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崔鳴吉의 主和論과 對明義理 = Choi Myeong-gil(崔鳴吉)’s argument of supporting the pursuit of peace with the enemy(主和論), and the issue of Daemyeong Euiri(對明義理)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basis and contents of the controversy that occurred between arguments to either pursue peace with the enemy or to boycott peace negotiations with the enemy, at the time of the two invasions from Manchu(“胡亂”) i...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basis and contents of the controversy that occurred between arguments to either pursue peace with the enemy or to boycott peace negotiations with the enemy, at the time of the two invasions from Manchu(“胡亂”) in 1627 and 1636. Purpose of such examination i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ter argument, as well as the reason the former argument was never allowed to prevail at the time. Also discussed here is the fact that Choi Myeong-gil’s argument for peace negotiation continued to change its stance and bases, as tension between Joseon and Hugeum(Qing) continued to rise. What Choi Myeong-gil really thought about his own argument of peace pursuit, and the idea of making peace with Qing, and what kind of stance he had after the war when Joseon was forced to aid Qing with troops, are discussed here as well in order to determine the connection between his argument of supporting peace and the issue of Daemyeong Euiri(對明義理).
      By doing so it is intended here to catch what was missed from previous examinations based upon a perspective which tended to believe that the argument to support peace was based upon an attitude of pursuing practical advantages, and that the argument of boycotting negotiations was based upon an attitude of pursuing a righteous agenda. In retrospect, both arguments were not that different in nature, and the pursuit of either one did not mean either maintaining or giving up the Daemyeong Euiri(對明義理). It was a clash of opinions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the stake was the dynasty’s fate itsel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主和論에 대한 반발과 主和論者에 대한 비난
      • Ⅲ. 崔鳴吉 主和論의 단계적 변화와 그 명분
      • Ⅳ. 崔鳴吉과 對明義理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主和論에 대한 반발과 主和論者에 대한 비난
      • Ⅲ. 崔鳴吉 主和論의 단계적 변화와 그 명분
      • Ⅳ. 崔鳴吉과 對明義理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계승범, "파병 논의를 통해 본 조선전기 對明觀의 변화" 대동문화연구원 (53) : 309-346, 2006

      2 오수창, "최명길과 김상헌" 42 : 1998

      3 오수창, "청과의 외교 실상과 병자호란" 36 : 2005

      4 崔鳴吉, "증보역주 지천선생집" 도서출판 선비 2008

      5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연구" 일지사 1998

      6 김용흠, "조선후기 역모 사건과 변통론의 위상― 김자점 역모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70) : 239-266, 2006

      7 이태진, "조선후기 對明義理論의 변천" 10 : 1994

      8 최종석, "조선초기 ‘時王之制’ 논의 구조의 특징과 중화 보편의 추구" 조선시대사학회 (52) : 5-49, 2010

      9 한명기, "조선의 통치철학" 푸른역사 2010

      10 부남철, "조선시대의 대외전쟁과 유교적 和・戰論-임진왜란과 병자호란-" 5 (5): 2006

      1 계승범, "파병 논의를 통해 본 조선전기 對明觀의 변화" 대동문화연구원 (53) : 309-346, 2006

      2 오수창, "최명길과 김상헌" 42 : 1998

      3 오수창, "청과의 외교 실상과 병자호란" 36 : 2005

      4 崔鳴吉, "증보역주 지천선생집" 도서출판 선비 2008

      5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연구" 일지사 1998

      6 김용흠, "조선후기 역모 사건과 변통론의 위상― 김자점 역모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70) : 239-266, 2006

      7 이태진, "조선후기 對明義理論의 변천" 10 : 1994

      8 최종석, "조선초기 ‘時王之制’ 논의 구조의 특징과 중화 보편의 추구" 조선시대사학회 (52) : 5-49, 2010

      9 한명기, "조선의 통치철학" 푸른역사 2010

      10 부남철, "조선시대의 대외전쟁과 유교적 和・戰論-임진왜란과 병자호란-" 5 (5): 2006

      11 계승범, "조선시대 해외파병과 한중관계: 조선 지배층의 중국 인식" 푸른역사 2009

      12 한명기,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 푸른역사 2009

      13 박현모, "정묘호란기의 국내외정치: 국가위기시의 공론정치" 한국국제정치학회 42 (42): 217-235, 2002

      14 허태구, "병자호란의 정치·군사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15 정옥자, "병자호란시 言官의 위상과 활동-三學士에 대한 재평가-"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2 : 1991

      16 허태구, "병자호란 講和 협상의 추이와 조선의 대응" 조선시대사학회 (52) : 51-88, 2010

      17 손애리, "문명과 제국 사이: 병자호란 전후시기 주화・척화논쟁을 통해 본 조선 지식관료층의 ‘國’ 표상"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0 (10): 45-67, 2011

      18 김용구, "만국공법" 소화 2008

      19 이삼성,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전통시대 동아시아 2천년과 한반도- Ⅰ" 한길사 2009

      20 계승범, "계해정변(인조반정)의 명분과 그 인식의 변화" 경남문화연구원 (26) : 439-478, 2008

      21 李建昌, "黨議通略" 도서출판 지만지 2008

      22 전해종, "韓中關係史硏究" 일조각 1970

      23 김태영, "遲川 崔鳴吉의 現實 變通論" 도산학술연구원 9 : 2003

      24 張維, "谿谷集" 민족문화추진회 1999

      25 金萬重, "西浦漫筆" 문학동네 2010

      26 南九萬, "藥泉集" 민족문화추진회 2004

      27 "經國大典"

      28 李肯翊, "燃藜室記述" 민족문화추진회 1966

      29 지두환, "淸陰 金尙憲의 生涯와 思想-春秋大義論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4 : 2001

      30 "朝鮮王朝實錄"

      31 김용흠, "朝鮮後期 政治史 硏究 Ⅰ" 혜안 2006

      32 崔錫鼎, "明谷集"

      33 王剛, "明末王武緯出使朝鮮與“聯鮮圖奴”之議" 24 (24): 2011

      34 "承政院日記"

      35 윤남한, "崔鳴吉, In 인물 한국사" 박우사 1965

      36 宋時烈, "宋子大全" 민족문화추진회 1981

      37 유재춘, "壬亂後 韓日國交 再開와 國書改作에 關한 硏究" 2 : 1986

      38 허태구, "仁祖代 對後金(對淸) 방어책의 추진과 한계 - 守城 전술을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회 (61) : 79-114, 2012

      39 이희권, "丙子胡亂中의 主和論是非에 대한 小考" 전북대학교 대학원 1975

      40 허태구, "丙子胡亂 江華島 함락의 원인과 책임자 처벌 - 金慶徵 패전책임론의 재검토를 중심으로 -" 진단학회 (113) : 99-128, 2011

      41 허지은, "丁應泰의朝鮮誣告事件을 통해 본 조명관계" 한국사학회 76 (76): 169-205, 2004

      42 유봉학, "18・9세기 大明義理論과 對淸意識의 推移" 5 : 1988

      43 조성을, "17세기 전반 서인관료의 사상-김류・최명길・조익을 중심으로-" 8 : 1992

      44 오항녕, "17세기 서인산림의 사상" 8 : 1992

      45 이미지, "1231・1232년 對蒙 表文을 통해 본 고려의 몽고에 대한 외교적 대응" 고려사학회 (36) : 235-267, 2009

      46 박현모, "10년 간의 위기: 정묘-병자호란기의 공론정치 비판" 한국정치학회 37 (37): 27-46, 2003

      47 조동영, "(국역) 동계집1집" 민족문화추진회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6 2.615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