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몽골 전쟁기 처인성 전투의 발발 요인과 승전의 반향 = The Characteristics and its Affects of the Battle of Cheoin Castle(處仁城) in the Period of Goryeo-Mongol War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said that there is a main performer in war, and actions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 main performer of war, Mongol forces made use of human resources weigh with such as prisoners of war. Therefore, before attacking the b...

      It is said that there is a main performer in war, and actions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 main performer of war, Mongol forces made use of human resources weigh with such as prisoners of war. Therefore, before attacking the big castle(大城), they attacked a small village(小郡) firstly and took the people as prisoner.
      As Mongol advanced to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t a later time, Cheoin Bugok(處仁部曲) was a small village that could take human resources relatively easily. The Salietai(撒禮塔)'s army, which had already taken on human and time damage in Gwangju(廣州), had to take control of several small villages and re-supply human resources. However, Salietai died in Cheoin Castle(處仁城), and the war is over temporarily.
      Cheoin Castle was not a national level operated military base at that time. If nothing remarkable happened, it could only remain as an area where Mongol army wiped out and passed by. However, the victory of Chein castle forced the Goryeo government to understand the situation centered on the battle of Cheoin Castle. 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re could be as many people who were freed from the defense system.
      After the Battle of Cheoin Castle, the Goryeo government is complementing its defense policy in the stance of strengthening the protection of human resources while guaranteeing the capabilities of resistance. It is the echo of the Battle of Cheoin Castle and another significance of the batt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쟁은 수행하는 주체가 있고, 그 행위는 주체의 특성을 반영한다. 몽골이라는 주체는 전투를 수행함에 있어 포로 등 인적 자원을 중요하게 활용하였다. 그렇기에 여러 지역에서 ‘大城’을...

      전쟁은 수행하는 주체가 있고, 그 행위는 주체의 특성을 반영한다. 몽골이라는 주체는 전투를 수행함에 있어 포로 등 인적 자원을 중요하게 활용하였다. 그렇기에 여러 지역에서 ‘大城’을 공략하기 전에 먼저 ‘小郡’을 공격하여, 軍民을 포로로 취하는 행적을 보였다. 몽골이 향후 한반도 남부로 진격해 나감에 있어, 처인부곡은 인적자원을 비교적 쉽게 편취할 수 있는 ‘小郡’이었다. 이미 광주성에서 인적・시간적 손해를 떠안은 撒禮塔軍은 여러 ‘小郡’을 장악해 인적 자원을 재수급해야 했다. 하지만 처인성에서 撒禮塔은 전사하였고, 전쟁의 한 분기가 종결되었다.
      처인성은 국가적으로 운영하고자 했던 거점이 아니었다. 특기할 만한 사안이 발생하지 않으면 그저 몽골이 殘滅하고 지나간 여러 지역 중 하나로 남을 수 있었다. 하지만 승전으로 인해 고려 정부에게는 처인성 전투 중심의 전황 이해가 강제되었다. 그리고 얼마든지 방어체계에서 유리된 이들이 군집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는 계기도 되었다.
      처인성 전투 이후 고려 정부는 항전 역량을 보장할 수 있으면서도, 인적 자원 보호를 강화하는 기조에서 방어 방침을 보완하고 있다. 처인성 전투가 가져온 반향이자, 해당 전투의 또 다른 의의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邊太燮, "「高麗史」의 硏究" 三英社 1983

      2 "金史"

      3 최종석, "한국 중세의 읍치와 성" 신구문화사 2014

      4 Timothy May, "칭기스의 교환 : 몽골 제국과 세계화의 시작" 사계절 2020

      5 최규성, "제5차 여・몽전쟁과 충주산성의 위치 비정" 6 : 1998

      6 이인영, "읍치와 성곽" 민속원 2010

      7 혜안문화재연구원, "용인 처인성Ⅱ―용인 처인성 정비사업부지 내 문화재 시・발굴조사―" 혜안문화재연구원 2020

      8 용인시, "용인 처인성 : 지표조사 보고서"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02

      9 용인시, "용인 처인성 : 시굴조사 보고서"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02

      10 尹龍赫, "여몽전쟁과 강화도성 연구" 혜안 2011

      1 邊太燮, "「高麗史」의 硏究" 三英社 1983

      2 "金史"

      3 최종석, "한국 중세의 읍치와 성" 신구문화사 2014

      4 Timothy May, "칭기스의 교환 : 몽골 제국과 세계화의 시작" 사계절 2020

      5 최규성, "제5차 여・몽전쟁과 충주산성의 위치 비정" 6 : 1998

      6 이인영, "읍치와 성곽" 민속원 2010

      7 혜안문화재연구원, "용인 처인성Ⅱ―용인 처인성 정비사업부지 내 문화재 시・발굴조사―" 혜안문화재연구원 2020

      8 용인시, "용인 처인성 : 지표조사 보고서"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02

      9 용인시, "용인 처인성 : 시굴조사 보고서"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02

      10 尹龍赫, "여몽전쟁과 강화도성 연구" 혜안 2011

      11 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안성시의 역사와 문화유적"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9

      12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서울의 성곽" 서울시사편찬위원회 2004

      13 김성태, "삼각산 중흥산성에 대한 역사고고학적 고찰" 서울역사편찬원 (95) : 205-247, 2017

      14 周采赫, "몽・려전쟁기의 살리타이와 홍복원" 혜안 2009

      15 윤은숙, "몽골제국시대 몽골군의 유목 전법" 한국몽골학회 (28) : 1-29, 2010

      16 플라노 카르피니, "몽골제국기행 : 마르코 폴로의 선구자들" 까치 2015

      17 최윤정, "몽골의 요동·고려 경략 재검토(1211~1259)" 역사학회 (209) : 107-153, 2011

      18 박원길, "몽골비사의 종합적 연구" 민속원 2006

      19 Б.Я.Владимирцов, "몽골 사회 제도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3

      20 Timothy May, "몽골 병법" 대성닷컴 2009

      21 라시드 앗 딘, "라시드 앗 딘의 집사 2 : 칭기스칸기" 사계절 2003

      22 李在範, "대몽항전의 성격에 대하여:계층별 항전을 중심으로" 70 : 2004

      23 홍민호, "고려・몽골 전쟁기 방호별감(防護別監)의 운영과 내륙 입보의 보완" 한국사연구회 (193) : 127-173, 2021

      24 구산우, "고려전기 주현군(州縣軍)의 활동과 지휘" 한국중세사학회 (63) : 155-202, 2020

      25 김창현, "고려의 남경, 한양" 신서원 2006

      26 용인시사편찬위원회, "고려시대의 용인" 용인문화원 1998

      27 권영국, "고려시대 군사제도 연구" 경인문화사 2019

      28 한정훈, "고려시대 교통운수사 연구" 혜안 2013

      29 안신원, "고려시대 광주읍치의 고고학적 고찰" 동아시아문화연구소 (86) : 13-35, 2021

      30 "黑韃事略"

      31 鄭景鉉, "高麗・朝鮮初의 驛路網과 驛制 硏究" 서울大學校 2008

      32 尹龍赫, "高麗對蒙抗爭史硏究" 一志社 1991

      33 金龍善, "高麗墓誌銘集成"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2

      34 "高麗史節要"

      35 "高麗史"

      36 최종석, "高麗前期 保勝·精勇軍의 性格과 地方軍 構成에 대한 再檢討" 호서사학회 (58) : 33-71, 2011

      37 鄭景鉉, "高麗前期 二軍六衛制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38 李基白, "高麗兵制史硏究" 一潮閣 1968

      39 李基白, "高麗光宗硏究" 一潮閣 1981

      40 김호준, "高麗 對蒙抗爭期 險山大城의 入保用山城 出現" 한국고대학회 (40) : 189-224, 2014

      41 김호준, "高麗 對蒙抗爭期 金允侯將軍의 3次例 勝戰의 意義" 백산학회 (114) : 121-153, 2019

      42 車勇杰, "處仁城・老姑城・寶蓋山城 : 地表調査報告書" 忠北大學校 博物館 1999

      43 "蒙韃備錄"

      44 강재광, "蒙古의 제1차 침공과 被陷 北界 14大城의 抗戰" 한국사연구회 (146) : 31-73, 2009

      45 尹龍爀, "蒙古의 2차 侵寇와 處仁城 勝捿" 29 : 1980

      46 羅旺紮布, "蒙古族古代戰爭史" 民族出版社 1992

      47 孫克寬, "蒙古初期之軍略與金之崩潰" 中央文物供應社 1955

      48 "新增東國輿地勝覽"

      49 장준식, "忠州 寶蓮山城 및 天龍寺址 地表調査 報告書" 忠淸大學校 博物館 2011

      50 최근영, "忠州 大林山城 考" 4 : 2000

      51 姜在光, "對蒙抗爭期 崔氏政權의 山城入保策과 地方統治" 1 : 2009

      52 柳在城, "對蒙抗爭史" 국방부 군사편찬위원회 1988

      53 강재광, "對蒙戰爭期 處仁城勝捷의 성격과 역사적 의미-廣州道 방어 및 部曲民‧僧徒의 항전과 연관하여-" 한국중세사학회 (53) : 225-259, 2018

      54 "太宗實錄"

      55 "元高麗紀事"

      56 "元史"

      57 차용걸, "京畿道의 城廓" 경기문화재단 2003

      58 "世宗實錄"

      59 Juvaynī ʻAlāʼ al-Dīn ʻAṭā Malik, "“The History Of The World Conqueror” Vol I"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7

      60 Ch'i-ch'ing Hsiao, "The Military Establishment of the Yuan Dynasty" Council on East Asian Studies Harvard University 1978

      61 고명수, "13세기 초 遼東의 정세변동과 高麗-東眞 관계" 한국중세사학회 (50) : 353-391,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Institute, MND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1.02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