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GIS 및 RS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 = Evaluation of Landslide Susceptibility Using GIS and 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50350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금호강 유역을 대상으로 GIS와 윈격탐사기법을 활용하여 산사태 취약성의 예측과 지도화를 수행하자 한다. 산사태 영향인자인 사면경사, 사면방4향, 지질, 토지이용도, 식생지수(ND...

      본 연구는 금호강 유역을 대상으로 GIS와 윈격탐사기법을 활용하여 산사태 취약성의 예측과 지도화를 수행하자 한다. 산사태 영향인자인 사면경사, 사면방4향, 지질, 토지이용도, 식생지수(NDVI)의 공간데이터베이스는 30m×30m 해상도로 구축하였다. 산사태 취약성은 중첩분석과 한산평가 매트릭스 방법으로 예측하였고, 6개 범주(안정, 매우 낮음, 낮음, 중간, 높음, 매우 높음)로 구분한 산사태 취약성 지도를 제작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산사태 취약성이 '매우높은' 지역은 전체 대상지의 약 0.3% 정도를 차지하며, 이들 지역은 주로 높은 경사TA와 낮은 식생지수를 가지는 산림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predicting and mapping of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in the Geumho river watershed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techniques. We constructed the spatial database of affecting factors such as slope angle, slope aspect, lithology, lan...

      This study aims at predicting and mapping of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in the Geumho river watershed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techniques. We constructed the spatial database of affecting factors such as slope angle, slope aspect, lithology, landuse, and vegetation index (NDVI) at a 30mx30m resolution.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of the study area was predicted through overlay analysis and adding up estimation matrix, and the predicted map of landslide susceptibility with six categories (stable, very low, low, moderate, high, very high) was constructed. As the results, it showed that the very high susceptibility zones made up approximately 0.3% of the total study area, and these zones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forest area with the high slope angle and low vegetation index.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표고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산사태 위험평가의 기초적 연구" 13 (13): 211-218, 1993

      2 "지형데이타 해석에 따른 산사태 위험지역 선정기법" 147-154, 1994

      3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기법 개발 및 적용연구" 1992

      4 "예측비율곡선을 이용한 GIs기반 산사태 예측 모델의 정량적 비교" 17 (17): 199-210, 2001199-210

      5 "산사태의 발생요인과 재래 예지방법연구" 9 (9): 107-124, 1997

      6 "산사태 예측 및 방지기술연구" 한국자원연구소 2000

      7 "산사태 예보와 위험지 판정기술 방재연구" 3 (3): 15-27, 2001

      8 "산사태 발생가능지 예측을 위한 GIS의 적용" 5 (5): 38-47, 2002

      9 "산사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GIS이용" 3 (3): 81-90, 1995

      10 "산사태 공간 정보시스템 개발 및 산사태 공간 정보의 활용" 8 (8): 141-153, 2000

      1 "표고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산사태 위험평가의 기초적 연구" 13 (13): 211-218, 1993

      2 "지형데이타 해석에 따른 산사태 위험지역 선정기법" 147-154, 1994

      3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기법 개발 및 적용연구" 1992

      4 "예측비율곡선을 이용한 GIs기반 산사태 예측 모델의 정량적 비교" 17 (17): 199-210, 2001199-210

      5 "산사태의 발생요인과 재래 예지방법연구" 9 (9): 107-124, 1997

      6 "산사태 예측 및 방지기술연구" 한국자원연구소 2000

      7 "산사태 예보와 위험지 판정기술 방재연구" 3 (3): 15-27, 2001

      8 "산사태 발생가능지 예측을 위한 GIS의 적용" 5 (5): 38-47, 2002

      9 "산사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GIS이용" 3 (3): 81-90, 1995

      10 "산사태 공간 정보시스템 개발 및 산사태 공간 정보의 활용" 8 (8): 141-153, 2000

      11 "사면안정성 조사와 피해경감을 위한 기초조사" 국립재방연구소 1998

      12 "사면붕괴의 유형별 원인과 저감대책 연구" 국립방재연구소 2002

      13 "도시계획지역 내 농경지의 잔여경관요소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평가 및 보존방안" 31 (31): 31-42, 2003

      14 "다목적실용위성과 공간정보를 이용한 산사태 예측 기법 비교연구" 2001

      15 "Three Bayesian prediction models for landslide hazard ofIntetnational Association for Mathematical Geology Annual Meeting" 204-7 211, 1998

      16 "Landslide hazard assessment in the Three Gorges area of the Yangtze river using ASTER imagery" 61 : 171-61 187, 2004

      17 "Landslide hazard analysis for Hong Kong using landslide inventory and GIS" 30 (30): 429-443, 2004

      18 "Landslide characteristics and slope instability modeling using GIS" 42 : 213-42 228, 2002

      19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기법개발" 65 : 1-10, 2002

      20 "GIS를 이용한 광역 지질재해 분석연구" 한국원격탐사학회 7 165-178, 1991

      21 "GIS-based spatial analysis and modeling for landslide hazard assessment in steeplands" 103 : 165-176, 2004

      22 "GIS 및 RUSLE 기법을 활용한 금호강 유역의 토양침식위험도 평가" 6 (6): 24-36,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8 0.9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