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비주의적 영성의 개신교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아빌라의 테레사의 기도 이해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254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도는 모든 기독교인들에게는 가장 중요한 주제이다. 한국 개신교의 경우 그 어 느 나라보다 기도를 많이 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도에 대한 신학적인 성찰은 상대적으 로 빈약한 것이 현실...

      기도는 모든 기독교인들에게는 가장 중요한 주제이다. 한국 개신교의 경우 그 어 느 나라보다 기도를 많이 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도에 대한 신학적인 성찰은 상대적으 로 빈약한 것이 현실이다. 기독교의 맥락에서 참된 기도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 가? 기도에 대한 신학적인 이해는 무엇인가? 이런 물음과 함께 본 논문의 연구 목적 은 한국 기독교 영성의 핵심을 이루는 기도에 대해 신학적으로 성찰하는 데 있다. 이 를 위해 16세기 스페인 영성학파 중 한 사람인 아빌라의 테레사(Teresa of Avila, 1515-1582)의 기도이해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테레사는 그리스도교 영성의 한 획을 그은 인물로서 신비적인 내적 체험과 기도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당시의 그 리스도교를 새로운 방향으로 개혁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테레사의 기도이해는 다 양한 기독교 전통과의 대화와 비교 연구라는 맥락에서 한국 개신교의 기도이해와 영 성의 발전에 좋은 참고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그의 강렬한 신비체험과 진지한 성찰 및 개혁적인 삶은 한국 개신교회에 큰 도전을 준다. 특히 그의 신비주의적 영성은 한국 개신교회의 통성기도 중심의 영성을 보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테레사의 대표저작 중 하나인 『생애』 11장에서 22장까지 에 나타나 있는 그의 기도이해에 대해 살펴본다. 이 책은 테레사가 하나님께 바친 기 도와 그 와중에 겪은 여러 신비체험을 진솔하게 기록한 일종의 영적 고백록이다. 테 레사는 기도 도중 체험한 신비체험을 직접 표현하기가 불가능하였으므로 ‘내면의 정 원’이라는 비유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테레사는 영혼의 정원에 물을 주는 과정을 물, 정원, 관개(irrigation)와 같은 비유를 사용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즉 테레사는 물 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네 가지로 설명하는 데, 이것 바로 기도의 네 가지 단계 또는 등급을 의미한다. 이 기도의 네 단계를 통해 점차 능동적인 기도에서 수동적인 기도 로 발전하며, 하나님과의 합일을 이루어 기쁨을 누리게 된다. 본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아빌라의 테레사가 제시한 신비주의적 기도의 영성을 한 국 개신교의 맥락에 적용하는 문제를 다룬다. 한국 개신교를 대표하는 영성은 통성기 도의 영성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개인의 회개와 청원 및 기복적인 간구로 이루어진 통성기도의 형성을 테레사의 신비주의적 기도의 영성이 어떻게 보완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한다. 결론에서는 본 문문의 논의를 요약하고 논문의 의의와 한계 및 연구 과 제를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ayer is the most important theme for all Christians. Theological reflections are rare in the context of Korean Church where so many Christians are praying very hard. How do we understand true prayer in a Christian perspective? What is a theological ...

      Prayer is the most important theme for all Christians. Theological reflections are rare in the context of Korean Church where so many Christians are praying very hard. How do we understand true prayer in a Christian perspective? What is a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pray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theological reflection on prayer by focusing on Teresa of Avila’s understanding of prayer. Teresa of Avila(1515-1582) was the person who reformed Catholic Church in a new direction with the power of her mystical experience and new understanding of prayer. Her mystical way of prayer can be a good reference for the improvement of an understanding of prayer and the development of spirituality of the Korean Church in the context of comparative study among various Christian traditions. Her mystical experience, careful reflection on prayer, and reformative life challenge the Korean Church in many ways. In particular, her mystical spirituality can hel the Korean Church improve and complement its spirituality of loud vocal prayer. In this article, the author first explores Teresa’s understanding of prayer in Life, one of her important works. This book is a spiritual confession that she wrote about her mystical experiences of God. She uses the word ‘inner garden’ as an allegory to explain her mystical experience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describe them in plain language. She explains about prayer in more details by using the words such as ways of watering, garden, and irrigation. She explains four ways of watering the garden, which means four degrees of prayer. The person who prays can progress from active prayer to passive prayer in these four degrees of prayer. The person can ultimately rejoice in an union with God. In the last part of this article, the author tries to apply Teresa’s spirituality of mystical prayer to the context of the Korean Church. It can be said that a spiritualty of ‘tongsungkido’(loud vocal prayer) is a typical spirituality of the Korean Church. However, this type of spiritualty mainly focuses on personal repentance, petition, and seeking of material wealth and blessings. So, the author explains how to reform and complement this spiritualty from a perspective of Teresa’s mystical spiritualty. In conclusion, the author summarizes this study and suggests the themes for further stud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아빌라의 테레사의 영적 여정과 신비체험
      • III. 아빌라의 테레사의 기도 이해
      • IV. 신비주의적 영성의 개신교적 적용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아빌라의 테레사의 영적 여정과 신비체험
      • III. 아빌라의 테레사의 기도 이해
      • IV. 신비주의적 영성의 개신교적 적용
      • 1. 통성기도의 영성에 대한 비판적 이해
      • 2. 통성기도의 영성을 보완하는 신비주의 영성
      • V.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순, "헨리 나웬의 목회와 영성 이해" 한국실천신학회 (42) : 553-579, 2014

      2 유동식, "한국종교와기독교" 대한기독교서회 2001

      3 배리, 윌리엄 A, "하느님과 그대" 가톨릭출판사 2009

      4 조성호, "통성기도에 관한 실천신학적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72) : 251-280, 2020

      5 최용운, "토마스 머튼의 영성 신학적 입장에서 조명한 한국 개신교의 기도 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59) : 321-349, 2018

      6 김수천, "침묵기도의 삶" 두란노 서원 2013

      7 박세훈, "영혼의 중심에 이르는 기도: 아빌라의 테레사의 거둠 기도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67) : 211-237, 2019

      8 메이, 제랄드, "영혼의 어둔밤" 아침영성지도연구원 2006

      9 버로우스, 루쓰, "영혼의 성 탐구: 하나님과의 친밀한 연합의 삶을 위한 데레사의 가르침" 은성 2014

      10 글린, 조셉, "영원한 신비가" 가톨릭 출판사 1991

      1 이정순, "헨리 나웬의 목회와 영성 이해" 한국실천신학회 (42) : 553-579, 2014

      2 유동식, "한국종교와기독교" 대한기독교서회 2001

      3 배리, 윌리엄 A, "하느님과 그대" 가톨릭출판사 2009

      4 조성호, "통성기도에 관한 실천신학적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72) : 251-280, 2020

      5 최용운, "토마스 머튼의 영성 신학적 입장에서 조명한 한국 개신교의 기도 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59) : 321-349, 2018

      6 김수천, "침묵기도의 삶" 두란노 서원 2013

      7 박세훈, "영혼의 중심에 이르는 기도: 아빌라의 테레사의 거둠 기도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67) : 211-237, 2019

      8 메이, 제랄드, "영혼의 어둔밤" 아침영성지도연구원 2006

      9 버로우스, 루쓰, "영혼의 성 탐구: 하나님과의 친밀한 연합의 삶을 위한 데레사의 가르침" 은성 2014

      10 글린, 조셉, "영원한 신비가" 가톨릭 출판사 1991

      11 오먼, 조던, "영성신학" 분도출판사 1997

      12 윌킨슨, 브루스, "야베스의 기도" 디모데 2001

      13 아빌라의 테레사, "아빌라의 테레사 내면의 성" 요단출판사 2011

      14 아빌라의 테레사,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 소품집" 분도출판사 2015

      15 키팅, 토마스, "센터링 침묵기도" 가톨릭 출판사 2007

      16 맥긴, 버나드, "서방 기독교 신비주의의 역사, 신비주의의 토대" 은성 2000

      17 나웬, 나웬, "상처입은 치유자" 두란노 1999

      18 오방식, "복음과 관상: 아빌라의 데레사의 『영혼의 성』에 대한 루쓰 버로우의 주해를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68) : 197-229, 2020

      19 홈스, Urban T, "목회와 영성" 대한기독교서회 1988

      20 리치, 케네스, "마음으로 드리는 기도" 은성 1992

      21 황헌영, "기도와 신비적 체험에 대한 심층심리학적 이해" 한국실천신학회 (58) : 329-355, 2018

      22 권명수, "관상기도와 명상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41) : 151-176, 2014

      23 김명실, "공동체적 탄원기도로서의 통성기도: 통성기도의 정체성의 정립과 그 신학과 실천의 나아갈 방향 모색" 한국실천신학회 (24) : 299-335, 2010

      24 Teresa of Avila, "The Collected Works of St. Teresa of Avila" ICS Publications 1987

      25 Tillich, Paul, "Systematic Theology. Vol. 2"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7

      26 Door, Donal, "Spirituality and Justice" Orbis Books 1984

      27 Hessel, Dieter T, "Social Ministry" The Westminster Press 1982

      28 Woodward. Kenneth L, "Platitudes Or Prophecy?" 27 : 47-, 2001

      29 Dupre, Louis, "Christian Spirituality Post-Reformation and Modern" The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1989

      30 Gutierrez, Gustavo, "A Theology of Liberation" Orbis Books 1988

      31 Holmes, Urban T, "A History of Christian Spirituality" Morehouse Publishing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4 0.653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