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낱장자료] 한국철학사상사 자료(조선 후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59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개관 [불교편] 조선후기 불교 개요 임난 이후 승가의 상황은 조선의 출범과 더불어 시작된 숭유억불정책에 기반한 제반 조건 속에서의 억압과 배척의 대상이 되면서 존폐의 기로에 선 승...

      개관 [불교편]
      조선후기 불교 개요
      임난 이후 승가의 상황은 조선의 출범과 더불어 시작된 숭유억불정책에 기반한 제반 조건 속에서의 억압과 배척의 대상이 되면서 존폐의 기로에 선 승가의 나름대로의 새로운 정체성 확립의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세종대 이후 선교양종(禪敎兩宗) 체제로의 개편은 승가 내부의 자발적인 과정의 귀결이 아니었기 때문에 종지나 종파면에서 뚜렷한 자기 특성을 갖지 못하고 있었다. 더욱이 성종, 연산군 이후로는 선교양종의 제도적 구분도 없어지고 말았다. 그후 명종 연간에 한 때 양종이 부활되기도 했지만 곧 흐지부지되어 결국 승가는 종파도 종지도 명확하지 않은 상태로 되고 말았다.

      개관 [유교편]
      조선후기 유학 개관
      이 장에서는 성리학 내부의 쟁점을 놓고 벌어진 조선중기 이후 형성된 각 유학파간의 논쟁과 정통 주자학의 고수와 주자학 일변도로부터 탈피하려던 일군의 경향들 간의 갈등을 중심으로 하여 조선후기 유학의 전체 윤곽을 간략히 살피고자 한다. 아울러 우선 밝혀두어야 할 것은 이 글에서 다루어야할 범위가 너무 넓기 때문에 이 글의 내용에 당연히 포함되어야 하는 禮論과 實學思想을 이 글의 범위에서 제외시켰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글은 논의의 촛점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조선후기에 전개된 각 학파의 형성 과정과 사상적 변천을 성리학의 중심주제인 理氣性情論 을 축으로 하여 정리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수록 체재 가. 개 요 시대 및 사상에 의해 구분한 각 항목에 대한 종합적 해설로 각 시대별 사상별 철학의 특징과 의의가 드러날 수 있도록 서술하였다. 나. 인 물 먼저 인...

      -수록 체재
      가. 개 요
      시대 및 사상에 의해 구분한 각 항목에 대한 종합적 해설로 각 시대별 사상별 철학의 특징과 의의가 드러날 수 있도록 서술하였다.
      나. 인 물
      먼저 인물의 생몰 년과 자 호 본관을 소개하고, 저자의 학문 과정 사승 및 교유 관계, 사상 내용 및 저술과 사상의 철학사적 의의 등을 위주로 서술하였다.
      다. 자료 해제 및 번역문
      선정된 자료에 대해서는 자료의 철학사적 의의가 분명히 드러날 수 있도록 해제를 하였다.
      라. 원 문
      직역을 위주로 하되, 철학적 맥락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의역도 허용하였다.
      경어 사용이 자연스러운 내용의 글은 경어체로 번역하였다. (예 : 상소문, 편지글)
      번역문은 국문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한자 사용이 필요한 경우는 괄호 한자로 하였다.
      원문은 마침표, 느낌표, 물음표 등의 부호를 표시하고 맨 뒤에는 자료의 출처를 표기하였다.
      마. 번역문의 주석
      주석은 최대한 상세히 하며 인용된 문헌의 출처는 밝혔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저자초록은 조선 후기 불교와 유교 개관의 첫 단락을 실었다. 메타작성자초록은 연구계획서의 수록체재를 참고로 기재한다. 이 자료는 가까운 시일 내에 출판예정에 있어 단행본으...

      저자초록은 조선 후기 불교와 유교 개관의 첫 단락을 실었다.
      메타작성자초록은 연구계획서의 수록체재를 참고로 기재한다.
      이 자료는 가까운 시일 내에 출판예정에 있어 단행본으로 구분하였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IV. 조선 후기 ...........................1 개관 [불교편] ..........................1 [유교편].......................... 3 1.권극중 ...................................5 2.송시열 ...................................19 3....

      IV. 조선 후기 ...........................1
      개관 [불교편] ..........................1
      [유교편].......................... 3
      1.권극중 ...................................5
      2.송시열 ...................................19
      3.윤휴 ......................................39
      4.박세당 ...................................49
      5.정제두 ...................................70
      6.김창협 ...................................89
      7.이익 ......................................111
      8.한원진 ...................................134
      9.임성주 ...................................154
      10.홍대용 .................................174
      11.정약용 .................................189
      12.긍선 ....................................231
      13.의순 ....................................242
      14.최한기 .................................2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