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학생의 정신적 웰빙 영향요인 탐색: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하여 = Exploring the Predictors of High School Students’Mental Health: Using Random Forest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001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년 패널 자료의 3, 6차년도(중1,고1)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정신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자료에 포함된 많...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년 패널 자료의 3, 6차년도(중1,고1)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정신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자료에 포함된 많은 변수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랜덤포레스트를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1 시기의 정신적 웰빙에는 중1보다 고1 시기의 변수들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둘째, 고등학생의 정신적 웰빙에는 비학업적이면서 학생 내부적 차원의 변수들(예:‘자아개념’,‘규칙준수’,‘자기이해’,‘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일에 대한 태도’)이 가장 중요한 영향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셋째, 비학업적이면서 학생 외부적 차원의 변수들(예:‘학생의견 반영정도’,‘부모와의 상호작용’,‘부모의 정서적 지원’)도 고등학생의 정신적 웰빙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수업방식’과 학생의‘학업 스트레스’도 고등학생의 정신적 웰빙에 중요한 영향 요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고등학생의 정신적 웰빙을 설명하는 주요 요인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정신적 웰빙 증진을 위한 연구와 노력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mental health of 17-year-old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2013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panel data. A sample of 2,923 Korean adolescents (50.5% girls) participated in surve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mental health of 17-year-old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2013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panel data. A sample of 2,923 Korean adolescents (50.5% girls) participated in surveys on mental health and its potential predictors (e.g., self-concept, parents’ emotional support, teachers’ teaching methods) at 14 and 17 years of age. A random forest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a substantial number of potential factors related to mental health. Results revealed that mental health at age 17 showed stronger correlates with concurrent measures than the factors obtained at age 14. Importantly, the factors in the internal and non-academic sphere (e.g., self-concept) were ranked 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s of adolescents’ mental health. We also found that external and non-academic factors such as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positive parent-child interac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academic stress were other factors we found to be important influences on adolescents’ mental health.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mental health of Korean adolescents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종관, "행복을 위한 여가활동 및 향유하기의 역할에 관한 연구" 6 (6): 1-15, 2017

      2 김지경,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3 김양분, "한국교육종단연구2005(Ⅱ)" 한국교육개발원 2006

      4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399-429, 2009

      5 한민, "한국 청소년들의 행복: 타 연령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17-235, 2012

      6 김양분,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한국교육학회 53 (53): 31-60, 2015

      7 문상석, "학벌과 불행 : 한국청소년의 주관적 행복도" 31 (31): 73-102, 2010

      8 임현정, "학교활동 경험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261-281, 2011

      9 이중섭, "학교의 민주적 운영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학생회의 민주적 운영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81-308, 2012

      10 시기자, "학교생활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맥락변인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18): 153-182, 2015

      1 홍종관, "행복을 위한 여가활동 및 향유하기의 역할에 관한 연구" 6 (6): 1-15, 2017

      2 김지경,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3 김양분, "한국교육종단연구2005(Ⅱ)" 한국교육개발원 2006

      4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5 (15): 399-429, 2009

      5 한민, "한국 청소년들의 행복: 타 연령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17-235, 2012

      6 김양분,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한국교육학회 53 (53): 31-60, 2015

      7 문상석, "학벌과 불행 : 한국청소년의 주관적 행복도" 31 (31): 73-102, 2010

      8 임현정, "학교활동 경험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2 (22): 261-281, 2011

      9 이중섭, "학교의 민주적 운영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학생회의 민주적 운영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81-308, 2012

      10 시기자, "학교생활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맥락변인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18): 153-182, 2015

      11 박재숙, "학교 청소년의 인권보장, 자아존중감,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35-59, 2010

      12 임현정,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Ⅲ): 초등학교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13 이창식,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35-43, 2017

      14 문성호, "청소년활동의 참여실태, 만족도 및 영역별 효과성"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95-122, 2010

      15 도종수,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21-45, 2011

      16 전혜진,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 진로성숙도 및 미시체계 변인의 경로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2 (22): 75-104, 2015

      17 성은모,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과 환경특성 간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177-202, 2013

      18 권용준, "청소년의 행복감과 관련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 분석: 비행경험 여부에 따른 집단 간 비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31): 183-210, 2020

      19 서경현,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및 행복감 간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37-157, 2016

      20 박재연,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학교폭력,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친구, 가족, 교사의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43 (43): 263-289, 2017

      21 하문선,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휴대전화 이용 유형과의 관련성"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55-179, 2014

      22 모상현,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탐색: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가족관계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6 (16): 23-40, 2012

      23 장휘숙, "청년기 발달과업 성취가 청소년의 5요인 성격특성과 자기존중감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3 (23): 1-17, 2010

      24 김경미, "참여하는 청소년은 행복한가? : 사회참여 활동유형과 성별에 따른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원 46 (46): 141-164, 2020

      25 김민성, "중학생이 지각한 학교의 심리적 환경과 자기결정성,학습노력, 학업성취, 학교만족도의 인과관계 분석" 교육연구소 11 (11): 43-70, 2010

      26 조한익, "중학교 시기에 학생들이 지각한 교사, 부모, 학생변인의 종단적 변화가 고등학교 1학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27 (27): 331-351, 2021

      27 임영진, "정신적 웰빙 척도(MHC-SF)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369-386, 2012

      28 원희욱, "자아정체성과 학교생활적응이 뇌 지수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651-664, 2019

      29 박영신, "자녀가 지각한 효도의 구성개념과 형성: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부모관계효능감이 자녀의 효도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8 (28): 421-454, 2014

      30 이주연,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과 미디어 기기중독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7 (7): 263-275, 2020

      31 류정희, "아동종합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32 구재선, "심리적 특성, 생활 경험, 행복의 통합적 관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 (20): 1-18, 2006

      33 최윤정, "시민적 인성 특질로서 지속 가능한 웰빙"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5) : 57-82, 2019

      34 윤혜진, "세대별 여가 인식, 활동 그리고 행복의 관계"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8 (28): 353-370, 2016

      35 박은희, "부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영향 :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8 : 276-276, 2019

      36 이뿐새, "부모의 교육 참여가 자녀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진로성숙도를 통한 주관적 행복의 매개된 조절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7) : 147-177, 2017

      37 장유진, "부모 학력과 경제 수준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교육 시간과 학업 스트레스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27 (27): 249-273, 2020

      38 최필선,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대졸자 취업예측 모형"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1 (21): 31-54, 2018

      39 손윤희,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읽기소양 수준에 따른 집단 결정요인 분석: PISA 2018 자료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1 (21): 191-215, 2020

      40 박소영,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예측변수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9 (29): 239-265, 2021

      41 김영식,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고교생의 독서활동 예측 요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8 (28): 137-156, 2019

      42 박병선, "대인관계와 학교성적이 학교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학교급별 비교"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215-238, 2012

      43 김선아, "남녀청소년의 다양한 스트레스(부모, 학업, 친구, 외모, 경제), 학교생활적응과 행복감의 관계성 연구: 매개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161-169, 2020

      44 이병임, "과학고와 일반고 학생의 진로포부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행복과의 관계"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2 (12): 133-155, 2012

      45 류남애, "고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심리적 독립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8 (18): 65-87, 2011

      46 김영서, "고등학생의 청소년활동 참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공동체의식 및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 한국조사연구학회 22 (22): 91-125, 2021

      47 성기선, "경기교육종단연구 연구설계 및 문항개발 연구"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2012

      48 서재욱, "개인능력, 가족환경, 학교환경 변인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65-292, 2014

      49 Harrison, K., "Toward a developmental conceptualization of contributors to overweight and obesity in childhood : the Six-Cs model" 5 (5): 50-58, 2011

      50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51 May, R., "The courage to create" Norton & Company, Inc 1975

      52 Helliwell, J. F., "The World Happiness Report 2018"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 2018

      53 McCallumore, K. M., "The Importance of the Ninth Grade on High School Graduation Rates and Student Success in High School" 130 (130): 447-456, 2010

      54 Keyes, C. L. M., "Social Well-Being" 61 (61): 121-140, 1998

      55 Lapierre, M. A., "Short-Term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Smartphone Use/Depend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Late Adolescents" 65 (65): 607-612, 2019

      56 Emadpoor, 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Students Based On Mediating Role of Academic Motivation" 14 (14): 284-290, 2016

      57 Neumark-Sztainer, D., "Preventing the broad spectrum of weight-related problems : working with parents to help teens achieve a healthy weight and a positive body image" 37 : S133-S139, 2005

      58 Roderick, M., "Preventable Failure: Improvements in Long-Term Outcomes When High Schools Focused on the Ninth Grade Year" University of Chicago Consortium on Chicago School Research 2014

      59 Archer, T., "Physical exercise influences academic performance and well-be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1 (1): e102-, 2014

      60 Lim, S. A.,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Adolescent Happiness : Mediating Roles of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10 (10): 631-646, 2015

      61 Niu, G., "Online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Left-Behin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 the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Gratitude" 13 (13): 967-980, 2020

      62 Shoshani, A., "Middle school transition from the strengths perspective : Young adolescents’ character strengths, subjective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14 (14): 1163-1181, 2013

      63 Keyes, C. L. M., "Mental Health in Adolescence : Is America's Youth Flourishing" 76 (76): 395-402, 2006

      64 Breiman, L., "Manual for setting up, using, and understanding random forest V4.0"

      65 McCullough, G., "Life events, self-concept, and adolescents' positive subjective well-being" 37 (37): 281-290, 2000

      66 현주, "KEDI 종합검사도구 개발 연구(Ⅰ): 예비검사 개발, 실시 및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5

      67 Blanchflower, D. G., "Is well-being U-shaped over the life cycle?" 66 (66): 1733-1749, 2008

      68 Zhang, J., "How do academic stress and leisure activities influence college students' emotional well-being? A daily diary investigation" 60 : 114-118, 2017

      69 Rice, V. H., "Handbook of stress, coping, and health: implications for nursing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Sage 2012

      70 Consedine, N. S., "Handbook of adult development and learning" Oxford University Press 123-148, 2006

      71 Lee, B. J., "Family, School, and Community Correlates of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8 (8): 151-175, 2015

      72 Bradshaw, J., "Exploring national variations in child subjective well-being" 80 : 3-14, 2017

      73 Keyes, C. L., "Evaluat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MHC–SF)in setswanaspeaking South Africans" 15 (15): 181-192, 2008

      74 Čeh, M., "Estimating the performance of random forest versus multiple regression for predicting prices of the apartments" 7 (7): 168-, 2018

      75 Mathers, M., "Electronic Media Use and Adolescent Health and Well-Being : Cross-Sectional Community Study" 9 (9): 307-314, 2009

      76 Rigby, K. E. N., "Effects of peer victimization in school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adolescent well-being" 23 (23): 57-68, 2000

      77 Quach, A. S., "Effects of parental warmth and academic pressure on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in Chinese adolescents" 24 (24): 106-116, 2015

      78 Bronfenbrenner, U., "Ecology of the family as a context for human development : Research perspectives" 22 (22): 723-, 1986

      79 Irwin, L. G., "Early child development : a powerful equalizer" Human Early Learning Partnership 2007

      80 Rea, L. M., "Designing and conducting survey research : A comprehensive guide" Jossey-Bass 2005

      81 Acar, S., "Creativity and Well‐being: A Meta‐analysis" 54 (54): 1-14, 2020

      82 Liaw, A.,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by randomForest" 2 (2): 18-22, 2002

      83 OECD, "Children well-being" OECD Publishing 2015

      84 Davison, K. K., "Childhood overweight : a contextual model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2 (2): 159-171, 2001

      85 Keyes, C. L. M., "Change in Level of Positive Mental Health as a Predictor of Future Risk of Mental Illness" 100 (100): 2366-2371, 2010

      86 Costigan, S. A., "Associations between physical activity intensity and well-being in adolescents" 125 : 55-61, 2019

      87 Chekroud, S. R.,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exercise and mental health in 1·2 million individuals in the USA between 2011 and 2015 : a cross-sectional study" 5 (5): 739-746, 2018

      88 Sandri, M. P., "Analysis and correction of bias in total decrease in node impurity measures for tree-based algorithms" 20 (20): 393-407, 2010

      89 Caruana, R., "An empirical evaluation of supervised learning in high dimensions" 96-103, 2008

      90 Benson, P. L., "Advances in Child Development and Behavior (Vol. 41)" JAI 197-230, 2011

      91 Deb, S., "Academic stress, parental pressure, anxiety and mental health among Indian high school students" 5 (5): 26-34, 2015

      92 Tabacchi, 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new classification of the early determinants of childhood obesity : from pregnancy to the first years of life" 27 (27): 587-604, 2007

      93 방금주, "2012년 글로벌 선도학교 성과 관리 및 컨설팅 결과보고서 –글로벌 선도학교(집중지원형) 1차년도 사업결과 및 성과분석" 서울교육대학교 다문화교육연구원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4 1.54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5 1.7 1.914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