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성소리의 작창방식 : 심청가 '인당수' 대목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8936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 of Bo sung sori(보성소리), which is a category of Seo-pyun-je(서편제), analyses and compares with an essential elements of Pansori. This thesis deals with sung woo hyung sori and han a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 of Bo
      sung sori(보성소리), which is a category of Seo-pyun-je(서편제),
      analyses and compares with an essential elements of Pansori.
      This thesis deals with sung woo hyung sori and han ae soon
      sori of each Shim chung Ga(심청가) Ba di(바디). The result is
      as follows:
      (1) The text of Bo-sung sori concentrates on morality, citates a
      various tale and sentences of China or a piece of a chinese poem,
      or uses the tale of a chinese poetic word. These efforts are the
      trial of elegance effects. (2) The charateristic of musical scale is mainly e♭-chung(청)
      Gye Myun Cho(계면조)and g♭chung Woo-cho(우조). There are
      various scale transfertations on the ‘Buk ul duridung’(「북을 두리
      둥」) Dae Mok(대목) and ‘Hae Dang eun Kwang Poong’(「해당은
      광풍」) dae mok, so the Gye Myun cho often turns to the Woo
      cho and to the varity insulted with Uh jung je(어정제) or Dol
      jang(돌장)
      (3) The Chang Dans (장단) are composes of four types(Chin
      yang(진양), Chong Mo Ri(중모리), Ut Mo Ri(엇모리), Cha Chin
      Mori(자진모리). The Ut mo Ri Chnag Dan is insulted in a
      eccentric part, compared with other Pan sori Dae Mok.
      (4) The Bu chim Sae(붙임새) is filled with skillful half beats,
      turns two dividiesd beats to three divided beats, vice versa. But
      it still has a good Bu chim Sae.
      (5) The melodic line of cadance per a part mainly based on the
      arch types. Besides decented cadance after the repetitions of climb
      and descent and uncessioned declines. The notations of cadance
      are the same thing with Chung(청) or the perpect 4 degrees under
      the Chung.
      (6) The dramatic aspects are choosed in the behalf of
      themselves, Bo Sung sori Sung Woo Hyung sori Sim Chung Ga
      representes the story of text faithfylly by the use of pitch, Sung-eum(성음) and proper pause usage.
      In general, Bo sung sori shim chung ga is evaluated as a
      masterpiece of P’ansori. From the above, it is concluded that,
      Bo-sung so ri has artificial text and variety technics and more
      over is presented naturally.
      key words : Pansori Bo-sung sori Chim Ga, In dang su Dae
      Mok, Gye myun cho, Woo cho, chang dan, Bu chim sae, cadance
      melody, dramatic asp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편제에서 갈라져 나온 보성소리 심청가의 작창 방식을 살펴 볼 목적으로 판소리의 구성요소를 분석, 비교해 보았다. 각 바디의 심청가는 보성소리중 성우향 소리를 택하고 이와의 참고 ...

      서편제에서 갈라져 나온 보성소리 심청가의 작창 방식을 살펴 볼 목적으로 판소리의 구성요소를 분석, 비교해 보았다.
      각 바디의 심청가는 보성소리중 성우향 소리를 택하고 이와의 참고 자료로는 박동실 바디 한애순이 부른 심청가를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보성 소리의 사설은 윤리성을 강조하고, 중국의 여러 고사나 명사를 인용하거나, 한시의 한 귀절을 인용 혹은, 한시의 어미 사용등을 통해서 사설의 품격을 높이려 시도했음을 알 수 있었다.
      (2) 보성소리 성우향 소리의 음계적 특징은 e♭청 계면조와 g♭청 우조가 주로 쓰이고, 「북을 두리둥」대목과 「해당은 광풍」대목에서는 전조가 자유롭게 일어나서 계면조에서 우조로 변조되기도 하며, 어정제나 돌장등을 삽입하고 있는 다양성을 볼 수 있었다.
      (3) 성우향 소리의 장단은 진양, 중모리, 엇모리, 자진모리의 4종류의 장단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중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장단은 진양, 중모리, 자진모리 장단으로 추려지고, 엇모리 장단은 다른 판소리 엇모리 대목과는 다른 독특한 부분에 삽입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4) 보성소리 성우향소리의 붙임새는 좋은 붙임새를 유지하면서 엇박의 묘미와 2분박에서 3분박으로의 변화 혹은 그 반대의 리듬변화를 다양하게 구사하고 있다.
      (5) 선율 분석을 통해 종지 선율의 음 진행을 장단별로 살펴 본 결과 종지선율은 대체로 아치형으로 된 것이 많았다. 이외에는 상승과 하강의 반복후 하강 종지, 혹은 연속 하강형이 있었고 종지음은 청과 동일한 음이거나 혹은 청보다 완전 4도 아래음으로 되어 있었다.
      (6) 극적 표출성면에 있어서는 이것이 잘 드러나는 대표적인 몇 대목을 뽑아서 비교해 보았는데, 보성소리 성우향 소리 심청가는 음높이나 성음, 휴지부의 적절한 사용등으로 사설의 내용을 극적으로 표현하여 이면에 맞게 소리의 회화성을 잘 살리고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요컨대, 보성소리 심청가는 흔히 가장 예술성이 높은 판소리로 꼽힌다. 이렇게 예술성이 높은 판소리의 대표격으로 보성소리가 꼽히는 데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설이나, 조, 장단, 붙임새면에서 예술적인 내용과 다양한 기교를 구사하고 있으면서도 그것이 자연스럽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 2. 연구범위 및 방법 3
      • 3. 채보와 분석 방법 7
      • Ⅱ. 본론 10
      • Ⅰ. 서론 1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 2. 연구범위 및 방법 3
      • 3. 채보와 분석 방법 7
      • Ⅱ. 본론 10
      • 1. 보성소리 심청가의 전승계보 10
      • (1) “심청가”의 전승계보 10
      • (2) 서편제와 보성소리의 전승계보 10
      • 2. 사설 분석 14
      • ⑴ 윤리성을 강조한 대목 15
      • 1) 소상팔경 15
      • 2) 북을 두리둥 16
      • 3) 심청이 거동 16
      • 4) 행화는 풍랑 16
      • (2) 중국고사나 명사를 인용한 부분 17
      • 1)범피 중경 17
      • 2) 소상팔경 17
      • 3) 수로 18
      • 4) 북을 두리둥 19
      • (3) 한시의 한 구절을 인용한 부분 20
      • 1) 범피 중류 20
      • 2) 수로 20
      • 3) 행화는 풍랑 21
      • 3. 보성소리의 작창방식 22
      • ⑴ 음계 22
      • 1) 범피 중류 22
      • 2) 소상 팔경 23
      • 3) 수로 24
      • 4) 인당수 24
      • 5) 북을 두리둥 24
      • 6) 심청이 거동 26
      • 7) 행화는 풍랑 26
      • ⑵ 장단 29
      • 1) 범피중류 29
      • 2) 소상팔경 30
      • 3) 수로 30
      • 4) 인당수 31
      • 5) 북을 두리둥 31
      • 6) 심청이 거동 32
      • 7) 행화는 풍랑 32
      • (3) 붙임새 34
      • 1) 범피 중류 34
      • 2) 소상팔경 39
      • 3) 수로 42
      • 4) 인당수 44
      • 5) 북을 두리둥 46
      • 6) 심청이 거동 51
      • 7) 행화는 풍랑 54
      • (4) 선율 분석 56
      • 1) 진양 장단의 선율 56
      • 가. 범피 중류의 종지 선율 56
      • 나. 수로 대목의 종지 선율 57
      • 다. 해당은 광풍 대목의 종지 선율 58
      • 2) 중모리 장단의 선율 58
      • 3) 엇모리 장단의 선율 59
      • 4) 자진모리 장단의 선율 60
      • (5) 극적 표출성 61
      • 1) 범피 중류의 앞부분 62
      • 2) 심청이가 뱃전으로 달려가 물에 빠지는 장면 63
      • 3) 심청이가 물에 빠지고 나서 바다가 고요해 지는 장면 64
      • Ⅲ. 결론 65
      • 참고문헌 68
      • Abstract 76
      • 부록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