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경북지역 초등학교 학부모의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도에 대한 인지도 및 자녀의 식품알레르기 실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16009

      • 저자
      • 발행사항

        대전 :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4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대전

      • 기타서명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Gyeongbuk area on allergenic food labeling system and children's food allergy status

      • 형태사항

        iv, 58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충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李鮮嶺
        부록: 설문조사
        참고문헌 : p. 45-49

      • 소장기관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food allergy status and perception of their parents on allergenic food labeling system was examine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04 parents of Gyeongbuk area who hav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f...

      In this study,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food allergy status and perception of their parents on allergenic food labeling system was examine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04 parents of Gyeongbuk area who hav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food allergy experience ratio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18.1% (73 students), 51.1% (38 students) showed a family history and in particular, maternal family history tended to be higher. The main symptom was related to skin, the corresponding allergenic foods appeared in the order of mackerel, eggs, milk, wheat, crab and tomatoes among the current labeling 12 items and 43.8% of students responded that certain foods were restricted.
      Regarding knowledge score of food allergy, the experienced group in children's food allergy was higher than the non-experienced group (p <0.05), women than men (p <0.005), people with higher income level than lower income level, and college graduates than high school graduates(p<0.001). The survey also showed that when purchasing packaged foods the experienced group in children's food allergy checked more food ingredients and allergy notation details(p <0.001). The food allergy education experience rate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was 18.6%, 67.6% had a affirmative answer about whether they hoped to participate in nutrition consultation and the most frequently cited consultant was nutrition teacher(46.9%). The experienced group in food allergy education showed higher awareness on negative aspects of allergy symptoms including the inconvenience of living, etc.(p <0.001)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food allergy knowledge level and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students with allergic symptoms, the awareness about negative aspects of allergy symptoms, check of food ingredients at the time of purchase and the necessity of food allergy education(p <0.01).
      Because the only prevention method for food allergy is the restriction of allergenic food, the institutional device to expand the food labeling to unpackaged food as well as packaged food and to make people trust the food labeling should be prepared. The school should provide a more aggressively restricted diet or alternative diet and strive to help to improve students' emotion and health by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food allergy sufferers and to procure the security of school lunch through education or consultation of all concerned parties of school as well as students with allerg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4
      • 1. 조사대상 및 기간 4
      • 2. 연구내용 및 설문지 구성 4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5
      • Ⅰ. 서론 1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4
      • 1. 조사대상 및 기간 4
      • 2. 연구내용 및 설문지 구성 4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5
      • 2) 자녀의 식품알레르기 현황 5
      • 3)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지식 5
      • 4) 식품알레르기 증상 학생에 대한 인지 5
      • 5) 포장식품 구매 시 식품표시 이용실태 6
      • 6)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도에 대한 만족도 및 개선점 6
      • 7) 식품알레르기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 6
      • 3. 자료 분석 7
      • Ⅲ. 연구 결과 및 고찰 8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8
      • 2. 자녀의 식품알레르기 현황 10
      • 1) 자녀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과 진단, 치료, 가족력 10
      • 2) 식품알레르기의 증상 13
      • 3) 식품알레르기 증상 가짓수에 따른 어머니에 의한 가족력 15
      • 4) 알레르기 유발식품 16
      • 5) 특정식품 제한 18
      • 3. 학부모의 식품알레르기 지식 20
      • 1) 자녀의 식품알레르기 경험 유무에 따른 식품알레르기 지식수준 20
      • 2) 성별, 소득, 교육수준에 따른 식품알레르기 지식수준 22
      • 4. 식품알레르기 증상 학생에 대한 인지도 24
      • 5. 자녀의 식품알레르기 경험 유무에 따른 포장식품 구입 시 식품표시 확인 실태 25
      • 6.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도에 대한 만족도 및 불만족 요인 조사 28
      • 7. 소비자 측면에서의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품목 12종의 중요 5순위 조사 31
      • 8. 식품알레르기에 관한 교육경험 및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견해 33
      • 1) 식품알레르기에 관한 교육경험 33
      • 2) 식품알레르기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 34
      • 9. 식품알레르기 상담의 필요성 36
      • 10. 학교급식에서의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도에 대한 요구도 38
      • 11. 식품알레르기 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알레르기 증상의 부정적 측면에 대한 인지도 40
      • 12. 식품알레르기 지식수준과 주요 변수와의 상관관계 41
      • Ⅳ. 요약 및 결론 42
      • 참고 문헌 45
      • ABSTRACT 5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