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포츠현상에서 표출되는 문화자본의 유형 = Types of Cultural Capital Expressed in the Sport Phenomen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449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s of cultural capital that might have its relationship with sport phenomenons. To meet the objective of the study, the following two steps were conducted. First, the study addressed possible tran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s of cultural capital that might have its relationship with sport phenomenons. To meet the objective of the study, the following two steps were conducted. First, the study addressed possible transitions and views of traditional cultural capital.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sport phenomenons was investigated.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sport cultural capital were introduced with consumption, life, and social aspects as possible transition from traditional cultural capital to its new aspect. Furthermore, the standards and the value of sport phenomenon to be considered as a part of cultural capital were discussed. Finally, the possible cultural types by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sport phenomenon were suggested in three aspects. First, sport consumption culture was introduced in a traditional aspect. Second, sports life culture was addressed in a personal acceptive aspect. Third, sport game culture was interpreted in a shared value aspect. The potential of sports phenomenons to be seen as a part of traditional cultural capital was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문화자본의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스포츠현상과 문화자본의 관계에서 표출되는 문화자본의 유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문화자본의 성격은 사회 환경에 따라서 변...

      이 연구는 문화자본의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스포츠현상과 문화자본의 관계에서 표출되는 문화자본의 유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문화자본의 성격은 사회 환경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전통적 문화자본의 견해와 변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스포츠현상과 문화 자본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특히 스포츠 문화자본의 특징을 소비, 생활, 사회적 전이의 형태로 제시하였으며 스포츠현상을 문화적으로 폭넓게 해석할 수 있는 기준과 문화자본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4장에서는 스포츠현상에서의 문화자본 유형을 세 가지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첫째, 전통적 관점에서 스포츠 소비문화를 제시하면서 개성적이고 문화적인 소비형태가 표출되는 형태를 제시하였다. 둘째, 개별적 수용이라는 차원에서 스포츠 생활문화를 강조하였다. 즉 개별적 수용과 생활문화로 나타나는 외형적 자본의 형태와 가치는 다양하지만 개인의 생활에서 보여 지는 개별적 수용형태는 고정적이다. 셋째는 공유가치 차원에서 스포츠 경기문화를 해석하였다. 각종 제도적인 부분이 문화자본으로서의 스포츠 역할을 증명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해석은 스포츠에서 나타날 수 있는 고유한 형태의 문화자본이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종회, "현대 자본주의사회의 문화분석 : 문화적 지배논의를 중심으로" 33 (33): 1994

      2 최샛별, "한국의 문화자본 지형도 구성을 위한 척도개발 기초연구: 문화예술 활동과 음악선호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13 (13): 61-87, 2012

      3 이기홍, "한국 노인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한국노년학회 25 (25): 1-21, 2005

      4 홍성민, "취향의 정치학" 현암사 2012

      5 정재기, "정보격차와 불평등: 문화자본, 사회자본, 네트워크화된 개인주의" Korea Local Informatio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65) : 4-7, 2010

      6 조광익, "여가소비와 정체성: 과시, 구별짓기, 혹은 기호?" 2007

      7 장윤정, "여가소비에 있어 부르디외 문화자본론의 비판- 포스트모던 소비현상의 관점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1 (31): 16-16, 2007

      8 조광익, "여가 소비와 문화자본의 관계 - 여가 스포츠 활동을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291-314, 2010

      9 박상곤, "스포츠 참여에 미치는 문화자본의 영향 - 스키와 골프 참여를 중심으로 -"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1 (21): 659-680, 2008

      10 정일준,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새물결 1995

      1 양종회, "현대 자본주의사회의 문화분석 : 문화적 지배논의를 중심으로" 33 (33): 1994

      2 최샛별, "한국의 문화자본 지형도 구성을 위한 척도개발 기초연구: 문화예술 활동과 음악선호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13 (13): 61-87, 2012

      3 이기홍, "한국 노인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한국노년학회 25 (25): 1-21, 2005

      4 홍성민, "취향의 정치학" 현암사 2012

      5 정재기, "정보격차와 불평등: 문화자본, 사회자본, 네트워크화된 개인주의" Korea Local Informatio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65) : 4-7, 2010

      6 조광익, "여가소비와 정체성: 과시, 구별짓기, 혹은 기호?" 2007

      7 장윤정, "여가소비에 있어 부르디외 문화자본론의 비판- 포스트모던 소비현상의 관점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1 (31): 16-16, 2007

      8 조광익, "여가 소비와 문화자본의 관계 - 여가 스포츠 활동을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291-314, 2010

      9 박상곤, "스포츠 참여에 미치는 문화자본의 영향 - 스키와 골프 참여를 중심으로 -"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1 (21): 659-680, 2008

      10 정일준,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새물결 1995

      11 남상우, "상징적 폭력의 장으로서 스포츠 피에르" 87-116, 2010

      12 최샛별, "상류계층 공고화에 있어서의 상류계층 여성과 문화자본:한국의 서양고전음악전공여성 사례" 한국사회학회 36 (36): 5-28, 2002

      13 김도종, "문화자본주의 사회의 소비와 생산" 범한철학회 43 (43): 259-293, 2006

      14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문화자본이 정보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1-138, 2006

      15 김서용, "문화자본은 중요한가?" 157-177, 2007

      16 장미혜, "문화자본과 소비양식의 차이" 35 (35): 51-81, 2001

      17 조은, "문화자본과 계급재생산" 60 : 166-205, 2002

      18 현택수, "문화와 권력" 나남 1998

      19 장미혜, "문화와 계급: Bourdieu와 한국사회" 동문선 87-120, 2002

      20 양종회, "문화예술사회학" 도서출판 그린 2005

      21 Bourdieu, P.,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새물결 1995

      22 Crane, D., "The Production of Culture: Media and the Urban Arts" Sage 1992

      23 Hall, D., "The Audience for Abstract Art: Class, Culture, and power. Cultivating Differenc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24 양경숙, "Pierre Bourdieu의 계급재생산과 아비투스의 교육적 의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0

      25 Bourdieu, P.,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Greenwood Press Inc 1986

      26 Anheier, H. K., "Forms of capital and social structure in cultural fields; Examining Bourdieu's social topography" 100 (100): 859-903, 1995

      27 Erickson, B. H., "Culture, class and connections" 102 (102): 217-251, 1996

      28 Featherstone, M, "Consumer culture and Postmodernism" 현대미학사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4-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3-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6 0.947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