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河西 金麟厚의 여성관 = A Study on View of Womanhood Appeared in Haseo Kim In-hu's Literary 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825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하서 김인후의 사문에 나타난 여성관을 살펴봄으로서 작가 김인후를 재인식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서는 왕실의 여성과 열반 상층의 여성을 분리하여, 전자는 시경 국풍의 편을 대아...

      본고는 하서 김인후의 사문에 나타난 여성관을 살펴봄으로서 작가 김인후를 재인식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서는 왕실의 여성과 열반 상층의 여성을 분리하여, 전자는 시경 국풍의 편을 대아의 편과 결합시켜 왕과 함께 국가 통치의 양 축을 이루는 존재로, 후자는 가정의 남녀, 상하, 존비, 귀천 사이의 화합을 만드는 평화의 조정자로 그 역할을 부여하고 있다. 그가 제시한 이상적인 여성성의 두 핵심어 和와 靜은 『소학』에서 특별히 남성에게 부여된 특성이라는 점에서 여성을 군자나 남성과 구분하지 않으려 했던 그의 의식이 드러난다. 여성을 교화의 대상으로 간주한 『소학』과 달리, 자선이 직접 홀로 남겨진 여성의 입장에서 진실을 체험하는 주체가 된 시를 남긴 점도 하서의 여성관이 『소학』의 틀속에서 기계적인 이념으로 고착화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도학사상을 하서 문학 연구의 기본적 출발로 삼는 시각의 재검토가 필요함을 말해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making dear Kim In-hu(l510-1560)'s thought on woman's social position, role and identity implied in his literary works. Its ultimate goal, however, is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Kim In-hu himself, not as a Confuci...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making dear Kim In-hu(l510-1560)'s thought on woman's social position, role and identity implied in his literary works. Its ultimate goal, however, is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Kim In-hu himself, not as a Confucian scholar, but as a human being not revealed so far under his prominent achievement of the profound scholarship. This study was attempted by the basic assumption that his learning of Way dohak was based upon the oudooks on human beings which could nor be discussed without deep consideration and close examination on woman's nature and status. As a result it is proved that Kim In-hu seems to consider royal female's role very crucial in governing country; nevertheless, he does not attribute all the responsibilities of its rise and fall to woman only. Although the focus of Kim In-hu's dohak, it is said, was changed later from Great Learnig Daehak to Lesser Learning Sohak, his viewpoint on woman could not be separated from Sohak in terms that the matters concerning woman should have been related all the time to concrete real life. It is true, therefore, that as all the researchers assert, Kim In-hu's literary activities made dose connections with the thoughts on Sohak; considering his consciousness on women, however, his perspective was not mechanically fixed by inflexible and dosed Confucian ideology, and it can be an important basis and due understanding his literary world. The point becomes more obvious in the regard that frugality and harmony as well as calmness and peacefulness which he thought are indispensable elements as virtues of woman are just identical with those given to son and husband in Sohak. It is likewise confirmed by the facts that he tried to have himself experience the reality and truth of the forlorn or left alone woman as subject, not as an object of education and enlightenment, different from Sohak's perspectives, which consider most important the chastity and faithfulness of women against enforcement of remarriage or threat of sexual violence. Thus it could be safely concluded that Kim In-hu was not the one who followed the given messages of Sohak mechanically and literally, but rather the one who received only its basic conception. It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reconsideration of the past ideological approach both to his literary works and Kim In-hu himself from the standpoint of his dohak as the basic starting poi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여성을 보는 이원적 기준
      • 3. 하서가 그려는 이상적 여성성
      • 4. 소학적 여성상과의 거리와 인간 하서의 재인식
      • 5. 결론
      • 1. 서론
      • 2. 여성을 보는 이원적 기준
      • 3. 하서가 그려는 이상적 여성성
      • 4. 소학적 여성상과의 거리와 인간 하서의 재인식
      • 5. 결론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