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H 4.3에서 재광화 용액의 포화도에 따른 인공 탈회된 법랑질의 동력학적 변화 = THE DYNAMIC CHANGE OF ARTIFICIALLY DEMINERALIZED ENAMEL BY DEGREE OF SATURATION OF REMINERALIZATION SOLUTION AT pH 4.3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168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법랑질의 재광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PH, 불소 농도, 포화도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산 완충 탈회용액을 이용하여 법랑질 시편을 인공 탈회시킨 후, pH 4.3에서 포화도를 0.22, 0.30, 0....

      법랑질의 재광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PH, 불소 농도, 포화도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산 완충 탈회용액을 이용하여 법랑질 시편을 인공 탈회시킨 후, pH 4.3에서 포화도를 0.22, 0.30, 0.35로 달리한 세가지 재광화 용액에 10일간 처리하여 나타나는 변화를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전체 탈회 깊이와 건전 표층 폭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Image program (Scion Image analyzer)을 이용하여 병소 부위의 평균 mineral density를 측정하여 탈회와 재광화 후 무기질 변화량을 통해 인공 탈회된 법랑질의 동력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1 재광화 후 모든 군에서 건선 표층의 폭이 증가하였는데, 포화도가 증가할수록 건전 표층 폭이 증가하였다 (P< .05)
      2 재광화 후 mineral density 변화를 관찰한 결과 포화도가 낮은 군에서는 이온의 침착이 병소 전반적으로 일어났으나, 포화도가 높은 군에서는 건전 표층 부위와 표층하 병소의 하층부에서 이온의 침착으로 mineral density 가 증가하였고 표층하 병소의 상층부에서는 탈회가 진행되어 mineral density가 감소하였다.
      3 재광화 후 모든 군에서 무기질량이 증가하였고 전체 탈회 깊이도 증가하였으나 각 군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본 실험에서 인공 탈회된 시편을 pH 4.3인 재광화 용액에 처리시 포화도가 높을수록 건전 표층에서 더 많은 재광화 현상이 일어났고 표층하 병소에서는 재광화 현상이 적게 일어났으며 재광화 후 모든 군에서 전체 탈회 깊이는 증가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and compare the dynamic change of artificially demineralized enamel by remineralization solutions of different degrees of saturation at pH 4.3 In this study, 30 enamel specimens were demineralized artificiall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and compare the dynamic change of artificially demineralized enamel by remineralization solutions of different degrees of saturation at pH 4.3
      In this study, 30 enamel specimens were demineralized artificially by lactic acid buffered solution. Each of 10 specimens was immersed in pH 4.3 remineralization solution of three different degrees of saturation (0.22, 0.30, 0.35) for 10 days. After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images were taken by a polarizing microscope (× 100). The density of lesion were determined from images taken after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During remineralization process, mineral deposition and mineral loss occurred at the same time. After remineralization total mineral amount and width of surfacc lesion increased in all groups. The higher degree of saturation was, the more mineral deposition occurred in surface lesion and the amount of mineral deposition was not much in subsurfacc lesion. Total demineralized depth increased in all group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원섭, "인공 치아 우식의 재광화에 미치는 불 소의 영향" 21 : 161-173, 1996

      2 박성호, "유산 완충액을 이용한 인공 치아 우식 의 형성에 미치는 산의 농도와 pH 에 관한 연구" 18 : 277-290, 1993

      3 박정원, "유기산 완충 용액의 포화도가 법랑질 및 상아질의 재광화에 미치는 영향과 산화 인회석의 AFM 관찰" 25 : 459-473, 2000

      4 권중원, "완충 용액의 유산 농도와 pH가 법랑질의 재광 화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5 이찬영, "산 완충 용액을 이용한 인공 치아 우식 형성" 7 : 34-41, 1992

      6 김민경, "법랑질 인공우식의 재광화에 미치는 pH의 영향에 관한 연구" 22 : 193-208, 1997

      7 Aoba T, "X-ray diffraction study on remineralization using systhetic hydroxyapatite pellets" 12 : 223-230, 1978

      8 Nikiforuk G, "The use of topical fluoride. Understanding dental caries Vol. 11. Prevention" Karger 63-86, 1985

      9 Groeneveld A, "The mineral content of decalcified surface enamel. A combined microprobe-quantitative microradiography study" 8 (8): 267-274, 1974

      10 Nancollas GH, "The kinetics of crystal growth" 18 : 1-20, 1964

      1 한원섭, "인공 치아 우식의 재광화에 미치는 불 소의 영향" 21 : 161-173, 1996

      2 박성호, "유산 완충액을 이용한 인공 치아 우식 의 형성에 미치는 산의 농도와 pH 에 관한 연구" 18 : 277-290, 1993

      3 박정원, "유기산 완충 용액의 포화도가 법랑질 및 상아질의 재광화에 미치는 영향과 산화 인회석의 AFM 관찰" 25 : 459-473, 2000

      4 권중원, "완충 용액의 유산 농도와 pH가 법랑질의 재광 화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5 이찬영, "산 완충 용액을 이용한 인공 치아 우식 형성" 7 : 34-41, 1992

      6 김민경, "법랑질 인공우식의 재광화에 미치는 pH의 영향에 관한 연구" 22 : 193-208, 1997

      7 Aoba T, "X-ray diffraction study on remineralization using systhetic hydroxyapatite pellets" 12 : 223-230, 1978

      8 Nikiforuk G, "The use of topical fluoride. Understanding dental caries Vol. 11. Prevention" Karger 63-86, 1985

      9 Groeneveld A, "The mineral content of decalcified surface enamel. A combined microprobe-quantitative microradiography study" 8 (8): 267-274, 1974

      10 Nancollas GH, "The kinetics of crystal growth" 18 : 1-20, 1964

      11 Darling AI, "Studies of the early lesion of enamel caries with transmitted light, polarized light and radiography" 6 : 289-341, 1956

      12 Darling AI, "Studies of the early lesion of enamel caries its nature, mode of spread and points of entry" 8 : 119-135, 1958

      13 Haikel 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the human enamel surface layer of incipient caries lesions" 17 (17): 1-13, 1983

      14 Silverstone LM, "Remineralization phenomena" 11 : 59-84, 1977

      15 Cate JM, "Remineralization of artificial enamel lesions in vitro. IV. Influence of fluorides and diphophates on short and long term remineralization" 15 : 60-69, 1981

      16 Cate JM, "Remineralization of artificial enamel lesions in vitro" 11 : 277-, 1977

      17 Featherstone JDB, "Relative rates of progress of artificial caries lesions in bovine, ovine and human enamel" 15 (15): 109-114, 1981

      18 Silverstone LM, "Re-mineralization of natural and artificial lesions in human dental enamel in vitro effect of calcium concentration of the calcific fluid" 15 : 138-157, 1981

      19 Backer, Dirks O, "Posterupted changes in dental enamel" 45 : 503-511, 1966

      20 Featherstone JDB, "Physicochemical requirements for rapid remineralization of early carious lesions" 15 : 221-235, 1981

      21 Margolis HC, "Physicochemical perspectives on the cariostatic mechanisms of systemic and topical fluorides" 69 : 606-613, 1990

      22 Margolis HC, "Kinetic and thermodynamic aspect of enamel demineralization" 19 : 22-35, 1985

      23 White DJ, "Kinetic and physical aspects of enamel remineralization-A constant composition study" 22 : 11-19, 1988

      24 Lammers PC, "Influence of fluorid on in vitro remineralization of artificial subsurface lesions determined with a sandwich technique" 24 : 81-, 1990

      25 Nikiforuk G, "Formation, structure and metabolism of dental plaque. Understanding dental caries Vol. 1 Etiology and Mechanism" Karger 119-157, 1985

      26 Margolis HC, "Effect of low levels of fluoride in solution on enamel demineralization" 65 : 23-29, 1986

      27 Amjad Z, "Effect of fluoride on the growth of hydroxyapatite and human dental enamel" 13 : 250-258, 1979

      28 Theuns HM, "Driessens FCM, Groeneveld A. Effect of the pH of buffer solution on artificial carious lesion formation in human tooth enamel" 18 : 7-11, 1984

      29 Margolis HC, "Development of carious-like lesions in partially saturated lactate buffers" 19 : 36-45, 1985

      30 Varughese, "Crystal growth of calcium apatites in dilute solutions containing fluorides" 33 (33): 431-439, 1981

      31 Featherstone JDB, "Comparison of artificial caries like lesions by quantitative microradiography and microhardness profiles" 17 : 385-391, 1983

      32 Anderson BG, "Clinical study of arresting dental caries" 17 : 443-452, 1938

      33 Moreno EC, "Chemistry of enamel subsurface demineralization in vitro" 53 : 226-235, 1974

      34 Head JA, "A study of saliva and its action on tooth enamel in reference to its hardening and softening" 59 : 2118-2122, 1912

      35 Featherstone JDB, "A Mechanism for dental caries based on chemical process and diffusion phenomena during in-vitro caries simulation on human tooth enamel" 24 : 101-112, 19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5 0.25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9 0.448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