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직진단기반 문제해결워크숍이 조직문화 변화에 미치는 영향 : P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7358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orkshop on Organizational Culture Change : A Case of Company 'P'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lue of the sustainable consulting and education programs coupled with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diagnosis-base...

      Workshop on Organizational Culture Change
      : A Case of Company 'P'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lue of the sustainable consulting and education programs coupled with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diagnosis-based consulting. Reviewing many literatures for the building of theoretical framework, research model and experiential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he pre-and post-survey to find out the causality between the consulting education based on a organizational diagnosis and the managerial performances of each departments of a company 'P' were implemen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pre-survey show high competency quality in all organizational diagnosing variables except reward. A between group analysis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organizational goal, while no other organizational diagnosis variable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partments.
      Second, through the post-surve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rganizational diagnosis and competency evaluation among the groups were found.
      Third, the results of pre-survey indicate that most of the organizational diagnosing variables except the organizational goa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job satisfaction; however, understanding of the organizational goal and participation for them does not.
      Forth, the analysis of post-survey show that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significant in all the organizational diagnosing variables.
      Fifth, the results of pre-survey indicate that most of the organizational diagnosing variables such as reward, leadership, support system, and change-orientatio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ost-survey, the support system,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the human relationship influence to the job satisfaction.
      Finally,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 and post-survey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ganizational diagnosing variables suggesting the consulting education is effective.
      This study would make some contributions to the knowledge about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its dependent variables in the organizational diagnosi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 basic model for enhancing management performances and facilitating organizational changes through a organizational diagno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 목 차
      • Ⅰ. 서 론 1
      •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2
      • Ⅱ. 이론적 고찰 5
      • 제1절 조직진단 5
      • 1. 조직진단의 개념 5
      • 2. 조직진단의 단계 7
      • 3. 조직진단의 방법 8
      • 1) 설문조사 8
      • 2) 면접조사 8
      • 3) 관찰조사 9
      • 4) 2차적 분석 9
      • 5) 워크숍 및 집단토의 9
      • 제2절 조직진단의 기법 10
      • 1. 조직진단의 이론적 틀 10
      • 2. 조직진단의 접근모형 11
      • 1) 행동과학 모형 11
      • 2) 특정관심 모형 13
      • 3) 종합적 모형 14
      • 3. 진단모형 및 진단변수 14
      • 1) 리빗(Leavitt)의 모형 : 조직체계 모형(diamond model) 14
      • 2) 내들러(D. A. Nadler)의 적합모형(congruence model) 15
      • 3) 티쉬(Tichy)의 TPC(technical, political and cultural)모형................... 17
      • 4) 버크-리트윈 모형(Burke-Litwin model) 20
      • 5) McKinsey의 7S 모형 22
      • 6) 헤리슨의 모형(Harrison model) 26
      • 7) 반데벤과 페리(Van De Ven and Ferry)의 OAI의 조직평가지표 27
      • 8) Porras와 Robertson의 모형 31
      • 9) Weisbord의 여섯 상자(Six-Box) 모형 33
      • 제3절 조직진단과 조직문화 변화와의 관계 연구 36
      • 1. 조직문화의 정의 36
      • 2. 조직진단과 조직문화의 변화 36
      • 3. 조직문화와 성과간의 관계 38
      • 4. 조직진단 사례연구 40
      • 1) LG ENT사 40
      • 2) 삼성전자 41
      • 3) 삼양사 41
      • 4) KPI(한국인사관리협회) 41
      • 5) 엑스퍼트 컨설팅 42
      • 6) KT(한국통신) 42
      • 7) IBM 43
      • Ⅲ.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45
      • 1. 연구모형의 설계 45
      • 2. 연구가설의 설정 46
      • Ⅳ. 조사설계 49
      • 1. 변수의 정의와 측정 49
      • 2. 조사대상의 설정과 자료수집 56
      • 3. 표본의 특성분석 57
      • Ⅴ. 실증분석 60
      • 1. 측정항목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 60
      • 2. 연구가설의 검정과 분석 67
      • 1) 사전조사 연구가설 1의 검정과 분석 67
      • 2) 사후조사 연구가설 1의 검정과 분석 68
      • 3) 사전조사 연구가설 2의 검정과 분석 71
      • 4) 사후조사 연구가설 2의 검정과 분석 71
      • 5) 사전조사 각 부서별 연구가설 2의 검정과 분석 73
      • 6) 사후조사 각 부서별 연구가설 2의 검정과 분석 73
      • 7) 사전-사후 연구가설 3의 검정과 분석 79
      • Ⅵ. 결 론 81
      • 1. 요약 81
      • 2. 연구의 시사점 84
      • 3. 연구의 한계점 84
      • 4. 향후 연구방향 85
      • <참고문헌> 87
      • 91
      • <설 문 지> 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