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金在桂의 獨立運動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6611219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조선대학교출판국, 1994

      • 발행연도

        199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923.6519 판사항(17)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광주

      • 서명/저자사항

        金在桂의 獨立運動 硏究 / 金淇森 著.

      • 형태사항

        146, 634 p. ; 23 cm.

      • 소장기관
        • 광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머리말 / 김기삼(조선대학교 교수)
      • 제1편 연구편 = 3
      • 제Ⅰ장 서론 = 5
      • 제Ⅱ장 동학과 동학사상의 성립배경 = 7
      • 목차
      • 머리말 / 김기삼(조선대학교 교수)
      • 제1편 연구편 = 3
      • 제Ⅰ장 서론 = 5
      • 제Ⅱ장 동학과 동학사상의 성립배경 = 7
      • 1. 사상적 요인 = 9
      • 2. 정치적 요인 = 11
      • 3. 수운의 동학사상 = 12
      • 제Ⅲ장 천도교의 발전 = 15
      • 1. 동학의 개편 = 15
      • 2. 동학, 천도교의 제도와 조직 = 24
      • 제Ⅳ장 김재계선생의 출생과 성장기 = 30
      • 1. 당시의 시대적 배경 = 30
      • 2. 장흥의 사회경제적 특징 = 32
      • 3. 장흥지방 천도교의 초기 활동상황 = 35
      • 4. 김재계선생의 출생과 성장 = 39
      • 제Ⅴ장 김재계선생의 1910년대 활동 = 41
      • 1. 천도교 입교기 = 41
      • 2. 장흥의 3·1 운동 = 63
      • 1) 천도교 중심의 전국적 3·1 운동 = 63
      • 2) 장흥지방의 3·1 운동 = 79
      • 제Ⅵ장 김재계선생의 1920년대, 1930년대 활동기 = 84
      • 1. 1920 - 30년대 장흥지방의 민족운동 = 84
      • 2. 1920년대 초기의 천도교 활동 = 96
      • 3. 김재계선생의 사설 강습회 설립운동(현 명덕국교) = 103
      • 4. 1920년대 후반의 활동 = 107
      • 5. 1930년대의 활동 = 121
      • 제Ⅶ장 김재계선생 최후의 독립운동과 순절 = 128
      • 김재계선생 연보(年譜) = 138
      • 제2편 자료편 = 149
      • 1. 김재계선생의 논설(論說) - 천도교회월보(天道敎會月報)에 기고함 = 155
      • 1926년 3월 시일강단에서 = 155
      • 1926년 9월 현조지 지주(玄鳥之知主) = 158
      • 1927년 2월 묵상으로 먼저 우리의 진리를 각오하자 = 160
      • 1927년 12월 신사 - 대신사에게 최후로 받으신문자 = 163
      • 1927년 8월 기언이 유하면 기행이 유토록 = 167
      • 1927년 10월 낙중우락(樂中又樂) = 170
      • 1927년 11월 마암의 득실은 어데있는가 = 173
      • 1927년 12월 선(善)과 악(惡) = 176
      • 1928년 8월 신앙(信仰)과 시혼(詩魂) = 179
      • 1928년 9월 시일강단 - 대신사의 득도전후 = 182
      • 1928년 10월 심학(心學) = 184
      • 1930년 1월 위선에 책임이행입니다 = 186
      • 1930년 1월 기도(祈禱)의 의의(意義) = 187
      • 1931년 1월 신년사 - 공정(公正) = 190
      • 1932년 5월 한울리치 그대로 한울림뜻 그대로 = 191
      • 1933년 3월 나와 한울림사이에 의식이 분명할 뿐 = 193
      • 1934년 1월 교회의 행복이 자기의 행복 = 194
      • 1934년 8월 갑오년 동학이야기 = 195
      • 1934년 12월 시일설교(侍日說敎) - 정성 = 198
      • 1936년 1월 부인교양운동에 대한 의견과 방법 - 자기의 행복은 자기에게 있다 = 200
      • 2. 김재계선생의 교회사(敎會史) - 천도교회월보(天道敎會月報)에 기고함 = 201
      • 1932년 6월 교회사 1, 추기 = 203
      • 1932년 7월 교회사 = 214
      • 1932년 9월 교회사 2 = 217
      • 1932년 10월 교회사 3 = 221
      • 1933년 3월 교회사 5 = 226
      • 1933년 5월 교회사 6 = 231
      • 1933년 임시호 교회사 7 = 234
      • 1934년 1월 교회사 8 = 238
      • 1934년 5월 교회사 9 = 242
      • 1934년 6월 교회사 10 = 246
      • 1934년 8월 교회사 11 = 249
      • 1934년 12월 교회사 12 = 253
      • 1934년 임시호 교회사 = 257
      • 1935년 6월 교회사 15 = 261
      • 1935년 8월 교회사 = 265
      • 1935년 9월 교회사 = 271
      • 1935년 11월 교회사 = 275
      • 1935년 12월 교회사 = 278
      • 1936년 1월 교회사 = 282
      • 1936년 2월 교회사 = 284
      • 1936년 6월 교회사 = 287
      • 1936년 7월 교회사 = 291
      • 1936년 11월 교회사 = 294
      • 1936년 12월 교회사 = 297
      • 3. 김재계선생이 쓴 발문(跋文) - 천도교회월보(天道敎會月報)에 기고함 = 301
      • 1926년 9월 강봉수씨전 = 303
      • 1927년 7월 박준승씨 일생 = 305
      • 1928년 1월 고 공암 김의태(恭菴 金義泰)씨 영결식 조사, 친지유감 발표 = 308
      • 1931년 12월 고 금암 송년섭(琴菴 宋年燮)씨를 추도(追悼)함 = 314
      • 1933년 임시호 고 절암 윤세현씨를 추도함 = 315
      • 1934년 임시호 조 숭암 안분열(崇菴 安分烈)씨 추도문 = 318
      • 1935년 12월 개암 박영창(開菴 朴永昌)씨를 추도함 = 319
      • 4. 장흥지방 천도교인들이 쓴 논설 - 천도교회월보(天道敎會月報)에 기고함 = 327
      • 1924년 4월 천도교 장흥 종리원 = 329
      • 1928년 4월 때는 때입니다 - 신명희 = 339
      • 1928년 11월 소곡동연(笑哭同然) - 황업주 = 341
      • 1929년 5월 사람이 한울되도록 - 황생주 = 342
      • 1934년 8월 마음먹은 대로 된다 - 신명희 = 344
      • 1936년 6월 각지교회의 부인강좌 = 346
      • 1936년 9월 후천개벽의 새사람 - 장흥 윤병화 = 353
      • 5. 천도교 장흥군 교구역사 = 355
      • 6. 長德 新學術 講習會 認可案 = 535
      • 7. 훈암 김황순(訓菴 金鐄順)(강진 대구면)의 육필수기 - 무인년 왜멸기도와 심고사건의 진상 = 607
      • 8. 조선일보, 동아일보, 매일신보, 경성일보 기사 = 62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