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동신문 텍스트 분석을 통한 북한의 ‘중국특색사회주의’ 수용 태도 분석 = An Analysis of North Korea’s attitude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through automated text analysis over Rodong newspaper artic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54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North Korea’s attitude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through automated text analysis over Rodong newspaper articles.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by applying the main analysis technique of text mining are a...

      This study investigates North Korea’s attitude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through automated text analysis over Rodong newspaper articles.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by applying the main analysis technique of text mining are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shows that words such as celebration of national events, emphasis on dictatorship, criticism of the United States, and evaluation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were searched with high frequency. Second, using LDA topic modeling, four topics were selected, including ‘policy performance’, ‘North Kore-China friendship’, ‘emphasis on ideology’, and ‘relationship with the U.S.’ Looking at the topic trend, ‘policy performance’ has appeared frequently since 2019, and recently, content related to bridging th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has been emphasized. It was found that “North Korea-China Friendship”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before and after national events such as the North Korea-China summit and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e “Emphasis on ideology” has been reported very often over the entire period,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closer ideological commonality between two countries. Finally, “U.S. relations” usually appear after the failure of the North Korea-U.S. submit in Hanoi, showing disappointment with the U.S. and close ties with China. In sum, North Korea seems to highly evaluate the achievements of the Xi Jinping’s “Chinese socialism with characteristic for a New Era” and to regard it as homogeneous in terms of ideolo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동신문 기사의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최근 북한의 ‘중국특색사회주의’의 수용 태도를 분석하였다. 2017년 10월∼2021년 12월까지 노동신문 기사 중에서 ‘중국특색사회주의’...

      본 연구는 노동신문 기사의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최근 북한의 ‘중국특색사회주의’의 수용 태도를 분석하였다. 2017년 10월∼2021년 12월까지 노동신문 기사 중에서 ‘중국특색사회주의’와 ‘공동부유’ 키워드가 본문 또는 제목에 포함된 81건의 기사를 텍스트 마이닝의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 결과 국가행사에 대한 축하, 1인 독재 강조, 미국 비난, 중국특색사회주의 평가 등과 연관된 단어가 높은 빈도로 검색되었다. 둘째, 토픽모델을 이용하여 4개의 주요 토픽을 선정하고 각각 추이를 살펴본 결과, 우선 ‘정책성과’는 2019년 이후 자주 등장하였고 중국의 도농 간의 격차 해소와 관련된 내용이 강조되고 있다. 다음으로 ‘조중친선’은 북중 정상회담, 중국공산당 100주년 기념일과 같은 국가행사를 전후하여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리고 ‘사상강조’는 전 기간에 걸쳐 매우 높은 빈도로 보도되고 있는데, 이는 북중간 사상적으로 더욱 긴밀해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미관계’는 하노이 북미회담 실패 이후 주로 등장하는데, 이는 미국에 대한 실망감과 중국과의 밀착을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북한은 불평등 해소를 강조하는 시진핑 시기의 ‘중국특색사회주의’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사상적 측면에서도 동질성이 높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미중 전략 경쟁과 북미 대화단절이라는 대외환경 속에서 외교적으로 중국과의 관계를 더욱 중시하려는 모습이 나타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상언, "파이션 텍스트 마이닝 완벽 가이드" 위키북스 2020

      2 이현태, "중국의 소득불평등과 공동부유" 9 (9): 118-125, 2021

      3 유세희, "중국식 개혁개방 모델의 대북한 적용 가능성 연구" 95 : 13-41, 2002

      4 오대원, "중국 공동부유론 배경 하의 산업규제정책의 의미와 전망" 9 (9): 2021

      5 이현태, "좌회전’하는 중국은 성장과 균형의 딜레마에 빠지는가?"

      6 유현정, "북한의「경제개발구법」에 대한 평가와 전망" 세종연구소 20 (20): 37-59, 2014

      7 이종민, "북한사회변동 2021"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2

      8 임을출, "북한 지역 간 빈부격차 양태와결정요인 분석" 평화문제연구소 28 (28): 91-126, 2016

      9 고유한, "북한 언론 현황과 기능에 관한 연구"

      10 박종희 ; 박은정 ; 조동준, "북한 신년사(1946-2015)에 대한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 한국정치학회 49 (49): 27-62, 2015

      1 박상언, "파이션 텍스트 마이닝 완벽 가이드" 위키북스 2020

      2 이현태, "중국의 소득불평등과 공동부유" 9 (9): 118-125, 2021

      3 유세희, "중국식 개혁개방 모델의 대북한 적용 가능성 연구" 95 : 13-41, 2002

      4 오대원, "중국 공동부유론 배경 하의 산업규제정책의 의미와 전망" 9 (9): 2021

      5 이현태, "좌회전’하는 중국은 성장과 균형의 딜레마에 빠지는가?"

      6 유현정, "북한의「경제개발구법」에 대한 평가와 전망" 세종연구소 20 (20): 37-59, 2014

      7 이종민, "북한사회변동 2021"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2

      8 임을출, "북한 지역 간 빈부격차 양태와결정요인 분석" 평화문제연구소 28 (28): 91-126, 2016

      9 고유한, "북한 언론 현황과 기능에 관한 연구"

      10 박종희 ; 박은정 ; 조동준, "북한 신년사(1946-2015)에 대한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 한국정치학회 49 (49): 27-62, 2015

      11 백승헌, "북한 매체 논조의 계량화를 통한 북한경제 변수와의 상관관계 검토: 김정은 시기를 중심으로" 59 (59): 53-81, 2020

      12 김연철, "북한 경제개혁연구" 후마니타스 195-222, 2002

      13 임수호, "북한 ‘사회주의 전면발전론’의 의미와 시사점" INSS 2022

      14 김수현, "북한 ‘경제연구’로 분석한 경제정책 변화: 텍스트마이닝 접근법"

      15 양문수,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개혁 조치: 중국과 비교의 관점" 아세아문제연구원 59 (59): 114-159, 2016

      16 이홍규, "국공산당과 공동부유 슬로건의 함의와 그 정치적 미래" 9 (9): 111-, 2021

      17 习近平, "扎实推动共同富裕"

      18 新华网, "习近平对新时代民营经济统战工作作出重要指示"

      19 习近平, "中共中央关于制定国民经济和社会发展第十四个五年规划和二〇三五年远景目标的建议 的说明"

      20 中国共产党 中央委员会, "中共中央关于全面深化改革若干重大问题的决定"

      21 "http://www.gov.cn/xinwen/2020-11/03/content_5556997.htm"

      22 Noland, Marcus, "Why North Korea Will Muddle Through" 76 (76): 105-118, 1997

      23 Andrew Batson, "The State Never Retreats"

      24 Arthur Kroeber, "Taking On China’s Venture Capitalist State, Chinese State Capitalism: Diagnosis and Prognosis"

      25 Michael Hirson, "State Capitalism and the Evolution of China, Inc.: Key P olicy Issues for the United States . (Testimony before the U.S.-China Economic and Security Review Commission on China’s Internal and External Challenges"

      26 Chong-En Bai, "Special Deals from Special Investors: The Rise of State-Connected Private Owners in China"

      27 Andrew Batson, "Some Facts about China’s State Capitalism,Chinese State Capitalism: Diagnosis and Prognosis"

      28 Barry Naughton, "Six Factors behind China’s Shift to Grand Steerage, Chinese State Capitalism: Diagnosis and Prognosis"

      29 Barry Naughton, "Rise of China’s Industrial Policy 1978 to 2020" Universidad Nacional Autónoma de México 2021

      30 Margaret Pearson, "Party-State Capitalism in China"

      31 Neil Thomas, "Party Committees in the Private Sector: Rising Presence,Moderate Prevalence"

      32 Zhang, Chunline, "How Much Do State-Owned Enterprises Contribute to China’s GDP and Employment?"

      33 Margaret Pearson, "How Does Party-State Capitalism In China Interact With Global Capitalism"

      34 Gray, K., "Following in China’s footsteps? The political economy of North Korean reform" 30 (30): 51-73, 2017

      35 Barry Naughton, "Engaging China: Fifty Years of Sino-American Relation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1

      36 Xinhuanet, "Chinese vice premier vows unwavering support for private sector"

      37 Milanovic, Branko, "Capitalism, alone: The future of the system that rules the world" Harvard University Press 21-38,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