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박중독의 병리적 증세와 문제 - 아르투어 슈니츨러의 『마지막 도박』을 중심으로 = Phänomenologie eines Glucksspielers und Probleme der Sucht - Am Beispiel von Arthur Schnitzlers Spiel im Morgengrau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30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문제도박 혹은 병리적 도박의 심리와 증세, 그 심화 과정을 슈니츨러의 『마지막 도박』의 주인공 카스다에 대한 예시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병리적 차원...

      본 논문은 문제도박 혹은 병리적 도박의 심리와 증세, 그 심화 과정을 슈니츨러의 『마지막 도박』의 주인공 카스다에 대한 예시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병리적 차원에서 고찰하고 있다.
      카스다는 흥분 동기로 스릴과 긴장감 넘치는 도박에 임하지만 도박 충동의 필연적 결과로 나타나는 금전 추구의 덫에 빠지면서 결국 자기파멸에 이르는 도박중독의 순차적 과정을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그는 병리적 도박자들의 행위단계인, 승리단계 - 손실단계 - 절망단계의 패턴을 집약하여 노정하면서 도박중독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모습을 하나의 사례연구로 제시할 수 있을 만큼 분명하게 드러내기도 한다. 카스다는 결국 도박중독의 전형적 특성인 자기통제권 상실 단계에 이르러 자신의 문제를 가족과 친척의 문제로 확대시키는 도박중독자의 말로를 여지없이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마지막 도박』을 도박중독자의 전형적 증세 분석의 한 예시로서 소설의 해석적 차원을 확장하여 살펴보고, 이를 통해 병리적 도박의 증상을 이해하고 담론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se Arbeit versucht, die Psychologie und Phänomenologie eines pathologischen Glucksspielers zu erörtern, und zwar insbesondere anhand der Hauptfigur Leutnant Wilhelm Kasda aus Arthur Schnitzlers Erzählung Spiel im Morgengrauen. Kasdas Entwicklung...

      Diese Arbeit versucht, die Psychologie und Phänomenologie eines pathologischen Glucksspielers zu erörtern, und zwar insbesondere anhand der Hauptfigur Leutnant Wilhelm Kasda aus Arthur Schnitzlers Erzählung Spiel im Morgengrauen. Kasdas Entwicklung kann als prototypisch fur einen Spielsuchtigen gelten. Im Anfangsstadium lassen ihn die erzielten Gewinne fast euphorisch werden und das Spielen wertet sein Selbst auf. In der Verlustphase setzt er dann in der trugerischen Hoffnung, den finanziellen Schaden ausgleichen zu können, immer mehr Geld ein. Schließlich gerät er in Verzweiflung und kann sein Verhalten kaum noch kontrollieren. So scheitern beispielsweise seine wiederholten Versuche, das Spielen aufzugeben. Der Kontrollverlust betrifft auch das Sozialverhalten Kadas, der in seiner Verzweiflung seinen Onkel bedrängt, ihm finanziell zu helfen.
      Die vorliegende Analyse von Spiel im Morgengrauen macht die irrationalen Komponenten krankhaften Spielverhaltenspräzise erkennbar und sie erlaubt es, die Pathogenese nachzuvollziehen. Damit fugt sie nicht nur neue Ideen zu den existierenden Interpretationsansätzen zu Schnitzlers Erzählung hinzu, sondern sie bereichert auch den Diskurs uber Spielsucht insgesam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