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회심리적 건강측정도구를 이용한 동일 직장 내 생산직과 사무직 근로자의 스트레스 수준 평가 = Stress Level of Blue and White Collar Workers in a Company Assessed with Psychosoical Well-being Inde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1044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정신적 건강은 근로자의 건강관리에서 신체적 건강 못지 않게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의 수준을 평가함으로씨 근로자의 정신건강 관리에 ...

      목적: 정신적 건강은 근로자의 건강관리에서 신체적 건강 못지 않게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의 수준을 평가함으로씨 근로자의 정신건강 관리에 일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및 재료: 개인보다는 집단적 분석에 용이하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사회심리적 건강측정도구(Psychosocial well-being index, PWI)를 이용하여 1998년 8월부터 11월까지 근무환경이 비교적 좋은 부산시내 1개 제조업 근로자 186명(사무직 91명, 생산직 95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수준을 평가하였다.
      결과: 전체적인 PWI 수준은 37.3±14.9로 낮은 편이었으며 특성별로는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 낮았지만(p<0.05), 사무직과 생산직 근로자 간의 전체 PWI 수준은 차이가 없었다. 생산직 근로자에서는 젊은 연령층, 미혼, 근무경력이 짧은 군에서, 사무직 근로자에서는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서 각각 PWI 수준이 높아(p<0.05)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에 차이를 보였다. PWI의 구성요인별 스트레스 수준은 작업교대를 하는 경우 사회적 역할수행 및 자기신뢰도 요인이, 젊은 연령층에서 우울증 요인이,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서 수면장애 및 불안 요인이, 결혼하지 않은 경우 일반건강 및 생명력 요인이 각각 높아(p<0.05) 영향을 받는 요인에서 차이를 보였다. 다변량 분석 결과 설명력은 작았지만 전체적으로는 젊은 연령층, 규칙적인 운동을 않는 경우, 작업교대를 하는 경우(R2=0.068), 사무직 근로자에서는 규칙적인 운동을 않는 경우(R2=0.076), 생산직 근로자에서는 근무경력이 짧은 경우가(R2=0.128) 각각 스트레스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관찰되었다(p<0.05).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타연구에 비하여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수준이 낮고 일반적으로 생산직이 사무직 보다 스트레스 수준이 높다는 견해와 차이를 보여 스트레스의 수준은 생산직, 사무직 그 자체 보다는 작업환경, 근무여건 등에 더 많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이 양 군에서와 PWI의 구성요인 별로 차이를 보이므로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내의 규칙적인 운동 프로그램, 효율적이며 평등한 작업교대 등은 근로자의 전반적인 스트레스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지닐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Stress is a major factor influencing worker's health.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stress level in blue and white collar workers and to propose the helpful advice fit for the worker's situation. Methods and Materials : From August...

      Objective : Stress is a major factor influencing worker's health.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stress level in blue and white collar workers and to propose the helpful advice fit for the worker's situation.
      Methods and Materials : From August to November 1998, stress level was measured on 91 white collar workers and 95 blue collar workers in a company through Psychosocial Well-being Index(PWI).
      Results: PWI score in total was relatively lower as 37.3±14.9, and it had no difference between blue and white collar workers, except lower in regular exorcise group(p<0.05). In blue collar workers, it was higher in younger age, unmarried, short tenure group (p<0.05). In white collar workers, it was lower in regular exercise group (p<0.05).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that increasing stress level weve younger age, no regular exercise, job shift in total workers(R2=0.068), shorter tenure in blue collar workers(R2=0.128) (p<0.05), and no regular exercise in white collar workers(R2=0.076).
      Conclusion : It considered that the stress level maybe mainly depend on work environment and situation rather than blue and white collar, itself. Therefore, the control program should be prepared based on the worker' s situation. Regular exercise and balanced job shift is recommened to improve well-being of work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 Ⅱ.연구 대상 및 방법
      • A.연구 대상
      • B.연구 방법
      • Ⅲ.결과
      • Ⅰ.서론
      • Ⅱ.연구 대상 및 방법
      • A.연구 대상
      • B.연구 방법
      • Ⅲ.결과
      • A.조사 대상자의 특성
      • B.대상자의 특성별 PWI 수준
      • C.대상자의 특성별 PWI 구성 요인의 수준
      • D.PWI와 PWI 구성 요인간의 상관관계
      • E.PWI에 의한 스트레스의 수준 비교
      • F.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변량 분석
      • Ⅳ.고찰
      • Ⅴ.결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