉴욕, 밀라노 컬렉션을 중심으로 -" 한국복식학회 58 (58): 62-77, 2008

      2 김해진, "현대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크로스 섹슈얼 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0 (10): 19-33, 2010

      3 백민영, "한국적 색채 특성 분석에 따른 트렌드 색채기획"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0 (10): 57-73, 2010

      4 김종덕, "한국 TV 광고에 나타난 남성성 연구" 한국광고학회 18 (18): 215-243, 2007

      5 Park, S. Y, "올해의 컬러는 ‘젠더리스’의 핑크와 블루" Hankook-Ilbo

      6 정영선, "에밀리오 푸치(Emilio Pucci) 패션디자인의 색채 특성 - 2005년부터 2009년 밀라노 컬렉션을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1 (11): 1-14, 2011

      7 이승아, "소니아 리키엘 컬렉션에 나타난 니트웨어 색채 특성" 한국패션디자인학회 9 (9): 1-12, 2009

      8 Heller, E, "색의 유혹" 예담출판사 2002

      9 박수진, "남성패션잡지에 나타난 외모의 변화양상" 한국생활과학회 17 (17): 105-114, 2008

      10 윤을요, "남성 잡지 표지 모델의 섹슈얼 이미지"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75-285, 2010

      11 백민영, "국내 패션색채트렌드 특성에 관한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9 (9): 75-88, 2009

      12 윤을요, "국내 라이선스 남성 잡지의 지면 구성"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02-209, 2010

      13 송민정, "국내 남성전문잡지 표지디자인 시각요소 분석 및 이미지 선호도" 한국디자인지식학회 (33) : 371-380, 2015

      14 한경정, "광고 속 남성성의 시대에 따른 변화에 대한 분석: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잡지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1 (21): 147-177, 2010

      15 Koller, V, "‘Not just a colour’: Pink as a gender and sexuality marker in visual communication" 7 (7): 395-423, 2008

      16 "‘IT’S GOOD TO BE A MAN" GQ Korea

      17 Park, J. Y, "[MEN‘S 탐험]남성잡지: 패션 리더를 위한 ‘멋내기 교본’" Kyunghyang

      18 Chung, G. H, "The change of the gender representation in Korean television advertising" (8) : 71-110, 2007

      19 손소영, "TV광고에 나타난 남성의 섹슈얼리티에 관한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8 (18): 103-110, 2015

      20 Lee, G. O, "Multiple masculinity in Korean men's magazines: A content analysis of advertisements with male models. 1996-2002" 15 (15): 257-278, 2004

      21 Beynon, J, "Masculinities and Culture" Korea University Press 2011

      22 Jadva, V, "Infants’ preferences for toys, colors, and shapes: Sex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39 (39): 1261-1273, 2010

      23 Laverdière, S, "GQ Korea, front cover page"

      24 Goldberg, N, "GQ Korea, front cover page"

      25 Goldberg, N, "GQ Korea, front cover page"

      26 Knight, N, "GQ Korea, front cover page"

      27 Sirota, P, "GQ Korea, front cover page"

      28 Song, W. S, "GQ Korea, front cover page"

      29 Platon, "GQ Korea, front cover page"

      30 Sirota, P, "GQ Korea, front cover page"

      31 Hong, J. H, "GQ Korea, Front cover page"

      32 Kress, G, "Colour as a semiotic mode: Notes for a grammar of colour" 1 (1): 343-368, 2002

      33 Gage, J, "Colour and meaning: art, science and symbolism" ㈜ 사회평론 2011

      34 Kim, J. H, "A study on the color design for the cover of digital magazine" 2012

      35 Kim, C. Y, "A gender characteristic in comtemporary men's fashion" Hanyang University 2007

      36 Shim, H. R, "20세기의 매체철학: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Greenbee 2012

      37 최경희, "2000년 이후 한국 남녀 패션 잡지에 표현된 여성성과 남성성에 관한 연구- 포카다트, 스트라이프, 체크 문양을 중심으로 -" 복식문화학회 16 (16): 1-21,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9-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Journal of Fashion Design KCI등재
      2016-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
      2016-09-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8-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후보
      2007-04-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패션디자인학회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1-1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1 1.41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41 1.549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