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학 유도선수들의 유,무산소체력의 관련성 = Relationship between aerobic and anaerobic Fitness in University Judo Play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006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체급간 대학 유도선수들의 유ㆍ무산소 체력(SJFT, 1RM, 최대산소섭취량)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각 요인들간의 관련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피험자는 Y대학교 유도학과에 재학...

      본 연구는 체급간 대학 유도선수들의 유ㆍ무산소 체력(SJFT, 1RM, 최대산소섭취량)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각 요인들간의 관련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피험자는 Y대학교 유도학과에 재학 중인 남자 유도 선수 중 5년 이상 운동경력이 있는 자들로 전국대회 3회 이상 입상경력이 있는 선수 19명을 대상으로 60kg~66kg급을 경량급(6명), 73kg~90kg급을 중량급(8명), 100kg 이상을 헤비급(5명)으로 크게 3그룹으로 분류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7.0 program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급별 유·무산소 체력차이에서 최대산소섭취량과 SJFT의 메치기 합은 경량급, 중량급, 헤비급 순으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로우 1RM과 스쿼트 1RM은 헤비급, 중량급, 경량급 순으로 체급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신체둘레와 1RM의 관계는 벤치프레스는 가슴과 다리둘레를 제외한 요인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으며, 로우 1RM과 스쿼트 1RM은 가슴둘레를 제외한 요인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데드리프트는 엉덩이 둘레를 제외한 요인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비만도에 따른 유·무산소 체력의 관계에서 BMI는 최대산소섭취량과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으며, SJFT, 벤치프레스 1RM, 로우 1RM, 스쿼트 1RM, 데드레프트 1RM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최대산소섭취량은 SJFT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로우1RM과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SJFT는 스쿼트 1RM에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유도 경기의 특성에 따라 체급간에 유·무산소 체력요인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둘레와 1RM, 비만도에 따른 유·무산소 체력은 서로 상관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를 바탕으로 각 체급의 선수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도훈련 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천한다면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 in aerobic·anaerobic fitness of university Judo players between weight divisions, and to clarify relevancy among factors in each. Subjects were those who have exercise career in over 5 y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 in aerobic·anaerobic fitness of university Judo players between weight divisions, and to clarify relevancy among factors in each. Subjects were those who have exercise career in over 5 years among male Judo players of attending the Dept. of Judo at H university. It measured by classifying subjects largely into 3 groups by having 60kg~66kg class as lightweight(6), 73kg~90kg class as middleweight(8), 100kg~over 100kg class as heavyweight(5) targeting 19 players who have the awarding career in over 3 times at National Competition. Data analysis was used descriptive statistics, One 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by utilizing SPSS 17.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difference of aerobic·anaerobic fitness by weight division, the total of the maximal oxygen uptake and SJFT(special judo fitness test) throw was in order of lightweight, middleweight, and heavyweight. Row 1RM and squat 1RM were indicat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weight division in order of heavyweight, middleweight, and lightweight. Second, in relationship between body circumference and 1RM, the Bench Press was indicated th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in factors except chest and leg circumference. Row 1RM and squat 1RM showed th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in factors except chest circumference. Dead-Lift showed th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in factors except hip circumference. Third, in relationship of aerobic·anaerobic fitness according to obesity index, BMI showed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aximal oxygen uptake. Th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indicated in SJFT, bench press 1RM, row 1RM, squat 1RM, and dead-lift 1RM. Maximal oxygen uptake wasn`t shown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JFT, and showed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ow 1RM. SJF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quat 1RM. In conclusion, the factors of aerobic·anaerobic fitness by weight division were indicated to have difference according to characteristic of Judo game. The aerobic·anaerobic fitness according to body circumference, 1RM, and obesity index was clarified to have mutual correlation. Given planning and practicing a systematic and scientific program of Judo training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players in each weight division based on this, it is judged to be likely to have great influence upon enhancement in players` athletic performa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찬영, "투기종목선수들의 형태학적 특성" 2 (2): 51-65, 2000

      2 박영환, "투기종목 선수들의 체형" 6 (6): 87-101, 2004

      3 이태현, "민속씨름 선수들의 체급별 유, 무산소성 운동능력과 최대운동 후 회복기산적 스트레스 차이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5

      4 김의영, "무도선수들의 하지형태와 무산소성 파워변인과의 관련성" 대한무도학회 11 (11): 329-343, 2009

      5 김영국, "대학 태권도선수들의 체급별 유산소 운동능력과 최대운동 후 암모니아 및 스트레스 호르몬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139-148, 2007

      6 김종식, "대학 유도선수의 체력에 따른 요인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1998

      7 안대원, "남자 중학생의 태권도, 유도 선수의 체형 비교"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77-84, 2005

      8 Muramatsu, S, "The relationship between aerobic capacity and peak power during intermittent anaerobic exercise of judo athlets" 8 : 151-160, 1994

      9 Nakajima, T,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fat and basic physical fitness for female athletes(part 2)" 1998

      10 Astrand, P. O, "Textbook of Work Physiology, Physiological Base of Exercise" McGraw Hill Bppk Co 1995

      1 최찬영, "투기종목선수들의 형태학적 특성" 2 (2): 51-65, 2000

      2 박영환, "투기종목 선수들의 체형" 6 (6): 87-101, 2004

      3 이태현, "민속씨름 선수들의 체급별 유, 무산소성 운동능력과 최대운동 후 회복기산적 스트레스 차이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5

      4 김의영, "무도선수들의 하지형태와 무산소성 파워변인과의 관련성" 대한무도학회 11 (11): 329-343, 2009

      5 김영국, "대학 태권도선수들의 체급별 유산소 운동능력과 최대운동 후 암모니아 및 스트레스 호르몬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139-148, 2007

      6 김종식, "대학 유도선수의 체력에 따른 요인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1998

      7 안대원, "남자 중학생의 태권도, 유도 선수의 체형 비교"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77-84, 2005

      8 Muramatsu, S, "The relationship between aerobic capacity and peak power during intermittent anaerobic exercise of judo athlets" 8 : 151-160, 1994

      9 Nakajima, T,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fat and basic physical fitness for female athletes(part 2)" 1998

      10 Astrand, P. O, "Textbook of Work Physiology, Physiological Base of Exercise" McGraw Hill Bppk Co 1995

      11 Sikorski, W, "Structure of the contest and work capacity of the judoist" 58-65, 1987

      12 Kraemer, W. J, "Strength testing: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methodology" Human Kinetics 1995

      13 Thomas, S. G, "Physiological profiles of the Canadian National Judo Team" 14 : 142-147, 1989

      14 Calister, 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lite Judo athletes" 12 : 196-203, 1991

      15 Little,N.G, "Physical performance attributes of Junior and Senior women, Juvenile, Junior and Senior men judokas" 31 : 510-520, 1991

      16 Franchini, E, "Physical fitness and anthropomeric differences between elite and nonelite judo players" 22 : 315-328, 2005

      17 Franchini, E, "Physical Fitness and Anthropometrical Profile of the Brazilian Male Judo Team" 26 : 59-67, 2007

      18 McArdle, W. D, "Exercise Physiology: Energy, nutrition and human performance. Fifth edition" Lin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3

      19 Castarlenas, J. L, "Estudio de la estructura temporal del combate de judo" 47 : 32-39, 1997

      20 Franchini, E, "Effects of recovery type after a judo combat on blood lactate removal and performance in an intermittent anaerobic take" 43 : 424-431, 2003

      21 Judocoach, "Available on www.judocoach"

      22 IJF, "Available on www.ijf.or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1.03 0.768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