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玄空(현공) 默庵禪師(묵암선사)의 『義湘祖師法性偈(의상조사법성게)』 科分(과분) 연구 = A Study on the paragraphs and annotations of Uisang - Josa Beopseonggye written by Seon Master, Hyungong Muk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321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義相(혹은 義湘)의 『법계도』에 대한 주석적 연구는 의상의 직제자들에 의해 진행되어 왔다. 이후 명맥을 유지해오던 것이 화엄교학의 중흥기였던 조선후기 有聞의 『法性偈科註』에 의해...

      義相(혹은 義湘)의 『법계도』에 대한 주석적 연구는 의상의 직제자들에 의해 진행되어 왔다. 이후 명맥을 유지해오던 것이 화엄교학의 중흥기였던 조선후기 有聞의 『法性偈科註』에 의해 새롭게 시도된 바 있다. 그런데 최근 玄空默庵禪師의 『義湘祖師法性偈』에 대한 科分, 그리고 간단한 偈頌과 인용경문을 담은 註記를 얻게 되어이를 검토하였다. 먼저 현공의 『의상조사법성게』 과분을 의상의 『법계도』 및 유문의 『법성게과주』와 과분 대조를 시도하였고, 각 과분의 주기에 인용된 경문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현공의 과분 상에 몇 가지 특징이 나타난다. 첫째, 信·解·行·證의 四分科說을 법성게 해석에 적용시킨 점, 둘째, 『大乘起信論』의 관점을 법성게 해석에 적용시킨 점, 셋째, 근대불교학의 관점을 법성게 과분에 적용시킨 점 등이다. 먼저 신·해·행·증의 체계는 『화엄경』의 대표적인 분과설로 통용되었던 것이므로 그것을 법성게 해석에 적용하는 것은 오히려 자연스러운 면이 없지 않다. 다만 마지막에 ‘證分’을 두어 기존의 법성게 과분과 차이점을 두면서 동시에 신·해·행·증의 불교수행체계를 통해 이를 일반적이고 대중적인 입장에서 해석한 것이라 생각된다. 다음으로 『기신론』의 心生滅門에서 사용된 本覺, 始覺 등의 내용이 『법계도』에서 밝힌 ‘증분’의 내용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을지에 대한 것이다. 이를 원효의 『기신론소』에 대한 화엄적 안목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즉 離言眞如의 경우 一法界大總相法門의 체로서 이 진여의 體[體大]가 본각에 해당하며, 무명이 타파됨에 따라 본각의 智淨相은 진여의 自體相[相大], 不思議業相은 진여의 用[用大]으로 전환됨으로써 一心(法性, 法界)과 합일하게 됨을 보았다. 한편 依言眞如의 경우 구경각에 오른 시각의 결과로서 ‘自覺智’를 얻게 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근대불교학의 관점을 통한 법성게 이해이다. 여기서는 법성게의 증분과 교분을 본체론(실상론)과 현상론(연기론)으로 이해하면서도 ‘지증론’을 별도로 제시한 점, 그리고 공간론과 시간론을 통해 우주관을 제시한 점, 이에 대해 인생관 (인간론 혹은 수증론)에 해당하는 내용을 함께 대비한 점을 살펴보았다. 이로써 현공은 『화엄경』의 신·해·행·증의 체계를 불교사상의 핵심으로 하여 종교, 철학, (정신)과학을 종합하고 조화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nnotative studies of Uisang``s Beopgyedo(法界圖) has come a long way owing to his direct disciples and followers. This tradition continued with Yumun``s annotation of the Beopseonggye (Beopseunggye - Goaju, 法性偈科註) in the late Joseon ...

      The annotative studies of Uisang``s Beopgyedo(法界圖) has come a long way owing to his direct disciples and followers. This tradition continued with Yumun``s annotation of the Beopseonggye (Beopseunggye - Goaju, 法性偈科註) in the late Joseon dynasty during the restoration period of Hwaeom(華嚴, C. Huayan). This paper examines the paragraphs and annotations of Uisang``s Beopseonggye (Uisang - Josa - Beopseonggye - Goagi, 義湘祖師法性偈科記) written by Hyungong Mukam (1895~1969, Ju - Il Yun), Seon master in modern Korean Buddhism. In this study, I compare Uisang``s Beopgyedo - gi and Yumum``s Beopseonggye - Goaju, focusing on annotations and paragraphs of Beopseonggye, which is composed of 30 lines and 210 characters. I also consider quotations from Hyungong``s Beopseonggye - Goagi. My findings conclude that there are several characteristics of Hyungong``s paragraphs. Firstly, the theory of Four Paragraphs: Faith(信), Understanding(解), Action(行), Enlightenment(證), of the Hwaeom School, especially in China, was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Beopseonggye. The theory of Four Paragraphs is a typical theory of paragraphs found in the Flower Garland Sutra or the Avatamsaka Sutra (華嚴經), so I think it is natural that it was applied to the paragraphs of the Beops대nggye. However, Hyungong``s Beopseonggye - Goagi set the part of Enlightenment(證分) to the final position, which differs from Uisang and his disciples and Yumun``s paragraphs of the Beopseonggye, that place Enlightenment in the first position. I argue that Hyungong maintains the more general and public position through the practical steps based on the theory of Four paragraphs. Secondly, the viewpoint of Discourse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大乘起信論) was applied to understanding the Beopseonggye. I then question how primal awareness(本覺) and beginning awareness(始覺) in the Discourse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harmonize with the part of Enlightenment of the Beopseonggye. I consider this problem from Hwaeom``s standpoint with special reference to Wonhyo``s commentary of the Discourse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Finally, the viewpoint of modern buddhist studies was used in paragraphs of the Beopseonggye. Hyungong attempts to harmonize Religion, Philosophy, and Science with The Theory of Four Paragraphs; Faith, Understanding, Action, Enlightenment of the Flower Garland Sutr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