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Massive MIMO WPCN에서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안테나 수 최적화 기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632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mass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기반의 wireless powered communication network (WPCN)에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지국 안테나 수 최적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본 논문에서는 mass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기반의 wireless powered communication network (WPCN)에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지국 안테나 수 최적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massive MIMO 시스템의 채널 hardening 특성을 이용하여 채널 이득을 안테나 수에 대한 식으로 근사한다. 그리고 근사화 된 최적화 문제에 편미분을 적용한 후 Lambert-W 함수를 이용하여 최적해를 closed form으로 찾는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의 근사 과정과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적절함을 보이고, closed form 해가 exhaustive search 방법으로 찾은 해와 오차가 크지 않음을 확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introduce an optimization of the number of base station antennas in mass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wireless powered communication network (WPCN). We use channel hardening property of massive MIMO system to approximate channel gain in...

      We introduce an optimization of the number of base station antennas in mass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wireless powered communication network (WPCN). We use channel hardening property of massive MIMO system to approximate channel gain in terms of the number of base station antennas. Then, we find an optimal solution by partial differential and obtain a closed form solution by using Lambert-W func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approximation and the method of solving the optimization problem are reasonable, and the optimal solution of proposed scheme is almost identical to the optimal number of base station antennas by the exhaustive search meth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시스템 모델과 에너지 효율
      • Ⅲ.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하이브리드 기지국 안테나 수 최적화 기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시스템 모델과 에너지 효율
      • Ⅲ.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하이브리드 기지국 안테나 수 최적화 기법
      • Ⅳ. 모의실험 결과
      • Ⅴ.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승규,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하향링크 채널에서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기지국 활성 안테나 수 최적화 기법" 대한전자공학회 51 (51): 29-34, 2014

      2 A. Rahmati, "Understanding Human-Battery Interaction on Mobile Phones" 2007

      3 H. Ju, "Throughput Maximization in Wireless Powered Communication Networks" 13 (13): 418-428, 2014

      4 O. Arnold, "Power Consumption Modeling of Different Base Station Types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Future Network and Mobile Summit 2010

      5 T. L. Marzetta, "Noncooperative Cellular Wireless with Unlimited Number of Base Station Antennas" 9 (9): 3590-3600, 2010

      6 윤은정, "MPPT 제어기능을 갖는 마이크로 빛에너지 하베스팅 회로" 대한전자공학회 50 (50): 105-113, 2013

      7 X. Chen, "Energy-Efficient Optimization for Wireless Information and Power Transfer in Large-Scale MIMO Systems Employing Energy Beamforming" 2 (2): 667-670, 2013

      1 최승규,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하향링크 채널에서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기지국 활성 안테나 수 최적화 기법" 대한전자공학회 51 (51): 29-34, 2014

      2 A. Rahmati, "Understanding Human-Battery Interaction on Mobile Phones" 2007

      3 H. Ju, "Throughput Maximization in Wireless Powered Communication Networks" 13 (13): 418-428, 2014

      4 O. Arnold, "Power Consumption Modeling of Different Base Station Types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Future Network and Mobile Summit 2010

      5 T. L. Marzetta, "Noncooperative Cellular Wireless with Unlimited Number of Base Station Antennas" 9 (9): 3590-3600, 2010

      6 윤은정, "MPPT 제어기능을 갖는 마이크로 빛에너지 하베스팅 회로" 대한전자공학회 50 (50): 105-113, 2013

      7 X. Chen, "Energy-Efficient Optimization for Wireless Information and Power Transfer in Large-Scale MIMO Systems Employing Energy Beamforming" 2 (2): 667-670,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KCI등재
      2014-01-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전자공학회 논문지 -> 전자공학회논문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전자공학회 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2 0.19 0.427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