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해외사례를 통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장애학생 교육지원의 발전 방향 탐색 = Exploring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Post-COVID Era using International Ca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70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VID-19 has brought major changes to education. In particular, the need for support to bridge the educational gap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emerged. Currently, international organization reports and various research reports provide varied in...

      COVID-19 has brought major changes to education. In particular, the need for support to bridge the educational gap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emerged. Currently, international organization reports and various research reports provide varied information and implications for overseas education policies during the COVID-19 period. However, overseas education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not been properly investigat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content of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ring the COVID-19 period, focusing on the UK,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This study’spurpose wa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 era. Future directions were presented in terms of educational technology infrastructure, face-to-face and online learning support, behavioral problem counseling and educational welfare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repare educational policies providing effective educational support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 e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19는 교육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고, 특히 장애학생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다각적인 교육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현재 국제기구 보고서 및 여러 연구보고서 등에서 코로나-1...

      코로나-19는 교육에서 큰 변화를 가져왔고, 특히 장애학생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다각적인 교육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현재 국제기구 보고서 및 여러 연구보고서 등에서 코로나-19 기간동안 해외 교육 현황 및 정책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으나 교육에서 가장 취약한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해외사례는 적절히 조사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국, 독일, 미국을 중심으로 코로나-19 기간 동안 장애학생 교육지원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포스트 코로나 대비 국내 장애학생 교육지원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장애학생을 위한 에듀테크 기반 인프라 지원, 대면 및 비대면 학습지원, 행동문제 상담 및 교육복지 지원 측면에서 6가지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여 장애학생에게 효과적인 교육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 정책을 마련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혜승,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원격수업 전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0

      2 차현진 ; 구정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장애학생 대상 원격교육 지원을 위한 교사 및 학부모 요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857-877, 2022

      3 손지영 ; 차현진 ; 구정아, "포스트 코로나 대비 장애학생 원격수업 및 교육지원 방안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56 (56): 279-305, 2022

      4 오재호,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경기연구원 2020

      5 강승모 ; 임경원 ; 강성구 ; 황인선 ; 김주희, "코로나19 이후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75-704, 2020

      6 이은환, "코로나19 세대, 정신건강 안녕한가!" 경기연구원 2020

      7 이해란 ; 박창언 ; 이나영,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초등특수교사의 온라인수업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연구소 26 (26): 589-612, 2020

      8 강성우,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미국 인디애나주 특수교육 기관의 대처 사례" 27 (27): 2020

      9 강성국, "코로나19 대응 국가 수준 원격교육체제 진단 및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20

      10 교육부, "코로나19 대응 2020학년도 장애학생 원격수업 지원" 교육부 2020

      1 장혜승,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원격수업 전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0

      2 차현진 ; 구정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장애학생 대상 원격교육 지원을 위한 교사 및 학부모 요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857-877, 2022

      3 손지영 ; 차현진 ; 구정아, "포스트 코로나 대비 장애학생 원격수업 및 교육지원 방안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56 (56): 279-305, 2022

      4 오재호,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경기연구원 2020

      5 강승모 ; 임경원 ; 강성구 ; 황인선 ; 김주희, "코로나19 이후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75-704, 2020

      6 이은환, "코로나19 세대, 정신건강 안녕한가!" 경기연구원 2020

      7 이해란 ; 박창언 ; 이나영,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초등특수교사의 온라인수업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연구소 26 (26): 589-612, 2020

      8 강성우,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미국 인디애나주 특수교육 기관의 대처 사례" 27 (27): 2020

      9 강성국, "코로나19 대응 국가 수준 원격교육체제 진단 및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20

      10 교육부, "코로나19 대응 2020학년도 장애학생 원격수업 지원" 교육부 2020

      11 김대용 ; 최진혁, "코로나-19로 인한 특수교육 온라인 학습 실태 및 온라인 학습 인식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55 (55): 85-108, 2020

      12 민세리, "코로나 19에 대응하는 독일(특수)교육 정책의 특성과 한계" 28 (28): 2021

      13 민세리, "코로나 19로 인한 독일 특수교육현장의 변화" 27 (27): 2020

      14 김현집 ; 신현기,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원격교육 실태 및 운영 방안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55 (55): 1-33, 2021

      15 손지영, "장애학생 원격교육 현황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개선방안" 37-52, 2020

      16 손지영, "장애학생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 수업 활용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20

      17 김희삼, "원격교육 상황에서의 기초학력 보장과 교육격차 완화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20

      18 박경옥 ; 오정숙, "온라인 수업 설계・운영 시 특수교사의 역할과 고려사항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4 (64): 143-165, 2021

      19 윤태영, "영국의 에듀테크 지원 정책 전략 분석과 적용 현황" 한국교육개발원 2020

      20 김현준, "미국의 COVID-19 대응 원격학습 현황과 시사점: 학부모, 학생 면담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20

      21 김태완, "뉴노멀 시대 미래교육 방향과 과제" 한반도선진화재단 2020

      22 이현청, "기술과 교육의 만남 : 에듀테크"

      23 ZDF, "Terra X plus Schule"

      24 Oak National Academy, "Specialist Classroom"

      25 Department of Education, "Questions and Answers on Providing Services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Outbreak"

      26 UNESCO, "Disatance learning strategies in responses to COVID-19 school closure" 2 (2): 2020

      27 Citizens Advice, "Coronavirus - if you need to be offwork to care for someone"

      28 Corona School, "Corona School e.V"

      29 Department for Education, "Catch-up premium: coronavirus(COVID-19)"

      30 Law, N., "Assessing the effects of ICT in education – Indicators, criteria and benchmarks for international comparisons" OECD 143-164, 2010

      31 ARD, "ARD MEDIATHEK"

      32 OECD, "A framework to guide an educatio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of 2020"

      33 교육부, "2021학년 새 학기 대비 장애학생 교육지원 방안" 교육부 2021

      34 김실다, "2021년, 영국의 특수교육은 코로나19 상황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 28 (28):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