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883~1910년 한국의 ‘종교 (宗敎) ’ 용례 특이성: 한국 ‘종교’ 개념 형성사 재고 = The Peculiarity of Usages of ‘Jong-Gyo (Religion)’ in Korea, 1883-1910: Rethinking the History of ‘Jong-Gyo’ Concept Form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45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ord ‘Jong-Gyo [宗敎] ’ is known as a concept that was adopted as a translation of ‘religion’ in Japan and spread to East Asia. Because of its novelty, the term ‘Jong-Gyo [宗敎] ’ was considered to contain the meanings of the moder...

      The word ‘Jong-Gyo [宗敎] ’ is known as a concept that was adopted as a translation of ‘religion’ in Japan and spread to East Asia. Because of its novelty, the term ‘Jong-Gyo [宗敎] ’ was considered to contain the meanings of the modern concept of religion in the West. However, if you look at many expression cases of this term, you can see that ‘Jong-Gyo [宗敎] ’ is used in the meanings of ‘the best teaching’ or ‘national religion (teaching) ’ depending on the meaning of each Chinese character. In particular, if you look at the cases used in newspapers and dictionaries from 1883 to 1910, it can be seen that around 1910, ‘Jong-Gyo [宗敎] ’ became dominant as the translated word for ‘religion’. In this respect, ‘Jong-Gyo [宗敎] ’ is an overinterpretation to see that the modern concept of religion was used based on the use of the term ‘Jong-Gyo [宗敎] ’ in the 19th century. In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he concept of ‘Jong-Gyo [宗敎] ’ was understood in light of the concepts of ‘Gyo [敎] ’ or ‘Do [道] ’, which have been used since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although the term ‘Jong-Gyo [宗敎] ’ is used, it cannot be regarded as being used in its modern meanings. This trend is also found in East Asian countries with Chinese character culture (Japan, China, Vietnam)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history of religion concept formation in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종교’라는 말은 일본에서 ‘religion’의 번역어로 채택되어 동아시아에 확산된 개념으로 알려져 있다. 또 ‘종교’라는 용어는 그 새로움 탓에 서구의 근대적 ‘religion’ 개념을 담는 것...

      ‘종교’라는 말은 일본에서 ‘religion’의 번역어로 채택되어 동아시아에 확산된 개념으로 알려져 있다. 또 ‘종교’라는 용어는 그 새로움 탓에 서구의 근대적 ‘religion’ 개념을 담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런데 이 용어의 많은 사용례를 보면 그 낱글자의 의미를 따라 ‘최고의 가르침’ 혹은 ‘국교’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특히 1883년부터 1910년까지 신문, 사 전 등에서 쓰인 사례들을 보면, ‘religion’의 번역어로서 ‘종교(宗敎)’가 우세해지는 것이 1910년 전후의 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과거 19세기에 ‘종교’라는 용어가 쓰이는 것을 근거로 근대적 종교 개념이 사용되었다고 보는 것은 그런 면에서 지나친 확대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에서 20세기 초에 ‘종교’ 개념은 조선시대부터 사용되었던 ‘교(敎)’나 ‘도(道)’ 개 념에 비추어 이해되었다. 따라서 ‘종교’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지만, 그 근대적 의미에서 사용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이 러한 경향은 동아시아의 한자문화권의 나라들(일본, 중국, 베트남)에서도 공히 발견된다. 그러므로 한국의 종교 개념 형성 사는 재고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성신문"

      2 "한성순보"

      3 Les Missionnaires de Coree de la Societe des Missions Etrangeres de Paris, "한불ᄌᆞ뎐韓佛字典" C. Levy 1880

      4 김종서, "한국종교의 개념과 동아시아의 종교경험" 24 : 35-51, 2005

      5 "한국의 지식콘텐츠"

      6 황호덕, "한국어의 근대와 이중어사전: 영인편" 박문사 2012

      7 "한국사데이터베이스"

      8 "한국고전종합DB"

      9 조현범, "한국 근대종교란 무엇인가?" 종교문화비평학회 33 (33): 313-339, 2018

      10 방원일, "한국 개신교계의 종교 개념 수용 과정" 한국기독교역사학회 (54) : 5-35, 2021

      1 "황성신문"

      2 "한성순보"

      3 Les Missionnaires de Coree de la Societe des Missions Etrangeres de Paris, "한불ᄌᆞ뎐韓佛字典" C. Levy 1880

      4 김종서, "한국종교의 개념과 동아시아의 종교경험" 24 : 35-51, 2005

      5 "한국의 지식콘텐츠"

      6 황호덕, "한국어의 근대와 이중어사전: 영인편" 박문사 2012

      7 "한국사데이터베이스"

      8 "한국고전종합DB"

      9 조현범, "한국 근대종교란 무엇인가?" 종교문화비평학회 33 (33): 313-339, 2018

      10 방원일, "한국 개신교계의 종교 개념 수용 과정" 한국기독교역사학회 (54) : 5-35, 2021

      11 지 노부유키, "침묵의 종교 유교" 경당 2002

      12 정하림, "진정한 종교의 가치는 누가 실천하고 있는가"

      13 "지봉유설(芝峰類說)"

      14 김종서, "종교와 역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15 조현범, "종교와 근대성’ 연구의 성과와 과제" (6) : 121-150, 2004

      16 "조선왕조실록DB"

      17 "조선왕조실록"

      18 임병태, "이성적인 도덕적 종교만이 순수하고 진정한 종교"

      19 임계유, "유교는 종교인가" 지식과교양 2011

      20 이용주, "유교 ‘국교화’에 관한 의문 - ‘獨尊’과 ‘國敎’ 개념을 실마리로 삼아서 -" 한국양명학회 (31) : 341-373, 2012

      21 "운양집"

      22 "오주연문장전산고"

      23 정성민, "어느 종교가 진짜일까?: 정성민 교수의 〈현대인을 위한 기독교변증〉"

      24 "승정원일기"

      25 자현 스님, "불교는 붓다를 믿는 종교가 아니다"

      26 Alévêque, Charles, "법한ᄌᆞ뎐" Imprimerie “Seoul Press” 1901

      27 김용덕, "메이지 초기 일본 지식인의 기독교 이해: 명육사(明六社)를 중심으로" (9) : 218-233, 2013

      28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29 "대한매일신보"

      30 이태형, "기독교는 종교가 아닌 하나님과의 만남, 예수처럼 행동해야 … 왜 지금도디트리히 본회퍼 인가"

      31 조현범, "근대 한국의 종교 개념사 자료 집성"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32 "국가기록포털"

      33 정진홍, "경험과 기억" 당대 2003

      34 김종서, "개화기 사회문화 변동과 종교인식"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8) : 229-250, 2001

      35 Underwood, Horace G, "韓英字典한영ᄌᆞ뎐" Kelly & Walsh, L’D 1890

      36 Gale, James S, "韓英字典한영ᄌᆞ뎐" Kelly & Walsh, L’D 1897

      37 Gale, James S, "韓英字典" The Fukuin Printing Co 1911

      38 Gale, James Scarth, "韓英大字典" 朝鮮耶蘇敎書會 1931

      39 張錫萬, "開港期 韓國社會의 “宗敎” 槪念 形成에 관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40 Underwood, Horace Grant, "英鮮字典" 朝鮮耶蘇敎書會 1925

      41 Jones, George Heber, "英韓字典영한ᄌᆞ뎐" Kyo Bun Kwan 1914

      42 金東成, "最新鮮英辭典" 博文書館 1928

      43 長沼美香子, "文部省『百科全書』における「宗教」" 13 : 121-128, 2015

      44 Gale, James S, "三千字典"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1924

      45 小川原正道, "「政治」 による 「宗教」 利用·排除: 近代日本における宗教団体の法人化をめぐって" 64 (64): 145-167, 2013

      46 Nguyen, Đình Hoà, "Vietnamese-English Vocabulary" Office of Training, National Security Agency 1955

      47 Génibrel, J F M, "Résumé du Dictionnaire annamite-français" Imprimerie de la Mission à Tân-Dinh 1893

      48 Pétillon, Corentin, "Petit dictionnaire français-chinois; dialecte de Chang-hai" Imprimerie de la Mission catholique 1905

      49 Trư-ơ-ng-Vinh-Ký, "Petit Dictionnaire Français-Annamite" Imprimerie de la Mission 1884

      50 "Internet Archive"

      51 "Harvard Library"

      52 "Google Books"

      53 Scott, James, "English-Corean Dictionary: Being a Vocabulary of Corean Colloquial Words in Common Use" Church of England Mission Press 1891

      54 Hiller, Walter, Sir, "English-Chinese Pocket Dictionary of Peking Colloquial"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910

      55 Hemeling, K, "English-Chinese Dictionary of the Standard Chinese Spoken Language ... and Handbook for Translators, Including Scientific, Technical, Modern and Documentary Terms" Statistical Department of the Inspectorate General of Customs 1916

      56 Gring, Ambrose D, "Eclectic Chinese-Japanese-English Dictionary of Eight Thousand Selected Chinese Characters" Kelly and Co 1884

      57 Legrand de La Liraÿe, "Dictionnaire élémentaire annamitefrançais" Imprimerie impériale 1868

      58 Legrand de La Liraÿe, "Dictionnaire élémentaire annamite-français" Challamel aîné 1874

      59 Lemaréchal, J. M, "Dictionnaire japonais-français" M. Nössler & co 1904

      60 Raguet, E, "Dictionnaire français-japonais, précédé d'unabrégé de grammaire japonaise" Librairie Sansaisha; E. Lerou 1905

      61 Lemaire, Gabriel and Prosper Giquel., "Dictionnaire de poche français-chinois" American Presbyterian Misson Press 1874

      62 Plusieurs Missionnaires du Sé-tch’ouan Méridional, "Dictionnaire chinoisfrançais de la langue mandarine parlée dans l’ouest de la Chine" Imprimerie de la Société des Missions Étrangères 1893

      63 Bonet, Jean, "Dictionnaire annamite-français (langue officielle et langue vulgaire)" Imprimerie nationale, E. Leroux 1899

      64 Pagès, Léon, "Dictionnaire Japonais-Français" Firmin Didot frères 1868

      65 Hodge, John W, "Corean Words and Phrases: Being a Handbook and Pocket Dictionary for Visitiors to Corea and New Arrivals in the Country" The Seoul Press―Hodge & Co 1902

      66 Tien Min, Chang, "Chinese-English Dictionary:Comprising over 3,800 Characters with Translations, Explanations Pronunciations" Commercial Press, Lit 9-, 1918

      67 Medhurst, Walter Henry, "Chinese and English Dictionary, Containing All the Words in the Chinese Imperial Dictionary" Printed at Parapattan 1843

      68 Emeneau, M. B, "Annamese-English Dictionary" Army Specialized Training Program, University of California 1945

      69 Shimada, Yutaka, "An English-Japanese Lexicon: Explanatory, Pronouncing and Etymological, Containing All English Words in Present Use, with an Appendix" M. Okura 1895

      70 Lobscheid, W, "An English and Chinese Dictionary" J. Fujimoto 1883

      71 Baller, F. W, "An Analytical Chinese-English Dictionary: Compiled for the China Inland Mission" China Inland Mission and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915

      72 Baller, F. W, "An Analytical Chinese-English Dictionary: Compiled for the China Inland Mission" China Inland Mission and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900

      73 Hepburn, J. C, "A Japanese-English and English-Japanese Dictionary"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72

      74 Hepburn, J. C, "A Japanese-English and English-Japanese Dictionary" Kelly & Walsh 1881

      75 Hepburn, J. C, "A Japanese-English and English-Japanese Dictionary" Z.P. Maruya & co 1886

      76 Hepburn, J. C, "A Japanese-English and English-Japanese Dictionary" Z.P. Maruya & Co 1897

      77 Hepburn, J. C, "A Japanese-English and English-Japanese Dictionary" Z.P. Maruya & Co 1903

      78 Hepburn, J. C, "A Japanese-English & English-Japanese Dictionary" Z.P. Maruya & Co 18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